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Hopelessness upon Their Happiness: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대학생이 느끼는 절망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서인균 (신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연실 (신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2.04
  • Accepted : 2016.03.07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has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which college students may feel in the process of their emotional transfer from hopelessness to happines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734 students enrolled in the 4-year-course colleges located in Jeollabuk-do.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process the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Major outcomes of the analyse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hopelessness turned out to reduce happiness. Second, from the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happiness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hopelessness and social support were input gradually, it was learned that hopelessness affected happiness negatively (-) while social support exercised impact in the positive (+) direction as hopelessness had influence on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with a view to prepare positive mechanism such as promotion of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느끼는 절망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학생 7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망감은 행복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감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절망감과 사회적 지지를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절망감은 행복감에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절망감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 향상과 사회적 지지 같은 긍정적 기제 마련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내찬, "OECD 국가 삶의 질 구조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pp.5-40, 2012.
  2. 송창용, 손유미,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p.195-215, 2013.
  3. D. L. Coffiman and T. D. Gilligan, "Social support, stress and self-efficacy : Effects on student's satisfaction," Journal of collage student Recreation, Vol.4, No.1, pp.53-66, 2002. https://doi.org/10.2190/BV7X-F87X-2MXL-2B3L
  4. R. Loeb and P. Magee, "Change in attitudes and self preceptions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college," Journal of Collage Student Development, Vol.33, pp.348-355, 1992.
  5. 이영일, "연기전공 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167-17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167
  6. B. S. Frey and A. Stutzer, "What Can Economists Learn from Happiness Research?,"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40, No.2, pp.402-435, 2002. https://doi.org/10.1257/jel.40.2.402
  7. 김민경, "대학생의 우울, 감사 및 낙관성과 행복과의 관계," 청소년 문화포럼, 제28권, pp.7-31, 2011a.
  8. 김민경, "대학생의 행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10호, pp.1-34, 2011b.
  9. 조혜정,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1호, pp.157-184, 2013.
  10. 김현수, 유스티븐철희, 유선미, "이공계 분야 대학생의 우울과 행복감 간 주체성 : 관계성의 매개모형 검증,"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제4권, 제1호, pp.108-118, 2012.
  11. 박영남, "절망감 우울증 : 의미 있는 우울증의 아형인가?," 신경정신의학, 제44권, 제4호, pp.425-431, 2005.
  12. G. Simopoulos and Subhansh, Inamdar, "Developmental aspects of Hopelessness," Adolescence, Vol.14, No.53, pp.233-239, 1979.
  13. J. S. Schneider, "Hopelessness and helplessness, Journal of Psychology," Nursing & Mental Health Services, Vol.18, No.3, pp.12-21, 1980.
  14. 김현순, 스트레스, 절망, 우울과 자살생각간의 구조적 관계 : 노인과 청소년의 차이 비교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5. 서인균, 이연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7-147, 2015.
  16. 김귀례,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몰입,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7. 김유식, 여가스포츠 참여 퇴직 남성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우울 및 행복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8. 곽지혜,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 김미령,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인자녀의 지지가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2권, pp.1-27, 2012.
  20. 박미혜, 영재학생의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1. 이장희, 김연화, 고진선,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10권, 제3호, pp.147-174, 2011.
  22. 배지연,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인과모형," 사회과학논문집, 제23권, 제2호, pp.343-375, 2005.
  23. 김현순, 김병석,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27권, 제1호 pp.23-37, 2007.
  24. 허준수, 유수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지, 제13권, pp.7-35, 2001.
  25. 서화정,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사업 개입전략 : 노인자살의 영향요인분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6. 최형임, 채현탁, 송인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절망감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43권, pp.183-202, 2008.
  27. S. Lyubomirsky, L. king, and E. Diener,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31, pp.803-855, 2005. 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
  28. 안지영, 인간관계,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중학생과 그 부모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9. 허승연,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0. 김주연, 김계하, "요양병원 노인 환자가 지각한 절망감과 가족지지," 노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51-159, 2014.
  31. 김현실, 조미영, "중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절망감과의 관계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22권, 제4호, pp.620-635, 1992.
  32. 김양순, 여성암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절망감과의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3. K. Asberg and K. Renk, "Substance Use coping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symptoms and substance use consequences among incarcerated females with childhood sexual abuse histories," Substance use and misuse, Vol.47, No.7, pp.799-808, 2014. https://doi.org/10.3109/10826084.2012.669446
  34. A. T. Beck, A. Weissman, D. Lester, and L. Trexler,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 The hopelessness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2, pp.861-865, 1974. https://doi.org/10.1037/h0037562
  35. D. A. Brent, J. A. Perper, and C. J. Allamn, "Alcohol, firearms, and suicide among youth,"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57, pp.3369-3372, 1987. https://doi.org/10.1001/jama.1987.03390240075026
  36. 홍나미,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게내재화와 절망감의 매개경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7. Beck At.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Philadelphia :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p.273-290, 1967.
  38. 유정헌, 절망감 우울증의 인지취약성 요인에 관한 전향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9. 박점희, 이현주, 김현미, 류은경, "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불안, 절망감 및 가족지지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제4권, 제1호, pp.147-162, 1997.
  40. 이정희, 척수손상 환자가 지각하는 절망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41. 최연희, "만성 신부전 환자가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절망감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5권, 제3호, pp.549-561, 1995.
  42. 주현순, 노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절망감과의 관계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3. 김홍순, 청소년 행복에 관한 감사조절모형의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4. 안도희, "한.중 청소년의 행복감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제50권, 제1호, pp.227-255, 2012.
  45. 박혜숙, "대학생의 행복정도와 양생실천정도와 의 관련성,"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8권, 제1호, pp.31-39, 2012.
  46. J. G. Cull and W. S. Gill, "Suicide Probability Scale(SPS) manual," Los Ang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8.
  47. 고효진, 김대진, 이흥표,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척도의 타당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9권, 제4호, pp.680-690, 2000.
  48. 김영우, 사회적 지원망이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한일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49. 이지연, 성인 애착과 대학생의 우울과의 관계 : 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0. 황윤경, 청소년 또래집단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 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51.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52. D. A. Cole and S. E. Maxwell, "Testing mediational models with longitudinal data questions and tips in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12, No.4, pp.558-577, 2003. https://doi.org/10.1037/0021-843X.112.4.558
  53. M. Lawton,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 A re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30, No.1, pp.86-89, 1975.
  54. G. I. Metalsky, joiner Te., Joiner, Hardin and L. Y. Abramson, "Depressive reactions to failure in a naturalistic setting : a test of the hopelessness and self-esteem theories of depression," Journal of Abnorm Psychol, Vol.102, pp.101-109, 1993. https://doi.org/10.1037/0021-843X.10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