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f Atrophic Acne Scar Treatment with Re-cell Therapy

리셀테라피를 이용한 위축성 여드름 흉터 치료 11례

  • Oh, Chul (Hwajubmong Oriental Medicine Clinic) ;
  • Huh, Geum-jung (Hwajubmong Oriental Medicine Clinic) ;
  • Lee, Won-haeng (Hwajubmong Oriental Medicine Clinic) ;
  • Yang, Jin-ah (Hwajubmong Oriental Medicine Clinic) ;
  • Kim, Ki-tae (Dep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Je-cheon Oriental Medicine Hospital)
  • Received : 2016.03.29
  • Accepted : 2016.06.03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Objective: Acne scarring is the most common sequela after dermal inflammation caused by acne. Many methods are currently used to treat acne scarring; doctors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ave also attempted to treat acne scarring in a new way that was developed from traditional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re-cell therapy.Method: Eleven patients with various types of acne scars were treated by re-cell therapy. We used the global acne scarring classification (GASC) and ECCA (from the French “echelle d’evaluation clinique des cicatrices d’acne”), both of which are generally used to measure and grade the degree of acne scarring.Results: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the conditions of all patients were conspicuously improved in both scales. The GASC scores of the patients changed from grade 19.6±10.4 to grade 4.9±3.3 (p=0.001), and the ECCA scores changed from grade 120.9±28.7 to grade 41.8±18.3.Conclusion: Re-cell therapy showed effectiveness in treating acne scarring and could be applied in clinical cases.

Keywords

Ⅰ. 서 론

여드름은 痤瘡, 面皰, 生面皰, 粉刺, 面腫, 面熱, 肺風粉刺 등 범주로 인식된 질환이며1, 中國에서는 痤瘡으로 부르며, 中醫學에서는 肺風粉刺라고도 하는데, 이 중 비염증성병변은 粉刺, 염증성 병변을 포함한 여드름 전체는 痤瘡에 해당한다2.

여드름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피부의 피지선이나 모공이 막혀 발생하는 모낭 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여드름은 약 90%에서 청소년기에 발병이 되며3, 성인여드름으로 대략 12-14%가 이환되어 정신적, 사회적 불편함을 야기하는 피부질환이다4. 특히 여드름의 초기 염증병태보다는 여드름으로 인한 흉터에 의해 환자에게 수치심과 우울증 등을 유발시킬 수 있고, 대인 관계 및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5. 여드름흉터는 화농성 여드름의 매우 흔한 합병증으로, 여드름 발생 후 손상받은 피부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여드름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성별에 상관없이 95%에서 어느 정도의 흉터가 발견되었다고 보고 하였고6, 여드름흉터의 발생 정도는 염증반응과 조직손상의 정도 및 염증발생의 경과시간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7.

여드름 흉터는 염증 후 조직의 위축 및 소실 또는 교원질의 비정상적인 증가라는 크게 두 가지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전자와 후자의 비율은 3:1로 위축성흉터가 더욱 흔하게 관찰된다. 위축성흉터는 모양에 따라 크게 Icepick형, Rolling형, Boxcar형(Shallow/Deep) 3가지로 분류되며8 대부분의 여드름 흉터 치료의 주요 목표가 된다.

여드름 흉터는 기계박피술, 화학박피술, 레이져박피술, 고주파치료, 니들링요법, PRP주사, 분획광선열융해, 비침습성 레이저치료, CROSS, 흉터하부 박리술, 펀치시술법, 심부 자가이식 보충물질이나 기타 조직확대물질과 같은 새로운 치료법과 장비, 약물이 개발⋅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여드름치료에 부작용 없이 완벽하고 효과적인 단일 치료법은 없으며, 여드름흉터는 환자에 따라 흉터 부위, 깊이, 숫자, 형태가 다르므로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치료법이 병행되는 경우가 많다7. 최근 한의학계에서도 여드름 흉터 치료를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절개침법9, 미세피부침10, 봉독11 등으로 치료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연구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산(酸)을 이용하여 피부의 항염증, 과각화된 부분이나 부육된 부분을 탈락시키거나, 약물의 침투력을 높이는데 사용되어왔다. 顚倒散12, 明代 陳實功의 ≪外科正宗⋅卷之四⋅雜瘡毒門 頑癬第七十六≫13에서는 초기 완선 치료 내용을 소개하였고, 淸代 顧世澄의 ≪瘍醫大全 論湯洗法≫에서는 파두초흑을 이용하여 腐肉을 삭히는 치료법을 이용하였다14. ≪瘍醫大全 論瘡瘍去腐肉法≫에는 기구를 이용한 괴사조직의 제거법과 전처치, 시술법, 환부 보호를 위한 후처치 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14. 이에 산(酸)을 이용해 필요 없는 피부층을 제거하는 방법은 현대의 TCA(trichloroacetic acid)를 사용한 흉터치료15 방법과 유사함에 착안하여, 한약복합약물과 TCA의 혼합물 도포, 파우더필링, 자동미세침(auto microneedle therapy system, AMTS) 시술을 결합한 복합치료(리셀테라피)로 위축성 여드름 흉터치료에 양호한 결과를 얻게되어 보고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013년 12월부터 2016년 1월까지 화접몽한의원에 위축성 여드름 흉터의 개선을 위해 내원한 환자 중 연구 목적으로 사진을 비롯한 임상정보 활용에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기타 기저 질환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있거나 시술 기간 동안 피부와 관련된 기타 치료나 관리를 받은 환자군은 제외하여 최종 11명의 임상케이스를 토대로 본 치료 효과를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2. 치료방법

1) 리세테라피

리셀테라피는 흉터 및 모공확장 치료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흉터치료 방식들의 조합으로 1차 한약복합물질 도포, 2차 파우더필링, 3차 자동미세침, 4차 파우더 필링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1) 1차 한약복합약물 도포

시술 전 보릭으로 환부를 닦아낸 후 시술 도중 불필요한 부위에의 약물 접촉을 막기 위해 치료 목표 부위 이외에는 모두 멸균된 천을 덮어준다. 이후 유황산 5%, TCA 15~30%, 황련해독탕 약침액 10%으로 구성된 한약복합약물을 인슐린 주사기에 0.7 cc 내외로 준비하여 극소량만 점을 찍듯 환자의 흉터부위에 도포한다. 이후 흉터를 포함한 주변부 피부에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 프로스팅이 발생하는 즉시 중조를 이용해 중화시킨다. 이후 약 10~20분 정도 아이스팩을 이용한 쿨링을 진행하며 환자의 통증이 거의 없어진 것을 확인한 후 시술 부위를 보릭으로 닦고 습윤밴드를 도포하였다. 시술 후 2일마다 내원하여 드레싱을 하고 한약복합약물 도포 후 7~10일이 경과한 다음 환부의 표피가 안정된 상태를 보이면 재생을 위한 비타민관리를 진행했다.

(2) 2차 파우더 필링

파우더 필링은 해초필 계열의 필링으로, 시술시 염증 진정을 위해 황련해독탕 약침액을 도포한 후 시술했으며 시술 1주일 후 비타민관리를 진행했다. 시술시 사용된 제품 FCR16은 미세산호칼슘을 이용해 새롭게 개발된 복합 필링으로 Niacinamide, Arbutin, Centella asiatica, Papain, Acid complexsolution (mandel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salicylic acid, citric acid)으로 구성되어 있다.

(3) 3차 자동미세침

시술 장비는 BOMTECK사의 AMTS로 시술 깊이는 양 볼의 경우 2 mm, 미간, 이마와 코의 경우 1 mm로 설정했다. 시술 중 별도의 앰플이나 약물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평균적으로 양 볼은 10분 내외, 미간 및 이마는 2분 내외, 코는 1분을 시술한 후 출혈이 안정적으로 멎을 때까지 10분 정도 방치 후 분비물을 닦아내고 습윤밴드를 도포하였다. 시술 다음날 내원하여 드레싱을 하고 이후 평균 3일 후 테이프를 제거한 후 환부의 표피가 안정된 상태를 보이면 비타민관리를 진행했다.

(4) 4차 파우더 필링

2차 파우더 필링과 동일하게 시술하였다.

2) 리셀테라피 시술 횟수 및 간격

한약복합약물도포, 파우더필링, 자동미세침, 파우더필링을 한 사이클로 2주 간격을 두고 시행되었으며 환자의 피부회복이 더딘 경우 1주일 정도의 회복기간이 더해졌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소 2사이클에서 4사이클까지 시행되었고, 각 사이클 사이에 1-3개월 정도의 회복기를 두고 해당 기간에는 비타민 관리를 통하여 색소침착 개선 및 재생을 유도하였다.

3) 기타 생활 관리

한 사이클의 기간 동안 피부 재생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과도한 음주, 흡연 및 사우나, 과도한 운동과 다이어트를 피하도록 하고 충분한 수면을 권장하였다.

3. 평가방법

치료 효과의 평가는 시술 전과 최종 사이클 치료가 끝난 뒤 최소 2개월이 지난 후에 촬영한 임상 사진을 통한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여드름 흉터 평가 도구로 GASC, ECCA 평가 도구가 사용되었고, 동일한 한의사 한 명이 평가하였다. 그 외에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세균 감염, 다른 흉터의 발생, 알레르기성 소양감, 발적, 이외의 부작용 등을 관찰하였다.

시술 전후의 임상사진을 비교하였고, 흉터의 평가 방식인 GASC17과 ECCA grading scale18을 활용하여 여드름 흉터 중등도를 평가하였다. GASC는 병변의 개수, 흉터의 형태, 중등도 등 3개의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정량적 분류를 꾀하는 도구이며, ECCA scale은 병변의 형태적인 분석을 통해 위축성 흉터, 표재성 탄력섬유용해, 비후성 염증흉터, 켈로이드 비후성 흉터로 구분하여 각각의 흉터에 대한 정량적 스코어링과 중증도, 진행성, 형태에 따른 가중치 부여로 최종점수를 부과하였다19.

4. 통계 분석

시술 전 후의 평가 scale 점수에 대하여 SPSS 10.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시술 전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에서 검정하였다.

 

Ⅲ. 결 과

1. 치료대상 분석

연령별 분포를 보면 24~30세로 평균 연령은 27.0±2.97세 이었다. 남자가 6명, 여자가 5명 이었고, 치료 횟수는 3사이클을 진행한 사람은 4명, 4사이클을 진행한 사람은 6명으로 평균 3.45±0.69 사이클을 치료하였다(Table 1).

Table 1.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2. 치료효과 분석

1) GASP, ECCA 평가에 따른 시술 전후 비교

GASC에 의하면 치료 전 평균 19.6±10.4에서 치료 완료 후 4.9±3.3로 호전되었으며 ECCA에 의하면 치료 전 평균 120.9±28.7에서 치료 완료 후 41.8±18.3로 호전되었다. 시술 부위의 홍반은 평균 1~3개월 유지되었다. 대응표본 t 검정에 의하면 GASC 평가의 결과는 p=0.01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ECCA 평가는 시술 전후의 평균이 79점 차이가 나타났으면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Table 2, Fig. 1).

Table 2.The Change of GASC & ECCA Scale

Fig. 1.The changes of GASC & ECCA scale.

2) 시술 전후 임상사진 비교

시술 전후의 임상 사진은 동일 진료실에서 동일한 조명하에 동일 카메라(NIKON, COOLPIX P330, F/2.8, 노출 시간 1/100초, ISO-400)로 촬영되었다.

Fig. 2.Before & after (case 1). left.

Fig. 3.Before & after (case 2). right.

Fig. 4.Before & after (case 3). left.

Fig. 5.Before & after (case 4). left.

Fig. 6.Before & after (case 5). right.

Fig. 7.Before & after (case 6). right.

Fig. 8.Before & after (case 7). left.

Fig. 9.Before & after (case 8). right.

Fig. 10.Before & after (case 9). left.

Fig. 11.Before & after (case 10). right.

Fig. 12.Before & after (case 11). right.

 

Ⅳ. 고 찰

여드름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피부의 피지선이나 모공이 막혀 발생하는 모낭 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여드름병변은 크게 비염증성 병변, 염증성 병변으로 구별할 수 있으나, 흔히 혼재되어 나타난다7. 청소년기 약 90%에서 발병이 되며20, 성인여드름으로 대략 12-14%가 이환되어 정신적, 사회적 불편함을 야기한다21.

≪內經≫에서는 여드름의 발생 기전에 대해 간략하게 제시하였으며22, 이에 대해 張介賓은 “形勞汗出, 坐臥當風, 寒氣薄之, 液凝爲齄, 卽粉刺也, 若鬱而稍大, 乃成小節, 是名曰痤”라 해석하였다23. 이는 신체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피지 분비량이 증가한 상태에서 모공이 수축하여 피지가 저류⋅울체되어 비염증성 여드름(粉刺)이 생겨나며, 울체된 기간이 길어지면 化熱하여 염증을 유발시켜 화농성 여드름(痤)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흉터는 화농성 여드름의 매우 흔한 합병증으로, Layton 등은 얼굴의 여드름흉터는 95%의 조사대상자에서 성별에 상관없이 발견된다고 하였다24. 흉터의 발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는 진행 중인 여드름의 중증도와 적절한 치료를 받기까지 걸린 시간이고 흉터의 중증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염증의 깊이와 정도이며 이와 같은 요인들과 함께 모낭 속 세균의 오염도와 2차 감염의 유무, 저류된 피지의 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7. 또한 치료의 지체는 염증의 지속 기간을 연장시켜 조직 괴사 정도를 악화시키는데, 여드름의 발생 시기와 위치, 모양, 중증도, 회복까지 소요된 기간, 여드름 발생부 기저조직의 두께 등은 서로 상이하므로 경우에 따라 흉터의 넓이와 깊이, 주변 경계 또한 다르게 남게 된다.

여드름 흉터의 치료는 극심한 피부조직 위축에 의해 운동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미용 개선의 목적으로 시행한다. 기계박피술, 화학박피술, 레이져박피술, 고주파치료, 니들링요법, PRP주사, 분획 광선열융해(fractional photothermolysis), 비침습성 레이져치료(PDL, IPL, 롱펄스 엔디야그레이저, 1,450 nm 다이오드레이저 등), CROSS(chemical reconstruction of skin scanrs), 흉터하부 박리술(기복있는형 흉터의 하부 섬유성 띠를 Nokor니들로 제거하는 방법), 펀치시술법(펀치절제술, 펀치상향술, 펀치이식술), 심부 자가이식 보충물질(혈액주입법, 진피이식술, 지방이식술)이나 기타 조직확대물질(필러)과 같은 다양한 치료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새로운 약물과 장비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여드름치료에 부작용 없이 완벽하고 효과적인 단일 치료법은 없으며, 환자에 따라 흉터 부위, 깊이, 숫자, 형태가 다르므로 한 가지 방법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치료법을 병행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7.

본 연구에서 사용한 흉터복원술인 리셀테라피는 흉터 및 모공확장 치료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흉터치료 방식들의 조합으로 1차 한약복합물질 도포, 2차 파우더필링(fcr), 3차 자동미세침(AMTS), 4차 파우더 필링(fcr)의 순서로 진행되며 이는 여드름 흉터의 치료기법 중 酸 및 부식성 물질을 이용한 화학박피술 및 CROSS, 자동미세피부침(AMTS)을 이용한 니들링요법, 파우더필링을 이용한 기계박피술을 결합한 복합 치료 기법이다.

1차 시술인 한약복합물질 도포는 화학박피술 및 CROSS에 해당하는데, 이에 활용되는 물질은 유황산, TCA, 황련해독탕 약침액이다. 유황산은 顚倒散의 주 구성 성분으로, 顚倒散은 최 등의 연구에서 항균 효능은 없으나 항염증 효능이 있어 시술 시 발생할 수 있는 염증을 제어하는 효능이 있다 고 보고되었으며12, 황련해독탕 약침액은 서의 연구에서 항균효능이 있음이 밝혀졌다25. TCA는 酸으로서 부식기능을 보이는데, 화학박피술 및 CROSS에 사용되는 酸 및 부식성 물질은 과거 한의학 문헌에서도 시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순수한 화학적 제제의 배합, 제조가 어려웠던 과거에는 정제되지 않은 일부 식물이나 광물에서 고유한 부식성 물질의 화학 반응을 통해 불필요한 피부 조직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를 하여 왔다. 식초의 옛 이름은 ‘苦酒’로 味는 酸하고 性은 溫而無毒하며 肝經과 胃經에 歸經한다26. 明代 陳實功의 ≪外科正宗⋅卷之四⋅雜瘡毒門 頑癬第七十六≫을 보면 유황, 생반, 천초 각각의 분말에 토대황즙을 혼합한 토대황고를 이용해 외상은 없고 각질의 과각화만 존재하는 초기 완선의 외치제로 사용하였고13, 병기가 상당히 진행된 완선에는 식초를 가미해 치료하였고 우피선의 경우 천산갑의 거친 가죽으로 각질을 제거하였다. 병기가 진행된 완선에 식초를 가미한 이유는 과각화 정도가 심한 상태의 경우 식초의 산(acid)성분을 통해 약물의 피부 침투력을 높이고 각질탈락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함이라 사료되는데 이는 현대의 화학박피술에 활용되는 酸의 의미와 일맥상통하며, 천산갑의 가죽을 이용한 각질 제거는 기계박피술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淸代 顧世澄의 ≪瘍醫大全 論湯洗法≫에는 ‘凡背瘡, 腐肉不去, 不用刀割, 用降香煎湯, 不可用手洗, 將湯入酒壺內淋於瘡上, 以新羊毛筆掃之, 拭乾, 再用巴豆炒黑, 搗成膏, 搽數次, 腐肉自去, 新肉自生’이라 하였다14. 降香煎湯은 降香檀의 줄기와 뿌리의 心材를 달인 것으로 살균의 효과가 있으며, 강향전탕을 주전자에 담아 환부에 부은 것은 환부의 세균과 이물질을 소독, 세척하기 위함으로 판단된다. 이어 부드러운 양털로 만든 붓을 이용해 전탕액을 골고루 도포한 것은 자칫 거친 브러시를 이용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환부의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행위로 보이며, 특히 손을 이용해 환부를 도포하면 안 된다고 명시한 것은 2차감염의 위험성을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전처치후 환부에 巴豆를 사용하여 만든 膏를 도포하는데, 이것은 Croton Oil의 부식효과를 통해 괴사된 조직을 제거하여 새살이 돋아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한 先代의 화학박피술이라 할 수 있다27. ≪瘍醫大全 論瘡瘍去腐肉法≫에서는 ‘凡取腐肉, 先用猪蹄湯洗淨, 以去其垢, 方見新舊之肉, 看其果腐爛者, 用鉤摘定, 輕手徐徐忍臭氣割之, 切不可誤傷新肉, 以致鮮血淋瀝, 切勿急驟, 多加工夫, 割取畢, 上靈藥, 外用膏貼, 明日如有未盡之腐, 仍照法去之’라 하였다14. 이는 도구를 이용해 정상조직은 도려내지 않고 괴사된 조직만을 선택해 제거하는 외치법으로, 시술후 시술부에 고약을 덮은 것은 환부를 보호함을 물론,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瘍醫大全≫의 論湯洗法과 論瘡瘍去腐肉法에서는 부식성 약물과 기구를 이용한 괴사조직 제거법의 전처치와 시술법, 환부 보호를 위한 후처치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조작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 여드름흉터에 사용되는 화학박피술 후 피부보호를 위하여 습윤 밴드를 도포하는 것과 그 목적에 있어서 유사점을 갖고 있다. TCA를 활용한 치료는 ≪外科正宗≫과 ≪瘍醫大全≫의 한의학적 치료를 계승한 것으로서 전처치의 소독과정, 시술 및 후처치의 환부 보호까지 그 맥락이 같으며, 이를 계승하여 현대에 개발된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재료와 기법으로 대체한 것이다.

3차 시술인 자동미세침(AMTS)은 미세피부침을 활용한 니들링요법으로, 한의학의 전통적인 치료방법인 皮膚鍼療法이 현대적으로 발전된 시술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皮膚鍼療法은 多鍼을 淺刺하는 일종의 방법으로 피부에만 刺鍼하는 것이므로 ‘皮刺療法’이라고도 칭한다. ≪黃帝內經⋅靈樞⋅官鍼篇≫에 “毛刺者 刺浮痺皮膚也”, “揚刺者 正內一 傍內四而浮之 以治寒氣之搏大者也”, “半刺者 淺內而疾拔針 無鍼傷肉 如拔毛狀以取皮氣.” 등의 내용들이 기재되어 있다29. 毛刺, 揚刺, 半刺는 현재의 피부침자법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이 침술에 응용하는 기기로는 梅花針과 車鍼이 있다. 자동미세침은 이러한 기기가 현대적으로 발전된 형태로서, 이를 활용하여 침자극의 ‘調氣'의 원리와 피부의 자연적인 상처재생원리를 이용한 흉터치료법에 활용하며28 IPL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효과를 낸다고 알려져 있다30.

2차, 4차 시술인 파우더 필링은 해초필 계열의 필링으로, 이는 미세한 침상의 연마제를 적정 산도를 갖는 엑티베이터에 풀어 그 반죽된 파우더를 환부에 문질러 필링 효과를 갖는 화학적, 물리적 필링의 특성을 결합한 요법이다. ≪外科正宗 卷之四 雜瘡毒門 痤痱瘡第八十八≫에서는 ‘痤痱者, 密如撒粟, 尖如芒刺, 痒痛非常, 渾身草刺, 此因熱體見風毛竅所閉, 宜服消風散, 洗用苦參湯, 臨洗再加猪膽汁, 可敎諸痒自然除'이라하여 모공성 질환의 내치 및 외용제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13, 이 중 외용제인 고삼탕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用大菖蒲, 河水煎來患上磨'라하여 大菖蒲와 혼합해 강물을 섞어 환부에 마찰하고 마무리는 돼지의 쓸개즙으로 헹궈내도록 하였다. 이는 파우더필링에 의해 행하여지는 기계박피술과 일맥상통한 내용으로 리셀테라피에서 사용된 FCR은 미세산호칼슘을 이용해 새롭게 개발된 복합 필링으로 Niacinamide, Arbutin, Centella asiatica, Papain, Acid complexsolution(mandel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salicylic acid, citr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6.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 조직의 재배열을 통한 흉터치료 방법은 프렉셔널레이저, 도트필, 서브시전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프락셀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부의 목표 깊이까지의 레이저 손상을 입힌 후 회복을 유도하는 시술이며 도트필은 화공약품으로 염증을 발생시켜 재생을 유도하는 치료이고 서브시전은 피하조직과 섬유 유착된 피부를 박리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치료방법은 흉터의 형태 또는 조직의 변성에 따라 구분되어 적용되어야 하며 일반적인 흉터의 경우 필요에 따라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리셀테라피는 위 치료법에서 간과한 흉터 경계의 과증식에 대한 대처법으로, 기존의 치료법은 흉터 병변부위의 내측 피부가 꺼진 부위에 자극을 줘서 해당 부위가 올라오게 유도하는데 반면 리셀테라피에서는 그 치료에 더하여 흉터의 경계를 형성하는 과증식된 조직을 없애서 흉터치료 후 흉터의 형태가 완화되거나 없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기존 치료법의 효과는 흉터의 파인 부위가 차오를 수는 있어도 경계를 이루고 있는 조직이 그대로 남아있어서 부드러운 느낌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데 일정부분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리셀테라피는 경계가 없어지므로 보다 부드러운 흉터의 회복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2013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여드름 흉터를 주소로 화접몽한의원에 내원한 환자 중 연구대상자로 참여하는 데 동의하고, 기타 피부질환이 없으며 최소 2사이클 이상의 치료를 완료한 환자의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그 치료 효과를 관찰하였다. 치료 대상자 11명 중 남성은 6명, 여성은 5명이며 평균 연령은 27.0±2.97세였다. 리셀테라피의 치료 프로그램은 한 사이클이 1차 한약 복합물질 도포, 2차 파우더 필링, 3차 자동미세침, 4차 파우더 필링의 순서로 구성되며 각 시술은 평균 2주의 기간을 두고 시행되었다. 한 사이클이 종료된 후에는 피부의 부종이 소실되기까지의 기간을 최소 1개월을 두었으며 부종이 모두 소실된 것을 확인한 후 다음 사이클을 진행하였다.

시술 전후 사진으로 평가한 GASC에 의하면 치료전 평균 19.6±10.4에서 치료 완료 후 4.9±3.3로 호전되었으며 ECCA에 의하면 치료 전 평균 120.9±28.7에서 치료 완료 후 41.8±18.3로 호전되었다. 시술 부위의 홍반은 평균 1~3개월 유지되었다. 대응표본 t 검정에 의하면 GASC 평가의 결과는 p=0.001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ECCA 평가는 시술 전후의 평균이 79점 차이가 나타났으면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술 전후 사진을 통한 한의사의 평가에서는 모든 여드름 흉터에 호전이 있었다. 시술 과정 중 한약복합물질 도포 및 자동미세침을 시술 후 2차 감염을 막기 위한 드레싱 과정에서 일부 피지저류 및 염증 재발이 보인 경우가 있으나 파우더 필링과 재생 과정에서 그 염증은 대부분 소실되었다.

 

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여드름 흉터를 주소로 화접몽한의원에 내원한 환자 중 리셀테라피로 명명한 일련의 흉터 치료 과정을 반복적으로 적용한 환자 11명의 진료 기록의 후향적 검토를 통해 치료 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ASC에 의하여 임상 치료 효과 분석을 통해 시술 전후를 비교해 본 결과 GASC에 의하면 치료 전 평균 19.6±10.4에서 치료 완료 후 4.9±3.3로 유의한(p=0.01) 호전 결과를 나타내었다.

2. 치료 후 시술 부위의 홍반은 평균 1~3개월 정도 유지되었으며 환자의 피부 회복력과 시술의 강도에 따라 그 기간은 차이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여드름 흉터 치료를 위해 시행한 리셀테라피의 반복 적용은 여드름 흉터의 호전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향후 더 많은 임상 례를 분석하여 부작용 및 과민 반응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References

  1. Lee WG, Kim BH, Jeon SW, Kim KS, Nam HJ, Kim YB. The Lastest Trends of Treatment for Acne Vulgaris in Pubmed. J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t 2011;24(2):41-56.
  2. Chen DL, Fan RQ. Pi Fu Xing Bing Ke Zhuan Bing Zhong Yi Lin Chuang Zhen Zhi. 3rd Edition. BeiJing: Ren Min Wei Sheng Chu Ban She; 2013, p. 333-4.
  3. Ghodsi SZ, Orawa H, Zouboulis CC. Prevalence, severity, and severity risk factors of acne in high school pupils : a community-based study.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9;129(9): 2136-41. https://doi.org/10.1038/jid.2009.47
  4. Williams C, Layton AM. Persistent acne in women: implications for the patient and for therapy.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Dermatology 2006; 7(5):281-90. https://doi.org/10.2165/00128071-200607050-00002
  5. Ahn BK, Lee SJ, Namkoong K, Chung YL, Lee SH. Quality of life of acne patients. Korean J Dermatol 2005;43:6-14.
  6. Layton AM, Henderson CA, Cunliffe WJ. A Clinical ecaluation of acne scarring and its incidence. Clin Exp Dermatol 1994;19(4):303-8. https://doi.org/10.1111/j.1365-2230.1994.tb01200.x
  7. Jung JY. Clinical Acneology. Seoul: MDworld; 2014.
  8. Fabbrocini G, Annunziata MC, D'Arco V, Vita VD, Lodi G, Mauriello MC, et al. Acne Scars: Pathogenesis,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Dermat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10;2010: 1-13.
  9. Baek SC, Hong MS, Jegal H, Jin YH, Joo TM, Lee SJ, et al. A Clinical Report on the Atrophinc Acne with Subcisi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2;25(4):80-8. https://doi.org/10.6114/jkood.2012.25.4.080
  10. Lee KS, Kim YR, Choi HS. Vase Study of Treating Acne Scar Using Scar Regeneration Acupuncture Therapy and Micro-needle Therapy. J Kor Acupunc & Moxibus 2012;29(4):81-91.
  11. Kim HY, Hong SH, Park IH, Heo ES, Noh HM, Shin SH. Clinical Study of Twenty-seven Case of Treating Acne scar Using Microneedle Therapy and Subcision Combined with Bee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3): 101-13. https://doi.org/10.6114/jkood.2015.28.3.101
  12. Choi KH, Seo HS. The effect of Jeondo-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J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7;20(2): 89-101.
  13. Ch SG, Liu ZS, Zhang RL. Wai Ke Zheng Zong. TianJin: Tian Jin Ke Xue Ji Shu Chu Ban She; 2000.
  14. Gu SC, Yang Yi Da Quan. ShangHai: Shang Hai Gu Ji Chu Ban She; 1995.
  15. Kang JM, Cho HK, Lee KH, Lee JB. The effect of TCA chemical peeling on acne scars. Kor J Dermatol 1996;34: 919-23.
  16. Park KY, Son IP, Choi SY, Seo SJ, Hong CK. Combination peel with incorporated fractional prickle coral calcium for the treatment of keratosis pilaris: a pilot study. Journal of Dermatological Treatment 2014;25(4): 314-22. https://doi.org/10.3109/09546634.2012.671914
  17. Greg JG, Jennifer A. Postacne scarring: A qualitative global scarring grading system. Dermatologic Surgery 2006;32: 1458-6.
  18. Dreno B, Khammari A, Orain N, Noray C, Meria-kieny C, Mery S, et al. ECCA grading scale: an original validated acne scar grading scale for clinical practice in dermatology. Dermatology 2007;214: 46-51. https://doi.org/10.1159/000096912
  19. Kim HY, Hong SH, Park IH, Heo ES, Noh HM, Shin SH. Clinical Study of Twenty-seven Case of Treating Acne scar Using Microneedle Therapy and Subcision Combined with Bee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3): 101-13. https://doi.org/10.6114/jkood.2015.28.3.101
  20. Ghodsi SZ, Orawa H, Zouboulis CC. Prevalence, severity, and severity risk factors of acne in high school pupils : a community-based study.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9;129(9):2136-41. https://doi.org/10.1038/jid.2009.47
  21. Williams C, Layton AM. Persistent acne in women: implications for the patient and for therapy.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Dermatology 2006;7(5):281-90. https://doi.org/10.2165/00128071-200607050-00002
  22. Kim GY. Huangdi Neijing Su Wen. Seoul: Iljoongsa; 1998.
  23. Zhang JB. Lei Jing. BeiJing: Ren Min Wei Sheng Chu Ban She; 1965.
  24. Layton AM, Henderson CA, Cunliffe WJ. A clinical evaluation of acne scarring and its incidence. Clin Exp Dermatol 1994;19(4):303-8. https://doi.org/10.1111/j.1365-2230.1994.tb01200.x
  25. Seo HS. The Experimental Study on Anti-bacterial Potency of Soyum Herbal-acupuncture, Hwangryunhaedoktang & Coptidis rhizoma on Staphylococcus epidermidis. J.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6;19(2):19-25.
  26. Zhang JS. Yang Sheng Bao Jian Zhi Nan. Changchun: Zhong Lao Nian Jian Kang; 2015.
  27. Li GM. Ba Dou Ca Ji Zhi Liao Niu Pi Xuan 16Lie Lin Chuang Guan Cha. Shi Zhen Guo Yi Guo Yao 2005;16(2):134.
  28. Heo JE, Yoon JM, shin SH. Case study of treating acne scars using reconstruction of skin scars and auto microneedle therapy system. J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3;26(4):127-34. https://doi.org/10.6114/jkood.2013.26.4.127
  29. Hong WS. Hwangjenaegyeongyeongchu. Seoul: Jeontongmunhwayeonguhui; 1994.
  30. Moon HS, Kim SE, Ko DS, Lee EY. The Effect of microneedling and IPL on the Collagen Synthesis in Rat Skin. 58th Fall Conference Manual p.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