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of Timespace and Locality in the Yoseba, Kotobuki

요세바 고도부키에서의 시공간과 로컬리티의 변화

  • Jo, Hyun-Mi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조현미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Received : 2016.02.05
  • Accepted : 2016.05.20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e most direc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Yoseba Kotobuki was the end of World War II. As city rebuilding projects began vibrantly overlapping, the vitalization in Kotobuki was adopted by the laborers coming in from various parts throughout of the country. Just as the period of economic revival from the special demand created by the Korean War got underway, the aftermath of the worldwide economic recession due to the oil crisis had a direct effect on even the labor market. Moreover, as the vitality of the labor market gradually fizzled out from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caused by the burst of the economic bubble, the labor base that had once been the pillar of the Japanese economy began to age and could no longer perform this role. As these aging laborers came to receive public assistance, the doya managers began repairing the doya and Kotobuki began to change again. The historical times which affected the changes in Yoseba Kotobuki's locality are in the lives of its members--the laborers--and the times themselves, which operate on the micro level; however, in those times, the national and the global time of the nation-state interact and are linked in multiple layers.

요세바는 일용직노동자에게 있어서 구직과 구인의 공간이면서 거주공간이기도 하다. 일용직노동자의 삶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경기의 변화이며, 경기의 변화는 국가 혹은 국제관계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노동자의 삶을 둘러싼 거주환경은 노동자의 경제적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변화하므로 역시 국가적이며 국제적이다. 요세바 고도부키라는 지역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의 종식이다. 도시재건사업이 활발히 전개되기 시작하면서 고도부키 지역은 전국각지에서 몰려온 노동자로 활기를 띠게 된다. '한국전쟁특수'를 통한 경제부흥 시기를 거쳐 석유파동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공황에 따른 경기침체로 일본의 내수경제도 침체하게 되고, 경기침체의 여파는 노동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었다. 또한 거품경제의 붕괴로 인한 장기적인 경제불황으로 노동시장의 활기도 점차 식어가면서 한때 일본경제의 역군이었던 노동자들은 더 이상 제 역할을 담당하지 못한 채 고령화 되어갔다. 고령의 노동자들이 생활보호를 받게 되면서 도야경영자들은 도야를 보수하기 시작했고, 장애자와 고령자를 위한 개호업자들이 줄지어 들어서면서 고도부키는 다시 변화하기 시작했다. 요세바 고도부키에 있어서 로컬리티 변화에 작용한 역사적 시간들은 구성원인 노동자의 삶에 있어서는 미시적으로 작용한 시간들이지만 그 시간들에는 국민국가의 내셔널 시간과 글로벌 시간이 중층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지석, 2009, 로컬리톨로지를 위한 시론, 로컬리티인문학의 새로운 지평, 혜안, 19-40.
  2. 린다 맥도웰지음, 여성과 공간연구회 옮김, 2010,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McDowell, Linda, 1999, Gender, identity and place: understanding feminist geographies, Polity Press).
  3. 이유혁, 2015, 트랜스로컬리티의 개념에 대해서-트랜스내셔너리즘의 차이와 개념적 응용성을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13, 265-275.
  4. 임승연, 이영민, 2011, 오사카 한인타운의 장소성과 재일한인 정체성의 관계적 특성연구, 로컬리티인문학, 5, 87-123.
  5. 장세용, 2014, 로컬, 주체, 타자, 로컬리티 인문학, 11(4), 279-288.
  6. 장세룡, 2015, 영화 '국제시장'에서 보는 로컬시간과 로컬리티의 시간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의 인문학, 43, 6-7.
  7. 조현미, 2000, 재일동포의 집주지역형성과 민족정체성의 변화: 요세바 고도부키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5(1), 141-157.
  8. 조현미, 2013, 베트남 북부지역의 국제결혼의 증가와 초국가적 사회공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3), 494-513.
  9. 이혜진, 2014, 이주과정을 통해본 에스닉 네트워크와 노동경험: 일본 요코하마 고도부키초의 한국인미등록노동자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47, 213-253.
  10. 梶村秀樹, 1981, 在日朝鮮人の生活史, 神奈川県, 神奈川県史 各論編 I, 政治.行政.
  11. 川添慶一郎, 1993, 寿からみた外国人労働者. 神奈川在日外国人問題研究所: 在日外国人.ともに暮す.かながわ ; もっとあなたに出会いたい (財)神奈川県国際交流協会, 12-13.
  12. 田代国次郎, 1966, 都市の福祉問題-川崎市のドヤ街とスラム街の実態, 福祉問題研究, 童心社, 1-31.
  13. 牛草英晴, 1993, 釜ヶ崎-人と人生, 釜ヶ崎資料センター編, 釜ヶ崎.歴史と現状, 三一書房, 113-165.
  14. 寿.木曜パトロールの会, 1989冬.寿からの報告, 日本寄 せ場学会, 寄せ場, 3, 116-126.
  15. 寿地区活動関係資料, 寿センター, 1980년대 중반(추정)
  16. 芹沢勇, 1967, ドヤ街の発生と形成ー横浜埋地(西部の町)について, 横浜市総務局行政部調査室, 横浜市.
  17. 高橋徹, 1998, 寿町と中村川, 神奈川のなかの朝鮮編集委員会, 神奈川のなかの朝鮮, 石書店, 66-79.
  18. 山本薫子, 2008, グローバル化する大都市インナーエリア 横浜.寿町と外国人, 福村出版.
  19. 横浜市健康福祉局生活福祉部, 平成26年度(2014年) 寿福祉プラザ相談室ー業務の概要.
  20. Massey, D, 1991, The political place of locality studi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23(2), 267-281. https://doi.org/10.1068/a230267
  21. Massey, D, 1994, Space, Place, and Gende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p.280.
  22. Timothy S. Oakes/Patricia L. Price, 2008, The cultural geography reader, Routledge.
  23. (財)寿町勤労者福祉協会 http://www.yokohama-kotobuki.or.jp/
  24. NPO법인 사나기다치(さなぎ達) http://www.sanagitachi.com/
  25. 요세바학회 http://www.jca.apc.org/nojukusha/gakk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