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mergence of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and the Formation of Entertaining Media-Political Sphere A New Pattern of Structural Coupling between the Political and the Media Systems

종합편성채널의 부상과 오락적 정론장(政論場)의 형성 정치-미디어 체계 간 구조적 접속의 새로운 양상

  • Jung, Junehee (Graduate School of Mass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 정준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 Received : 2016.03.05
  • Accepted : 2016.05.31
  • Published : 2016.06.15

Abstract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newly introduced around the beginning of the 2010s, have grown into powerful journalistic agencies, the far-reaching social influences of which are not confined by the economic effects within the South Korean media industry. They are now rendered to become part of major socio-political institutions that try to secure their privileges based on broadcast journalism, and to widen their business opportunities through those special kind of social practices. This research has taken a path of theoretical endeavour to devise a conceptual framework that will effectively lead to a series of academic investigation into the soci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To this end, specific attention is paid to such theoretical and conceptual resources as the instrumentalization of media by the politics, the political sociology of media power, media-political parallelism, and the structural coupling between the political and the media systems. This paper suggests that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have emerged as a new interface that accommodates and actualizes the structural coupling between the two societal subsystems, and in the course of that, they undercut the vulnerable basis of media public sphere, effectively replacing it with entertaining media-political sphere constructed and managed by themselves. This sphere is where the media system's logic and the poltical system's logic are intertwined, simutaneously accelerating not only the mediatization of the politics but also the politicization of the media.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종합편성채널이 단지 미디어 산업 내부에서의 경제적 효과에 국한되지 않는 광범위 사회적 영향력을 지닌 저널리즘 기구로 성장했다고 판단한다. 종합편성채널은 방송 저널리즘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행위에 기초를 두어 다양한 특권을 확보하고 그를 통해 비즈니스적 운신의 폭을 넓히는 사회정치적 제도의 일종인 셈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종합편성채널의 사회정치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론적 자원을 검토하고 적절한 개념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정치와 미디어 사이의 상호 관계성을 다루는 다양한 개념과 이론에 주목하는데, 정치에 의한 미디어의 도구화, 미디어 권력화, 정치 병행성, 정치-미디어 체계 간 구조적 접속 등이 그것이다. 이론적 검토와 개념화의 결과로, 이 연구는 종합편성채널이 정치 체계와 미디어 체계의 구조적 접속을 상시화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부상했으며, 미약하게나마 존재하고 있던 미디어 공론장의 쇠락을 촉진하면서 그것을 대체하는 오락적 정론장을 형성시켰다고 제안한다. 오락적 정론장은 정치 체계의 정치 논리와 미디어 체계의 미디어 논리가 착종되는 독특한 공간으로서, 정치의 미디어화는 물론 미디어의 정치화를 동시에 가속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로 인해 정치-미디어 체계 사이의 기존 경계가 붕괴되는 상황이 촉발될지, 아니면 제3의 체계 형성이 유도될지 속단하기는 아직 이르다. 다만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부상한 이 오락적 정론장이 정치 체계와 미디어 체계의 작동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분적 구조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타진해 볼 필요는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제신문 디지털뉴스부 (2016, 5, 23). 정두언.조해진.김유정.진성중... 낙선 정치인들 종편행. URL: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100&key=20160523.99002003106
  2. 금희조.조재호 (2015). 종합편성채널 시사 토크쇼 시청이 정치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9권 3호, 5-35.
  3. 김동률 (2009). 언론의 정치권력화: 재벌 정책 보도의 정권별 비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45호, 296-340.
  4. 김미라 (2012). 종합편성채널의 초기 편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2권 2호, 145-169.
  5. 김민남 (1995). 한국언론의 권력기관화. 방정배.김민남 편, <언론과 현대사회> (81-94쪽). 서울: 나남.
  6. 김영욱.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 - 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대한 담론 변화 분석: 노무현, 이명박 정부에 대한 보도 이데올로기 차원 비교 평가. <한국언론학보>, 53권 4호, 94-115.
  7. 류동협.홍성일 (2013). 종합편성채널 시사대담 프로그램의 차별화 전략과 그 효과. <방송통신연구>, 85호, 9-36.
  8. 박기묵.김광재 (2014). 방송시장의 경쟁구조와 뉴스 콘텐츠 품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권 12호, 706-722.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706
  9. 박승관.장경섭 (2000). 한국의 정치변동과 언론권력: 국가 - 언론 관계 모형 변화. <한국방송학보>, 14권 3호, 81-113.
  10. 박승관.장경섭 (2001). 한국 사회의 이중적 법질서와 언론 권력의 관계. <한국사회학>, 35권 2호, 91-114.
  11. 박지영.김예란.손병우 (2014). 종편 시사 토크쇼와 사담의 저널리즘. <언론과 사회>, 22권 2호, 5-63.
  12. 방송통신위원회 (2016, 4, 15). 2015년 고정형TV 시청 점유율 조사 결과. (보도자료) URL: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A05030000&dc=K00000001&boardId=1113&boardSeq=42327
  13. 양승목 (1995). 한국의 민주화와 언론의 성격 변화: '자율언론'의 딜레마. 유재천 외, <한국 사회 변동과 언론> (93-146쪽). 서울: 소화.
  14. 양승목 (2006). 언론과 정부의 관계. 오택섭 외. <현대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363-387쪽). 파주: 나남.
  15. 오연호 (2016, 2, 22). 진보 종편 오마이TV를 만듭시다. <오마이뉴스>. URL: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83621
  16. 유재천 (1991). 한국언론의 생성과 발전과정. 한국언론연구원 편, <한국의 언론 I> (17-84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17. 윤영철 (1995). 사회변동과 언론통제. 유재천 외, <한국사회변동과 언론> (181-225쪽). 서울: 소화.
  18. 윤영철 (2000). 권력이동과 신문의 대북 정책 보도: '신문과 정당의 병행관계'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7호, 48-81.
  19. 이기형 (2014). '종편 저널리즘'의 위상과 함의. <문화과학>, 78호, 104-128.
  20. 이영주.박정우 (2011). 지상파방송과 차별화된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시장 경쟁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2권 4호, 77-110.
  21. 이준웅.조항제.송현주.정준희 (2010). 한국사회 매체 체계의 특성: '민주화 이행 모형'의 제안. <커뮤니케이션 이론>, 6권 1호, 87-143.
  22. 이진로 (2003). 한국 언론의 국가, 자본 및 시민 등과의 관계 변화에 관한 역사적 연구: 1980-2003. <언론과학연구>, 3권 2호, 271-301.
  23. 정해윤 (2014, 10). '정치 예능무대' 넘어 '정치 사관학교'로? - 파워 업! 종편 시사토크. <신동아>.
  24. 조영신 (2012). 종합편성채널의 경제학: 갈림길의 선택. <방송문화연구>, 24권 1호, 39-74.
  25. 조지연.송주호.이봉규 (2011). 종합편성채널 도입에 따른 국내 미디어산업 변화 및 사업자 경쟁방안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2권 1호, 39-53.
  26. 조항제 (2001). 민주주의와 미디어의 권력화: 이론적 성찰. <언론과 사회>, 9권 3호, 6-39.
  27. 최세경 (2012). 종합편성채널의 편성전략, 장르 다양성 그리고 시청 성과. <방송문화연구>, 24권 1호, 75-109.
  28. 최영재 (2005). 언론의 정파성과 대통령 보도, 그리고 언론자유. <언론과 법>, 4권 2호, 49-80.
  29. 최용주 (1996). 정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의 언론과 정치의 상호침투. <언론과 사회>, 11, 6-33.
  30. 최용주 (1998). 정치와 미디어의 권력관계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42권 3호, 209-239.
  31. 최장집 (1994). 한국 민주주의와 언론. <언론과 사회>, 6, 40-64.
  32. 최진호.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 개입: 1987년 이후 13-17대 대선캠페인 기간의 주요 일간지 사설 분석. <언론과학연구>, 12권 2호, 534-571.
  33.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2014). <아시아 언론 지표(ANMB): 2013년 한국 보고서>. 서울: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한국 사무소.
  34. 하주용 (2010). 방송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종합편성채널 도입 정책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0권 3호, 73-98.
  35. 한상진 (1994). 시민사회운동과 언론개혁. <언론과 사회>, 6, 146-169.
  36. 홍성일 (2014). 보수적 방송 채널의 제도화 혹은 페니 프레스의 텔레비전화. <문화과학>, 78권, 90-102.
  37. Almlund, P. (2011, Apri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media system: A structural coupling or a new system? A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Luhmann in Action: Empirical Studies of Structural Couplings". IUC, Dubrovnik, Croatia.
  38. Artero, J. P. (2015). Political Parallelism and Media Coalitions in Western Europe. Working Paper. Oxford: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39. Blumler, J. G., & Gurevitch, M. (1975). The Crisis of Public Communication. London: Routledge.
  40. Bourdieu, P. (2005). Political, Social Science, and Journalistic Field. In R. Benson & E. Neveu (Eds.) Bourdieu and the Journalistic Field (pp. 29-47). Cambridge: Polity Press.
  41. De Albuquerque, A. (2013). Media/politics connections: beyond political parallelism. Media, Culture & Society, 35(6), 742-758. https://doi.org/10.1177/0163443713491302
  42. Esser, F., & Umbricht, A. (2013). Competing models of journalism? Political affairs coverage in US, British, German, Swiss, French and Italian newspapers. Journalism, 14(8), 989-1007. https://doi.org/10.1177/1464884913482551
  43. Esser, F., & Umbricht, A. (2014). The Evolution of Objective and Interpretative Journalism in the Western Press: Comparing Six News Systems since the 1960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9(2), 229-249.
  44. Feldman, L. (2011). Partisan Differences in Opinionated News Perceptions: A Test of the Hostile Media Effect. Political Behavior, 33, 407-432. https://doi.org/10.1007/s11109-010-9139-4
  45. Hallin, D., & Mancini, P. (2004). Comparing Media System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Hallin, D., & Mancini, P. (Eds.) (2012). Comparing Media Systems Beyond the Western Worl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King, M., & Thornhill, C. (2003). Niklas Luhmann's Theory of Politics and Law. London: Palgrave.
  48. Luhmann, N. (1990a). Political Theory in the Welfare State. Berlin: Walter de Gruyter.
  49. Luhmann, N. (1990b). Social System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0. Luhmann, N. (2000). The Reality of Mass Media. Cambridge: Polity Press.
  51. Luhmann, N. (2013). Theory of Society, Volume 1.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2. Mancini, P. (2012). Instrumentalization of the media vs. political parallelism. Chinese Journal of Communication, 5(3), 262-280. https://doi.org/10.1080/17544750.2012.701415
  53. Mazzoleni, G., & Schulz, W. (1999). 'Mediatization' of politics: A challenge for democracy?. Political Communication, 16(3), 247-261. https://doi.org/10.1080/105846099198613
  54. McCargo, D. (2011). Partisan polyvalence: characterizing the political role of Asian media. In D. C. Hallin & P. Mancini (Eds.), Comparing Media Systems Beyond the Western Worl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Moeller, H.-G. (2006). Luhmann Explained. Chicago, IL: Open Court.
  56.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ndon: Sage.
  57. Schulz, W. (2004). Reconstructing mediatization as an analytical concept.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19(1), 87-101. https://doi.org/10.1177/0267323104040696
  58. Siebert, F. S., Peterson, T., & Schramm, W. (1963). Four Theories of the Press. Chicago,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