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Gangnam and the Formation of Gangnam-style Urbanism : On the Spatial Selectivity of the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의 공간선택성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4.15
  • Accepted : 2016.05.20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how Gangnam, as a model and standard of compressed urbanization in South Korea, was created. Gangnam and Gangnam-style urbanization need attention not only because they contrast with Korea's urbanization in the past as well as urbanization in the West but also they provide an important model in contemporary Kore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However, there are little studies of how Gangnam's peculiar urbanism was created. To fill this gap, this article will first capture Gangnam's peculiar urbanism as a material landscape and sociocultural lifestyle. Gangnam-style urbanism is (a) materially characterized by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owned by the middle and upper class for dwelling and asset growth and (b) socio-culturally characterized by political conservatism, public indifference, competition over academic performance, appearance, and fashion, and nightlife. Then it will show Gangnam's archetype was created in a spatially and temporally compressed way in and through the spatial selectivity of Korean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strategies: (1) anti-communism led to the diffusion and accommodation of the population through apartments in Gangnam in the context of its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and the fast-growing population of Seoul; (2) military authoritarianism excluded the low-income class and the urban poor from urban development; and (3) the developmental state adopted selective housing policy which treated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middle class preferentially through exceptional zoning and price distortions,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in Gangnam and its resultant uneven development.

이 논문은 한국의 압축도시화의 한 사례이자 표준으로서 서울의 강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남 및 강남 스타일의 도시화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한국의 도시화 양상 및 서구의 도시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대 한국의 삶에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매우 크다. 하지만 그럼에도 강남의 독특한 도시성(urbanism)이 어떠한 사회적 조건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선망이 되는 물질적 풍경이자 생활양식으로서의 강남적 도시성의 특징을 서술한다. 강남적 도시성은 물질적 공간의 측면에서 중상층이 주거와 자산증식을 위해 소유하는 고급 고층 아파트 단지를 특징으로 하고, 사회문화적 생활양식의 측면에서 정치적 보수성, 사적몰입과 공적 무관심, 학력, 외모, 패션 등에서의 경쟁, 유흥문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강남적 도시성의 원형은 한국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 전략의 공간선택성 속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압축적으로 형성되었다. 즉 그것은 북한과 대치상황 및 서울로의 인구집중 속에서 강북개발과 영등포개발을 억제하고 강남개발과 아파트를 통해 인구를 급히 분산하고 수용해야 했던 반공주의 국가의 필요성, 서민과 도시빈민을 도시개발에서 공간적으로 배제하는 권위주의 국가의 특성, 그리고 예외공간과 가격왜곡을 통해 건설자본과 중산층에 특혜를 부여하고 강남의 아파트 건설과 불균등 발전을 촉진한 발전국가의 선별적 주택산업정책이 결합되어 만들어낸 공간 선택성에 의해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만, 2006, 강남, 낯선 대한민국의 자화상, 인물과사상사, 서울.
  2. 강준만, 2011, 강남 좌파 - 민주화 이후의 엘리트 주의, 인물과사상사, 서울.
  3. 김동완, 2013, 불균등발전과 국가공간: 불균등발전론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 국가와지역, 알트, 서울, 126-165.
  4. 김병린, 2011, '불도저' 김현옥과 함께 서울 지도를 싸-악 바꿨다, 서울 나는 이렇게 바꾸고 싶었다,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서울, 67-137.
  5. 김종희, 1969, 아파아트를 해부한다: 아파아트 생활을 한 주부의 의견, 도시문제, 4(8월호), 41-51.
  6. 김진업 (편), 2001,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형성과 해체, 나눔의집, 서울.
  7. 김창석, 2002, 서울시 상류계층(파워엘리트)의 주거 분포 특성과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5), 65-80.
  8. 김현옥, 1969, 시민아파아트 건립사업, 도시문제, 4(12), 4-11.
  9. 매일경제, 2015, '주홍글씨' 못 뗀 임대아파트, 2015 년 2월 3일. http://estate.mk.co.kr/news2011/view.php?year=2015&no=110733
  10. 박배균, 2012, 한국 지역균형정책에 대한 국가공간론적 해석, 기억과전망, 27(겨울호), 81-130.
  11. 박배균, 2009, 한국에서 토건국가 출현의 배경: 정치적 영역화가 토건지향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시론적 연구, 공간과사회, 31, 49-87.
  12. 박인석, 2013, 아파트 한국사회: 단지공화국에 갇힌 도시와 일상, 현암사, 서울.
  13. 박철수, 2013, 아파트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 마티, 서울.
  14. 박해천, 2009, 콘크리트 유토피아, 자음과모음, 서울.
  15. 박해천, 2013, 아파트게임, 후마니타스, 서울.
  16. 박해천, 2015, 아수라장의 모더니티, 워크룸프레스, 서울.
  17. 손정목, 2003a, 서울도시계획이야기1, 한울, 서울.
  18. 손정목, 2003b, 서울도시계획이야기3, 한울, 서울.
  19. 손정목, 2003c, 서울도시계획이야기5, 한울, 서울.
  20. 손정목, 2005a,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 1, 한울, 서울.
  21. 손정목, 2005b,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 2, 한울, 서울.
  22. 손정원, 2006, 개발국가의 공간적 차원에 관한 연구, 공간과사회, 25, 41-79.
  23. 연합뉴스, 2011, 주택보급률 101.9% ... 아파트 비중 59%, 2011년 7월 7일.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7/07/0200000000AKR20110707086100002.HTML
  24. 유정화, 2003, 성형외과의 입지와 방문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강남구를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42, 33-60.
  25. 이동헌.이향아, 2011, 강남의 심상규모와 경계짓기의 논리, 서울학 연구, 42, 123-171.
  26. 임덕호, 2003, 주택시장 선진화를 위한 후분양제 도입, 한국주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3년 제3호
  27. 임동근.김종배, 2015,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반비, 서울.
  28. 장경섭, 2009, 가족 생애 정치경제, 창비, 파주.
  29. 전강수, 2012,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강남개발, 역사문제연구, 28, 9-38.
  30. 전상인, 2009,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이숲, 서울.
  31. 조석곤.오유석, 2003, 압축성장을 위한 전제조건의 형성-1950년대 한국자본주의 축적체제의 정비를 중심으로,동향과 전망, 59, 258-302.
  32. 조선일보, 2015, 강남 안의 강남.북... '테남.테북' 아시나요, 2015년 5월 21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5/20/2016052001491.html
  33. 조선일보, 2014, 이사 떡, 다시는 안 돌릴래요, 2014년 3월 31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3/31/2014033100110.html
  34. 최장집, 1993,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 한길사, 서울.
  35. 한종수.계용준.강희용, 2016, 강남의 탄생: 대한민국의 심장 도시는 어떻게 태어났는가, 미지북스, 서울.
  36. 홍두승.김미희, 1991, 도시 중산층의 생활양식: 주거생활을 중심으로, 성곡논총, 19.
  37.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5, 2015 한국 부자 보고서, 2015년 6월.
  38. Bourdieu, P., 1995,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상/하), 최종철 (역), 새물결, 서울.
  39. Brenner, N., 2004, New State Spaces: Urban Governance and the Rescaling of Statehoo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40. Castells, M., 1977, The Urban Question: A Marxist Approach, Edward Arnold, London.
  41. Gelezeau, V., 2006, 아파트공화국: 프랑스 지리학자가 본 한국의 아파트, 길혜연(역), 후마니타스, 서울.
  42. Jessop, B., 1990, State Theory: Putting the Capitalist State in Its Place, Polity Press, Cambridge.
  43. Lefebvre, H., 1991, The Production of Space. Translated by Donald Nicholson-Smith, Blackwell, Oxford.
  44. Poulantzas, N., 1974, Fascism and Dictatorship: The Third International and the Problem of Fascism, Verso, London
  45. Wirth, L., 1969, Urbanism as a Way of Life, in Sennett, R. (ed.), Classic Essays on the Culture of Cities, Appleton Century Crofts, New York, 150-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