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solution of Pre-capitalistic Distributional System - From 1876 to 1910 -

전(前)자본주의 분배체계의 해체 - 환곡을 중심으로 1910년 강제병탄까지 -

  • Received : 2016.04.10
  • Accepted : 2016.05.19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re-capitalistic distributional system in association with politics and economics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al system between 1876 (the opening of a port era) and 1910.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istributional system reflect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pre-capitalistic society. The examination indicat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questions. First, we need a new narrative of Chosun's distributional system before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Chosun's distributional system can be identified as a self sufficient system (Hwan-gok). Second, most social welfare literature discuss private self sufficient system such as Gye or Hwang-Yak as the distributional system in the pre-modern Chosun; however, this does not accurately explain the system of Chosun society. Implication of such finding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1876년 개항을 전후한 시기부터 1910년까지의 분배체계를 검토하면서 전자본주의 사회의 분배체계를 정치와 경제의 연관성 하에서 이해하려고 했다. 너무나 당연한 결론이지만 분배체계는 한 사회의 정치적 경제적 특성과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명제가 전자본주의 사회에서도 여전히 통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경제적 변화에 조응하지 못하는 분배체계는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라는 사실을 환곡이 세금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통해서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몇 가지 중요한 함의와 질문을 도출해 냈다. 하나는 일제강점기 이전 조선사회의 분배체계에 대한 새로운 서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른 하나는 대부분의 사회복지 문헌들에서 근대이전의 조선의 분배제도로 '계'와 '향약' 등 민간에서 이루어진 자조적 제도를 언급하지만 이는 조선사회의 분배체계, 특히 조선후기 분배체계의 특성을 적확(的確)하게 설명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제도가 진공상태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선이 자본주의 세계체계에 편입된 개항을 전후한 조선후기의 분배체계에 대한 이해 현재 한국사회의 분배체계(복지체제)를 이해하는 출발점으로 다시 복원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정기.최원규.진재문. 2010. 사회복지의 역사개정판. 서울: 나남.
  2. 강만길. 1971. "京江商人硏究: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성립" 아세아연구, 142: 23-47.
  3. 강만길. 1972. "開城商人硏究" 韓國史硏究, 8: 613-636,
  4. 고동환. 1991. "19세기 부세운영의 변화와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편, 1894년 농민전쟁연구 1: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pp. 71-125. 서울: 역사비평사.
  5. 고동환. 1994. "1811-12년 평안도 농민전쟁." 강만길.김남식.김영하.김태영.박종기.박현채.안병직.정석종.정창렬.조광.최광식.최장집 엮음, 한국사 10: 중세사회의 해체 2, pp. 61-148. 서울: 한길사.
  6. 고동환. 2003. "동학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39: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pp. 269-282. 서울: 탐구당.
  7. 고석규. 2003. "서북지방의 민중항쟁."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36: 조선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pp. 213-277. 서울: 탐구당.
  8. 권태연. 2009. "'홍경래 난' 연구의 쟁점." 한국인물사연구, 11: 401-425.
  9. 길현종. 2005. 대한제국기 공공복지의 내용과 성격에 관한 연구: 공공복지 전담기관인 혜민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김광진.정영술.손전후, 1988, 조선에서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전, 서울: 열사람.
  11. 김상균. 1989. "사회복지사 연구와 사회복지학의 이론." 하상락 편, 韓國社會福祉史論, pp. 19-37. 서울: 박영사, p. 33.
  12. 김용섭. 1995. 증보판 朝鮮後期農業史硏究[I]: 農村經濟.社會變動. 서울: 지식문화사.
  13. 김재호. 2010. "조선후기 중앙재정의 운영: 六典條例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헌창편, 조선후기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 pp. 41-74.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4. 김재호. 2011. "조선왕조 장기지속의 경제적 기원." 經濟學硏究, 594: 53-117.
  15. 김정인. 2010.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주의." 역사와 현실, 77: 179-214.
  16. 도면희. 2003. "개항 후의 국제무역."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9: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pp. 137-182. 서울: 탐구당, p. 149.
  17. 문용식. 1990. "19세기 前半 還穀 賑恤機能의 變化過程." 釜山史學, 19: 79-118
  18. 문용식. 2000. 朝鮮後期 賑政과 還穀運營. 서울: 경인문화사.
  19. 문용식. 2006. "與地圖書를 통해 본 18세기 조선의 환곡 운영 실태." 한국사학보, 25: 495-529, p. 500.
  20. 梶村秀樹. 1983. "李朝末期 綿業의 流通 및 生産構造." 사계절 편집부편, 韓國近代經濟史硏究, pp. 101-212. 서울: 사계절
  21. 박기수. 2007. "한국과 중국의 자본주의맹아론." 사림, 28: 203-248.
  22. 박상일. 1971. 한말 및 일정시대의 사회사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박이택. 2010. "17,18세기 환곡에 대한 제도론적 접근: 재량적 규제체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헌창 편, 조선후기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 pp. 175-207.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 183.
  24. 송찬섭. 1999. "韓末 社還制의 成立과 運營" 한국사론, 41.42: 789-842.
  25. 송찬섭. 2002. 朝鮮後期 還穀制改革硏究.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6. 송찬섭. 2003. "삼남지방의 민중항쟁."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6: 조선 후기 민중사회, pp. 277-335. 서울: 탐구당.
  27. 신영우. 2003. "동학농민군의 재기."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9: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pp. 421-447. 서울: 탐구당.
  28. 신용하. 2003. "개화파의 형성과 활동."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8: 개화와 수구의 갈등, pp. 15-51. 서울: 탐구당.
  29. 안병태. 1982. 한국근대경제와 일본 제국주의. 서울: 백산서당.
  30. 안상훈.조성은.길현종. 2005. 한국 근대의 사회복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31. 양진석. 1999. "17세기 후반 환곡분급방식의 형성." 규장각, 22: 119-134.
  32. 오영교. 1994. "1862년 전국농민항쟁," 강만길.김남식.김영하.김태영.박종기.박현채.안병직.정석종.정창렬.조광.최광식.최장집 엮음, 한국사 10: 중세사회의 해체 2, pp. 105-148. 서울: 한길사.
  33. 오일주. 1992. "조선후기 재정구조의 변동과 환곡의 부세화." 실학사상연구, 3: 59-118
  34. 우윤. 1994. "갑오농민전쟁." 강만길.김남식.김영하.김태영.박종기.박현채.안병직.정석종.정창렬.조광.최광식.최장집 엮음, 한국사 12: 근대민족의 형성 2, pp. 131-154. 서울: 한길사
  35. 원재영. 2014. 朝鮮後期 荒政 연구.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36. 이세영. 1994. "개항기 지주제의 변동."
  37. 강만길.김남식.김영하.김태영.박종기.박현채.안병직.정석종.정창렬.조광.최광식.최장집 엮음, 한국사 12: 근대민족의 형성 2, pp. 61-93. 서울: 한길사.
  38. 이영학. 2003.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상품작물의 지배."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3: 조선 후기의 경제, pp. 32-68. 서울: 탐구당.
  39. 이영호. 2011. "내재적 발전론 역사인식의 궤적과 전망." 한국사연구, 152: 239-274.
  40. 이영훈. 2002. "조선후기 이래 소농사회의 전개와 의의." 역사와 현실, 45: 3-38.
  41. 이영훈.최윤오.이세영.김건태.김재호.왕현종.김선경. 2002. "토론: 조선후기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역사와 현실, 45: 73-126.
  42. 이윤상. 1994. "열강의 이권침탈과 경제의 예속화 과정."강만길.김남식.김영하.김태영.박종기.박현채.안병직.정석종.정창렬.조광.최광식.최장집 엮음, 한국사 11: 근대민족의 형성 1, pp. 265-302. 서울
  43. 이헌창. 2003. "무역구조의 변동과 시장권의 재편성."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44: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pp. 153-178. 서울: 탐구당, pp. 153-154.
  44. 이헌창. 2008. "조선 후기 資本主義萌芽論과 그 代案." 韓國史學史學報, 17: 77-128.
  45. 이헌창. 2010. "조선왕조의 경제통합체제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이헌창 편,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 pp. 439-472.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46. 임병훈. 1991. "18.9세기 광업.수공업생산의 발전과 '자본주의맹아론'." 동양학학술회의강연, 20: 77-92.
  47. 전석담.허종호.홍희유, 1989, 조선에서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서울: 이성과 실천.
  48. 정승진. 2009. "金容燮의 原蓄論과 社會經濟史學의 전개: 朝鮮後期農業史硏究 I.II." 韓國史硏究, 147: 335-356.
  49. 정주신. 2007. "조선후기 개성상인의 성장과 그 쇠퇴요인 일고찰." 아태연구, 142: 21-47.
  50. 정진상. 2003. "동학농민군의 폐정개혁 요구."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9: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pp. 353-375. 서울: 탐구당.
  51. 정창렬. 1994. "근대국민국가 인식과 내셔널리즘의 성립과정."강만길.김남식.김영하.김태영.박종기.박현채.안병직.정석종.정창렬.조광.최광식.최장집 엮음, 한국사 11: 근대민족의 형성 1, p. 61-77. 서울: 한길사.
  52. 정창렬. 2003. "동학농민전쟁의 역사적 의의."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9: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pp. 487-510. 서울: 탐구당
  53. 정향지. 1993. 朝鮮後期 賑恤政策 硏究: 18世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54. 정향지. 1997. "숙종대 賑恤政策의 성격" 역사와 현실, 25: 48-86, pp. 51-2.
  55. 조성윤. 1994. "임오군란." 강만길.김남식.김영하.김태영.박종기.박현채.안병직.정석종.정창렬.조광.최광식.최장집 엮음, 한국사 12: 근대민족의 형성 2, pp. 131-154. 서울: 한길사.
  56. 中村哲, 2007, "동북아시아 경제의 근세와 근대, 1600-1900," 나카무라 사토루.박섭 엮음, 근대 동아시아 경제의 역사적 구조, pp. 19-57. 서울: 일조각.
  57. 차남희. 1991. "후기 조선사회에 있어서의 자본주의 농촌침투와 농민운동." 한국정치학보, 251: 75-101.
  58. 차남희.윤현수. 2004. "자본주의의2008 농촌침투와 농민운동: 1984년 갑오농민전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연구논총, 12: 21-46, p. 29. 한길사, p. 273
  59. 최원규. 2003. "개항기 지주제와 농업경영."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9: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pp. 243-266. 서울: 탐구당.
  60. 최원규. 1989. "조선후기의 아동복지." 하상락 편, 韓國社會福祉史論, pp. 245-278. 서울: 박영사.
  61. 최윤오. 2002. "조선후기 사회경제사 연구와 근대: 지주제와 소농경제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45: 39-71.
  62. 최익한. 2013[1947]. 조선사회정책사. 송찬섭 엮음. 서울: 서해문집.
  63. 하원호. 1997. 한국근대 경제사연구. 서울: 신서원.
  64. 하원호. 1991. "곡물의 대일수출과 농민층의 저항." 한국역사연구회 편, 1894년 농민전쟁연구 1: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pp. 243-303. 서울: 역사비평사.
  6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출처: http://encykorea.aks.ac.kr/ 접근일 2015년 7월 30일 오전 10:20.
  66. 한국복지연구회 편. 1985. 사회복지의 역사. 서울: 이론과 실천.
  67.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015. 100대 통계: GDP명목, 계절조정. 접근일 2015년 7월 31일 오후 12:23. http://ecos.bok.or.kr/flex/Key100Stat_k.jsp
  68. 홍경준. 1998. "한국과 서구의 국가복지 발전에 대한 비교사적 검토: 전통과 탈현대의 사이에서." 한국사회복지학, 35: 427-451.
  69. Bottomore, T. ed. 1983. A dictionary of Marxist thought (2nd ed.). Malden, Massachusetts: Blackwell.
  70. Marx, K. 2000[1857]. 정치경제학 비판요강 I. 김호균 옮김. 서울: 그린비.
  71. Marx, K. 2008[1867]. 자본 I: 경제학 비판. 강신중 옮김. (Das Kapital, Kriik derpolitischen Okonomie I, 4th ed, 1890). 서울: 도서출판 길.
  72. Marx, K. 2010[1894]. 자본 III: 경제학 비판. 강신준 옮김. (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Okonomie). 서울: 도서출판 길.
  73. Mielants, E. 2012[2007]. 자본주의의 기원과 서양의 발흥. 김병순 옮김. (The origins of capatalism and the rise of the west). 서울: 글항아리.
  74. OECD. 2016. Social Expenditure: Aggregated ata. 출처: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SOCX_AGG. 접근일. 2016 년 3월 17일.
  75. Schweinitz, K. 2001[1943]. 영국 사회복지 발달사: 1349년 노동자 조례에서 1942년 베브리지 보고서까지. 남찬섭 옮김 (England's road to social security: From the Statute of Laborers in 1349 to the Beveridge Report of 1942, 1961 Republication Ed.). 서울: 인간과 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