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Listening Abilities Using Famous Painting Parodies in Art Activities

명화 패러디를 활용한 유아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명화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김형재 (영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 송민서 (동명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형숙 (영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04.13
  • Accepted : 2016.06.0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rt activities using famous painting parodies in hopes of enhancing the creativity of 5-year old children. A total of 11 program activities were developed consisting of a preliminary activity (understanding the notion and ideas behind parody), introduction (view and analysis of famous paintings), development (theme selection, idea construction, and parody production), and conclusion (view and review of parody). Participants were 50 (2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in the comparative group) 5-year 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TTCT of Creative Thinking (TTCT: Figure A and B)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d the listening abilities paintings test tool was applied to teachers of the groups. First, excluding accuracy, which is considered to be an un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one's creativity, results showed positive effects on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and persistence. Second, the program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overall ability in appreciation of paintings as well as the sub factors including observation and expression, understanding painter's intention, atmosphere, materials and techniques, art elements, and attitude towards art piece.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유치원 지도서 1: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권상구 (1999). 유아미술교육의 실제. 서울: 미진사.
  3. 김경은 (2015).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289-303.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89
  4. 김순향 (2002). 초등 미술교육에서 패러디 기법 활용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채 (1999). Torrance 창의성(도형)검사요강.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6. 김은아 (2014).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의 효과: 유아의 그림감상능력, 창의성,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은정, 오진희 (2010). 유아의 어휘력과 이야기 이해능력이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83-404.
  8. 김은희 (1996). 학령 전 아동의 명화감상과 정서추론에 관한 연구. 조형교육, 12, 3-21.
  9. 김진희 (2000). 유치원 미술 감상교육의 현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수, 조수현 (2012). 미술 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45-173.
  11. 김형재, 송민서, 이순애 (2016). 유아교사의 두뇌우성사고유형과 창의성 간의 관계. 인지발달중재학회지. 7(1), 1-15.
  12. 김혜영 (2012). 미술 감상교육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교육 실천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1(2), 105-126.
  13. 김혜원 (2009). 패러디(parody)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수업 지도 방안 연구. 전문계 고등학교 1학년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류재만 (2004). 초등미술과 교수법. 서울: 교육과학사.
  15. 문세라 (2005). 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상희 (2005). 통합적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29, 243-266.
  17. 박화윤 (2001). 미술작품 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2(2), 277-290.
  18. 선현경 (2003).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명화집. 서울: 토토북.
  19. 신금주 (2000). 구조화된 명화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및 감상력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화식, 이진이 (1998). 통합적 미술교육 접근법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8(1), 89-103.
  21. 육귀순 (2012). 패러디기법을 활용한 창의적인 표현지도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윤향미 (2004). 효과적인 유아 미술교육의 방향 모색. 유아교육학논집, 8(1), 93-112.
  23. 윤혜란 (2004). 명화감상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경은 (2015). 명화감상을 통한 유아미술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규림 (2015). 명화를 활용한 창의적 발상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209-229.
  26. 이규선, 김동영, 류재만, 전성수, 최윤제, 권줌범 (2000). 미술교육학. 경기: 교육과학사.
  27. 이명호 (1998). 유아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미란, 천희영, 송영주 (2015).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의 창의성 요소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305-327.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305
  29. 이수경 (1996). 국민학교 저학년 교육을 위한 미술적 접근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영자, 이정욱, 유혜숙 (1998). 유치원 미술교육 현황조사. 어린이교육, 16, 69-106.
  31. 이원미, 김호 (2012).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19-37.
  32. 이위환, 최성열 (2005). 명화감상 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4(1), 273-283.
  33. 이윤옥 (2004). 명화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 통합 프로그램 모형 구안. 교육논총, 9, 137-158.
  34. 이인숙 (2001). 유아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장미자 (2002). 다양한 재료를 통한 미술활동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순미 (2008). 미술관 방문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 및 그림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장영숙, 황윤세 (2003). 통합적 유아 교수. 학습방법으로서의 명화 감상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5, 163-187.
  38. 장혜진 (2005).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장혜진, 이성희 (2006).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문총론, 23, 13-37.
  40. 정미경 (1999). 미적 요소에 기초한 활동중심 통합미술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 표현능력 및 미술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정미정 (2004). 생활주제에 따른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조용자 (2003). 미적 요소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력과 그리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조은경 (2009). 중등미술에서 명화감상을 활용한 패러디표현 지도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조재경 (2012). 핵심역량 중심의 미술영역 창의인성교육 수업모델 개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주은희 (2005). 명화감상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성 향상과 작업유형. 한국문명연지, 6(1), 35-65.
  46. Cole, E. & Schaefer, C. (1990). Can young children by art critics?. Young Children. 45(2), 33-38.
  47. Mayesky, M. (1998).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NY: Delma Publishers.
  48. Meynell, H. A. (1993). The good of art. Sympsium on aesthetic. Value & Arts Education.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95(2), 13-19. https://doi.org/10.1080/10632913.1993.9936367
  49. Sternberg, R. J. (1999).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Torrance, E. P. (1974). The Torrance test of creactive thinking: Morms-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linois: Scholastic Testing Services, Inc.

Cited by

  1. The effects of masterpiece appreciation based kindergarten-home connected activities on children's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and picture expression ability vol.13, pp.4, 2016, https://doi.org/10.16978/ecec.2018.13.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