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useum's Rest Area in Korea and Japan

한·일 뮤지엄 휴식공간에 관한 연구

  • 조슬아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고정민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
  • Received : 2016.02.24
  • Accepted : 2016.05.24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is study covers museum rest areas among the methods that reduce museum fatigu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oul branch of the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National Museum of Korea. These museu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National Art Center of Tokyo and Tokyo National Museum. The first research step was the analysis of museums' floor plan, and the second step was the tracing survey of visitors' mov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National Art Center of Tokyo and Tokyo National Museum had the rest space within the visitors' route along with good viewing areas. National Museum of Korea had poor viewing area even though there was the rest space withing the visitors' route. Lastly, Seoul branch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d the rest space out of visitors' route along with poor viewing area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guidelines for museum space plan with visitors' route considered, so that their museum fatigue can be relieved along with the guideline that can be applied to space elements of rest space.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뮤지엄을 대상으로 관람객의 피로도를 감안한 뮤지엄 공간이 구성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피로도 저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가를 대표하는 국공립 기관으로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의 서울관,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문화적 유사성이 높은 일본의 국립신미술관, 도쿄국립박물관을 선정했다. 연구방법은 1차 조사로 뮤지엄 평면도 분석과 2차 조사로 관람객 동선 추적 조사를 실시했다. 분석결과 관람동선 내 휴식공간이 있고, 휴식공간의 배치와 조망권이 좋은 곳은 도쿄국립박물관과 국립신미술관이며, 관람동선 내 휴식공간이 배치되어 있지만 동선상의 휴식공간의 배치와 조망권이 좋지 않은 곳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이다. 마지막으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관람동선 외 휴식공간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휴식공간의 조망권도 좋지 않은 곳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각 뮤지엄에서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뮤지엄 피로도를 완화해줄 수 있는 관람동선을 고려한 뮤지엄 공간계획과, 휴식공간의 공간요소에 적합한 공간배치와 시설계획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민, 정연승, 주5일 근무와 소프트 산업의 변화, SERI 연구보고서, 2002.
  2. 문화관광연구원, 2014년 문화향수실태조사, 2015.
  3. Thompson, Don, "The Role of Physical Environment in Museum Visitor Experience," Ph.D. Dissertation Proposal,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1990.
  4. 정진아, 이희봉, "관람객 피로를 중심으로 본 박물관 현장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23권, 제2호, pp.183-186, 2003.
  5. 이보아, "박물관.미술관의 마케팅 필요성에 관한 제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 경영학과 박물관.미술관 경영전문가 과정 제1차 학술세미나(가제본), p.8, 1998.
  6. 이규황, 미술관 전시공간의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 상관성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7. 류지연, 20세기 초 현대미술전시 연구 2003 미술관학 강좌, 국립현대미술관, 2003.
  8. 소은혜, 이경륭, "박물관 서비스 품질과 방문동기가 관람객 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515-527, 2014.
  9. Edward S. Robinson, The Behavior of the Museum Visitor,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 New Series No.5, 1928.
  10. Melton. Arthur, Problems of Installation in Museum of Art, Washington, DC.: Publication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 New Series No.14, 1985.
  11. 문찬영, 관람객의 피로를 고려한 뮤지엄 건축의 휴식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12. 정재훈, 이경훈, "박물관에서 휴식 공간구성과 관람피로에 관한 실험 연구: 전시물에 대한 시지각적 피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8호, pp.25-32, 2003.
  13. 윤성규, 임채진, "효율적 전시 관람을 위한 휴식공간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25권, 제3호, pp.103-11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