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미지황탕가미 및 침, 뜸 치료를 이용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험 1례

Case Report of Diabetic Neuropathy Treated with Palmijihwang-tang, Acupuncture, and Moxibustion

  • 우지명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강아름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이미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김수빈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정우상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문상관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 조기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순환신경내과학교실)
  • Woo, Ji-myung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Kang, Ah-reum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Lee, Mi-rim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Kim, Su-bin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Jung, Woo-sang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Moon, Sang-kwan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Cho, Ki-ho (Dept. of Cardiology and Neurology,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6.03.23
  • 심사 : 2016.06.01
  • 발행 : 2016.06.30

초록

Objective: Diabetic neuropathy is a common complication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this disease suffer from various peripheral sensory symptoms that are not easily alleviated. We report on a case of a patient with diabetic neuropathy whose symptoms were alleviated after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Methods: A patient with hand and foot numbness and coldness diagnosed with diabetic neuropathy was treated with Palmijihwang-tang (Bai Wei Di Huang Wa, 八味地黃湯) three times a day. The progress was evaluated with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neuropathy disability score (NDS), and neuropathy symptom score (NSS).Results: The improvement of symptoms appeared to be faster and more effective than that of conventional treatment. The improvement was observed from the second day of the treatment.Conclusions: This case study shows that Palmijihwang-tang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diabetic neuropathy.

키워드

Ⅰ. 서 론

당뇨병은 인슐린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결핍 및 조직의 인슐린 저항성에 기인한 것으로, 이로 인한 고혈당 및 이에 수반되는 대사 장애를 특징으로 한다1,2. 당뇨병으로 인한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중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말초신경 또는 자율신경이 침범된 가장 높은 빈도의 당뇨 합병증이다. 특징적인 증상은 통증, 저림, 열감, 감각둔화 등이 있다3,4.

당뇨병과 신경계와의 관련성은 1798년 Joh Rollo가 당뇨환자에서 하지의 통증과 이상감각을 기술한 이후 알려졌으며, 이러한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빈도는 진단기준, 대상환자군 및 진단 방법의 예민도에 다라 5~60%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5. 발생기전은 대사성, 혈관성 그리고 호르몬성 인자들이 신경 섬유의 손상이 신경 섬유의 복구보다 더 많이 일어나게 하여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손상은 보통 말초감각신경이나 자율신경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결과적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일으키게 된다6,7.

본 증례는 수족 저린감, 통증 및 냉증을 주소로 한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하여 팔미지황탕가미방으로 임상증상이 호전되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Ⅱ. 증 례

1. 성 명 : 김◯◯(여성 47세)

2. 주소증 : 사지말단 냉감, 저린감 및 통증

3. 발병일 : 2014년 9월

4. 진단명 : diabetic neuropathy

5. 과거력 : Type 2 diabetic mellitus[2010] Hyperlipidemia

6. 가족력 : 없음.

7. 사회력 : alcohol(−) Smoking(−)

8. 현병력

2010년 당뇨병 진단 후 인슐린 처방 받아 투여받고 있었으며,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았다. 2013년 9월부터 양슬부 밑으로 냉감 및 저린감, 통증 발생하였다. 2013년 11월 local 한의원에서 진료 봤으나 호전을 경험하지 못하여. 2013년 12월 ◯◯대학교병원에서 진료 봤으나 별무호전. 2014년 1월 16일 경희대학교 한방병원에 입원하여 치료 시작.

9. 검 사

1) 혈액학적 검사

(1) Glycated-Albumin % ratio : 24.8

(2) HbA1C : 7.3

2) 신경전도 검사 : ◯◯대학교 병원에서 신경전도 검사상 신경전도 속도 지연 소견 나왔으나, 결과 가지고 오지 않았음.

10. 계통적 문진

1) 耳 : 耳鳴

2) 舌 診 : 舌質淡苔薄白

3) 口 渴 : 口渴不欲飮

4) 食 慾 : 全無

5) 大 便 : 便秘(3日 1行)

6) 月 經 : 不定

7) 汗 : 自汗

8) 全 身 : 無氣力, 衰弱

9) 睡 眠 : 頻覺

10) 喀 痰 : 白薄

11) 寒 熱 : 惡寒, 喜溫, 上熱

12) 眩氣

13) 피 부 : 冷感

14) 四 肢 : 膝酸軟

11. 치료내용

1) 입원기간 : 2014년 1월16일-2014년 2월18일

2) 침치료 : 입원기간 중 매일 0.25×40 mm stainless steel(동방침구제작소, 일회용 호침)을 사용하여 1일 1회 20분 유침했으며, 선혈은 합곡, 내관, 조해, 양릉천, 족삼리, 팔풍혈로 했다.

3) 뜸치료 : 약쑥을 사용하여 팔풍혈에 직접구를 시행했으며 애주구를 사용하여 기해, 관원에 간접구를 시행했다.

4) 한약치료

(1) 2014년 1월 16일-2014년 2월 2일 : 육미지황탕 加 육계 6 g, 부자 30 g

(2) 2014년 2월 3일-2014년 2월 18일 : 육미지황탕 加 육계 6 g

5) 양약치료

(1) 본원의 내분비내과와 협진하에 치료

(2) 매일 Diabex 125 mg 3회, humalog 4IU 1회, Lantus 14IU 1회, Lipitor 10 mg 1회 복용했음.

(3) 최초 입원 시 Neurontin 400 mg 3회, tramadol 50 mg 3회 복용했으나 증상 호전되면서 tramadol 복용 중지, Neurontin은 100 mg 3회로 감량하여 복용하였다.

12. 평가방법

1) Numerical rating scale(NRS) : 주관적인 통증의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기 위하여 NRS를 사용하였다.

2) Neuropathy disability score8 : 환자의 증상으로 인한 실제 생활의 불편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3) Neuropathy symptom score9) :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을 여러 지표를 통해 다양한 방면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13. 치료경과

1) 2014년 1월 16일 : “손, 발 시림 및 저림 NRS 4점이에요”. Tramadol 등의 진통제 복용 중이여으며, 환자의 식이습관으로 인해 혈당 조절이 안되는 상태였음(NDS 4점, NSS 8점).

2) 2014년 1월 26일 : “손은 더 이상 안 시려워요” Neurontin 600 mg로 증량하였으나 Tramadol은 중단하였음.

3) 2014년 2월 8일 : “양말을 벗고 잘 수 있어요” 발 때문에 잠에서 깨는 것이 해소됨.

4) 2014년 2월 14일 : Neurontin 100 mg tid로 감량하고 증상 유지

5) 2014년 2월 18일 : 증상 경감된 상태로 퇴원 (NRS 손 0점, 발 1점, NDS 점, NSS 4점) (Fig. 1, 2, 3 참고).

Fig. 1Numerical rating scale of hands and feet symptoms.

Fig. 2.Neuropathy disability score.

Fig. 3.Neuropathy symptom score.

 

Ⅲ. 고찰 및 결론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3가지 치료의 축이 있다. 첫째는 혈당 관리를 해주는 것이고10,11, 두 번째는 발의 상처, 감염, 욕창을 방지하는 것이며12, 마지막으로 통증 관리를 위해 항우울제, 항전간제, NSAIDs, Opioids 등의 진통제를 사용하는 것이다13. 일반적으로 엄격한 혈당관리 하에 통증이 소실되는 경우는 12~16개월 정도 걸리며 55% 정도만 효과를 본다고 한다. 또한 위장 우회술로 비만 2형 당뇨병 환자를 관리할 경우 45%가 6개월 정도에 증상이 호전된다14,15. 당뇨병성 신경병증 대증요법의 첫 번째 약물은 항우울제와 항전간제이다. 대표적인 Opioid계 진통제인 Tramadol은 단기간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중독성이 있고, 오심, 변비, 두통 등의 부작용이 있다. 또한 항전간제인 Gabapentin의 경우 어지럼증, 실조 등의 부작용이 있다. 내복약 치료 외에 물리요법으로서 전기로 신경을 자극하는 TENS 요법과 수술적 감압술이 있지만 그 효용성에는 아직 논란이 있다16-19.

본 증례의 환자는 기운이 없고, 식은 땀이 나는 기허증상, 신체 쇠약, 상열감 등의 음허증상과 함께 口渴不欲飮, 오한, 피부 냉감, 요슬 산연 등 한증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陽虛證으로 변증을 하여 팔미지황탕을 사용하였다.

한의치료를 사용한 증례보고는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 육미지황환으로 9개월 만에 증상 소실 한 증례20가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기존 치료(Tramadol 및 neurontin)를 지속적으로 받고 있음에도 증상의 뚜렷한 호전이 없었다. 또한, 보통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경우 혈당 관리와 함께 증상 개선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나, 증상 개선의 시간은 보통 6개월 이상이 걸린다. 하지만 본 증례에서는 증상 개선은 2일째부터 시작되었다. 그 결과, 복용하던 진통제를 줄인 상태에서 통증이 경감되었으며, 이외에 증상에 의해 발생했던 수면장애도 개선되었다. 결과적으로 35일(5주)에 75% 증상경감으로 현재 나온 치료법 보다 뛰어난 경과를 보였다14,15. 본 증례에서는 증상개선의 시간이 매우 짧았으며, 이에 단기간에 진통제를 중단함으로써 약물부작용을 최소화하였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다양한 치료법을 같이 사용하였으므로 팔미지황탕에 한정된 효과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1례의 증례보고 이기 때문에 일반화하여 설명하기 힘든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이 증례보고에서는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팔미지황탕가미방으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참고문헌

  1. Du HG. Oriental Internal Medicine(Kidney system). Seoul: The Oriental Medicine Institue; 1991, p. 939-50.
  2.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Endocrinolog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90, p. 225, 252-3.
  3. Bronch-Johnsen K, Andersen PK, Deckert T. The effect of proteinuria on relative morthalith in type I diabetes mellitus. diabetologia 1985;28:590-6. https://doi.org/10.1007/BF00281993
  4. Greene DA, Sima AAF, Stevens MJ, Feldman EL, Lattimer SA. Complications: Neuropathy, pathogenetic considerations. Diabetes Care 1992;15:1902-25. https://doi.org/10.2337/diacare.15.12.1902
  5. Brown MJ, Asbury AK. Diabetic neuropathy. Ann Neurol 1984;15:2. https://doi.org/10.1002/ana.410150103
  6. Callaghan BC, Cheng HT, Stables CL, Smith AL, Feldman EL. Diabetic neuropath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urrent treatments. Lancet Neurol 2012;11(6):521. https://doi.org/10.1016/S1474-4422(12)70065-0
  7. Edwards JL, Vincent AM, Cheng HT, Feldman EL. Diabetic neuropathy: mechanisms to management. Pharmacol Ther 2008;120(1):1. https://doi.org/10.1016/j.pharmthera.2008.05.005
  8. Weintrob N, Amitay I, Lilos P, Shalitin S, Lazar L, Josefsberg Z. Bedside neuropathy disability score compared to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for measurement of diabetic neuropathy in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type 1 diabete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007;21(1):13-9. https://doi.org/10.1016/j.jdiacomp.2005.11.002
  9. Young MJ, Boulton AJ, MacLeod AF, Williams DR, Sonksen PH. A multicentre study of the prevalence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in the United Kingdom hospital clinic population. Diabetologia 1993;36(2):150. https://doi.org/10.1007/BF00400697
  10. Effect of intensive diabetes treatment on nerve conduction in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Ann Neurol 1995;38:869. https://doi.org/10.1002/ana.410380607
  11. Martin CL, Albers JW, Pop-Busui R. DCCT/EDIC Research Group. Neuropathy and related findings in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epidemiology of diabetes interventions and complications study. Diabetes Care 2014;37:31. https://doi.org/10.2337/dc13-2114
  12. Boulton AJ, Vinik AI, Arezzo JC, Bril V, Feldman EL, Freeman R, et al. Diabetic neuropathies: a statement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005;28(4):956.
  13. Callaghan BC, Little AA, Feldman EL, Hughes RA. Enhanced glucose control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ic neuropath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6:CD007543.
  14. Young RJ, Ewing DJ, Clarke BF. Chronic and remitting painful diabetic polyneuropathy. Correlations with clinical features and subsequent changes in neurophysiology. Diabetes Care 1988;11:34. https://doi.org/10.2337/diacare.11.1.34
  15. Müller-Stich BP, Fischer L, Kenngott HG, Gondan M, Senft J, Clemens G, et al. Gastric bypass leads to improvement of diabetic neuropathy independent of glucose normalization-results of a prospective cohort study (DiaSurg 1 study). Ann Surg 2013; 258(5):760. https://doi.org/10.1097/SLA.0b013e3182a618b2
  16. Sindrup SH, Andersen G, Madsen C, Smith T, Brosen K, Jensen TS, et al. Tramadol relieves pain and allodynia in polyneuropathy: a randomised,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Pain 1999;83(1):85. https://doi.org/10.1016/S0304-3959(99)00079-2
  17. Vedula SS, Bero L, Scherer RW, Dickersin K. Outcome reporting in industry-sponsored trials of gabapentin for off-label use. N Engl J Med 2009;361:1963. https://doi.org/10.1056/NEJMsa0906126
  18. Bril V, England J, Franklin GM, Backonja M, Cohen J, Del Toro D, et al. Evidence-based guideline: Treatment of painful diabetic neuropathy: report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Neuromuscular and Electrodiagnostic Medicine, and the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Neurology 2011;76(20):1758. https://doi.org/10.1212/WNL.0b013e3182166ebe
  19. Therapeutics and Technology Assessment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Chaudhry V, Stevens JC, Kincaid J, So YT. Practice Advisory: utility of surgical decompression for treatment of diabetic neuropathy: report of the Therapeutics and Technology Assessment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Neurology 2006;66(12):1805. https://doi.org/10.1212/01.wnl.0000219631.89207.a9
  20. Cho KH, Jung WS, Lee KJ. A case of Yukmijihwang-hwan’s effect on Diabetic neuropathy.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1999;20(1):28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