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onsistent Welfare Attitude and NOOMP

복지태도의 이중성 - '눔프'현상과 집단별 차이 -

  • Received : 2016.01.12
  • Accepted : 2016.04.24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the NOOMP(Not Out of My Pocket) phenomenon, the inconsistent welfare attitude for an expansion of welfare system and increase of financial resources. By analyzing the scale and influential factors of the NOOMP to the main welfare programs, focusing on the class, gender, and age group, the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OMP and the inherent stratification structure of each programs. This paper uses the Additional Survey of Welfare Attitude in 2013 Korea Welfare Panel Survey. As a result of analysis, low level of NOOMP phenomenon has been observed in welfare programs for whole society members such as health policies, pension, employment policies, compared to those of targeted programs for the poor, aged, or disabled. In addition, high probability of each group of 'low incomer', 'female', and '20s or less'to the NOOMP phenomenon has been appeared, therefore, high relevance of the NOOMP and the stratification structure of welfare programs have been confirm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nsition to the universal welfare programs and the improvement of welfare programs for more equal structure are needed to reduce the NOOMP phenomenon.

본 연구는 복지제도의 확대는 찬성하지만 재원 확보를 위한 증세는 거부하는 '눔프'현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지제도의 개혁과정에서 이해관계의 충돌에 따른 갈등 발생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계층, 젠더, 연령 집단을 중심으로, 주요 복지제도별 눔프현상의 규모와 요인을 분석하여, 복지제도에 내재한 불평등 구조와 눔프현상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부가조사인 복지인식 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급여 대상이 특정 취약계층으로 제한되는 제도에 비해 전체 사회구성원의 복지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건강정책, 연금, 고용정책, 주거정책 등에서 낮은 눔프현상이 관찰되었다. 눔프현상의 규모와 발생 가능성은 '소득 1분위', '여성', '20대 이하'에서 높게 나타나, 복지제도에 내재한 불평등 기제와 눔프현상의 높은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보편적 복지로의 전환과 복지제도에 내재된 불평등 요인의 개선이 눔프현상의 완화와 복지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대안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호.김영옥, 2012, "국민연금 수급률 추정 및 성별 연금격차 분석", 여성경제연구, 9(1): 49-76.
  2. 국립국어원, 2014, 2014년 신어.
  3. 김사현, 2015, "한국인의 복지태도 불일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복지지출과 증세에 대한 태도불일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1): 27-57.
  4. 김상균, 1994, "한국인의 복지의식", 사회과학과정책연구, 16(1): 121-167.
  5. 김상호, 2007, "공적연금제도와 세대 간 갈등", 분쟁해결연구, 5(1): 37-53.
  6. 김수완, 2008, "여성 사회권 관점에 의한 한국 연금개혁의 재구성",한국여성학, 24(3): 147-176.
  7. 김수정, 2014, "한국인의 복지태도에서 성별 격차", 여성학연구, 25(1): 63-91.
  8. 김연명, 2013, "기초노령연금법 개정안의 쟁점과 대안", 의정연구, 19(2): 293-301.
  9. 김연명.김승욱 역, 1990,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Gough, I., 1981,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Welfare States, 서울: 한울아카데미.
  10. 김영란, 1995, "한국인의 복지태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김영순, 1996, 복지국가 위기와 재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2. 김영순.여유진, 2011, "한국인의 복지태도: 비계급성과 비일관성 문제를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91: 211-240.
  13. 김윤태.서재욱, 2014, "한국의 복지태도와 복지제도: 개별 복지제도에 대한 경제활동 인구의 태도", 동향과전망, 90: 331-378.
  14. 김윤태.유승호.이훈희, 2013, "한국의 복지태도의 정치적 역동성: 탈계급성과 정치적 기회의 재평가", 한국학연구, 45: 183-212.
  15. 김태성.성경륜, 2010,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
  16. 김희연.이재광.최석현.최영기, 2013, "복지의 새로운 영역, '사회적경제'", 이슈&진단, 100: 1-21.
  17. 노대명.전지현, 2011,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011-19,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류만희.최영, 2009,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도 연구: 복지의식, 계층, 자기이해(self-interest)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3(1): 191-210.
  19. 류연규.황정임, 2008, "국민연금제도에서 나타나는 젠더 차이에 대한 연구: 급여 적절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4(2): 73-112.
  20. 류진석, 2004, "복지태도의 미시적 결정구조와 특성", 한국사회복지학, 56(4): 79-101.
  21. 모지환.김행열, 2009, "한국인의 복지인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동북아연구소, 24(1): 179-199.
  22. 박재홍, 2001, "세대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 24(2): 47-78.
  23. 박찬웅, 2006, 시장과 사회적 자본, 서울: 그린출판사.
  24. 박형신, 2012, "한국 보수 정권 복지정치의 감정 동학", 사회와이론, 20: 225-264.
  25. 배진희.신정관, 2014. "복지의식이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45: 125-160.
  26. 석재은, 2012, "한국의 연금개혁과 젠더레짐의 궤적: 젠더통합 전략을 통한 젠더 평등을 향하여", 한국여성학, 28(3): 95-144.
  27. 신광영.조돈문.이성균, 2003, 경제위기와 한국인의 복지의식 - 사회계급별 복지의식을 중심으로, 서울: 집문당.
  28. 신윤정.정경희.김수봉.손창균.이수형.이지혜, 2009,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국민 체감도 및 우선순위 조사 ,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심석무, 1999, "납세자의 세제인지도에 따른 성실납세의지 분석", 회계정보연구, 12: 215-233.
  30. 안상훈, 2000, "복지정치의 사회적 균열구조에 관한 연구: 계급론의 한계와 새로운 분석틀", 한국사회복지학, 43: 193-221.
  31. 안치민, 1995,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과 계급",고려사회학논집, 9(1): 211-227.
  32. 양재진.민효상, 2013, "한국복지국가의 저부담 조세체제의 기원과 복지 증세에 관한 연구", 동향과전망, 88호: 48-96.
  33. 우아영, 2000, "복지의식에 관한 사회계급간 비교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4. 우해봉.한정림, 2014,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 개혁('98, '07)의 성별 영향 비교 분석", 한국보험학회, 99: 121-154.
  35. 유희원.이주환.김성욱, 2015, "한국의 성별 연금격차", 2015 사회정책연합공동학술대회 자료집, 충북 오송, 2015년 10월 16일.
  36. 윤성이.이민규, 2014,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세대 간 특성 비교: 주관적 이념 결정요인과 이념표상의 차이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24(3): 271-292.
  37. 윤찬영, 2010, "무상급식 논쟁. 섣부른 이데올로기 싸움 아니기를", 복지동향, 68-70.
  38. 이내영.정한울, 2013, "세대균열의 구성 요소: 코호트 효과와 연령 효과", 의정연구, 19(3): 37-83.
  39. 이일수 역, 2009, 액체근대, Bauman, Z., 2000, Liquid Modernity, 서울: 강.
  40. 이한나.이미라, 2011, "한국인의 복지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형평성 지각의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0(2): 254-286.
  41. 장귀연, 2013,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의 계급구조", 마르크스주의연구, 10(3): 12-40.
  42. 전준구, 2006, "사회복지서비스의 품질, 고객만족, 후속행동과의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9(2): 105-139.
  43. 조돈문, 2001, "복지의식의 계급효과와 공사부문 효과", 산업노동연구, 7(1): 157-191.
  44. 주은선.백정미, 2007, "한국의 복지인식 지형 - 계층, 복지수요, 공공복지 수급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4: 203-225.
  45. 최균.류진석, 2000, "복지의식의 경향과 특징: 이중성", 사회복지연구, 16: 223-254.
  46. 최진욱, 2008, "참여정부 정부혁신 체감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2(2): 97-117.
  47. 한상진.박찬욱 역, 2000, 제3의 길, Giddens, M., 1998, The Third Way: The Renewal of Social Democracy, 서울: 생각의 나무.
  48. 함철호.이중섭, 2010.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자기이해, 사회화, 이데올로기, 수급자에 대한 태도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4): 299-325.
  49. 현대경제연구원, 2012,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경제주평: 복지의식의 이중성과 '눔프(Not Out Of My Pocket)' 현상, (통권 제 483호).
  50. 현대경제연구원, 2013,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경제주평: 새 정부 출범과 2013년 국내 10대 트렌드, (통권 제 250호)
  51. 홍지수 역, 2013, 방황하는 개인들의 사회, Bauman, Z., 2001, The Individualized Society, 서울: 봄아필.
  52. 황아란, 2009, "정치세대와 이념성향: 민주화 성취세대를 중심으로", 국가전략, 15(2): 123-151.
  53. Alesina, A., and Rodrik, D., 1994, "Distributive politics and economic growth",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09(2): 465-490. https://doi.org/10.2307/2118470
  54. Bauman, Z., 2000. "Am I my brother's keeper? European Journal of Social Work, 3(1): 5-11. https://doi.org/10.1080/714052807
  55. Bergman, M., 2002, "Who pays for social policy? A study on taxes and trust", Journal of Social Policy, 31(2): 289-305. https://doi.org/10.1017/S0047279401006614
  56. Blekesaune, M., and Quadagno, J., 2003, "Public attitudes toward welfare state polic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24 Nation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9(5): 415-427. https://doi.org/10.1093/esr/19.5.415
  57. Bonoli, G., 2010, "Public attitudes to social protection and political economy traditions in Western Europe", European Societies, 2(4): 431-452. https://doi.org/10.1080/713767005
  58. Boskin, M. J., 1986, Too Many Promise: The Uncertain Future of Social Security, Homewood, IL: Dow Jones-Irwin.
  59. Cook, F., and Barrett, E., 1992, "Beliefs about recipients deservingness and program effectiveness as explanations of support", In Support for the American Welfare State: Views of Congress and the Public, pp. 95-145,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60. Derks, A., 2004, "Are the underprivileged really that economically leftist? Attitudes towards economic redistribution and the welfare state in Flanders",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43: 509-521. https://doi.org/10.1111/j.1475-6765.2004.00163.x
  61. Duncan, A., and Jones, A., 2003, Economic Incentives and Tax Hypothecation. CPE Working Paper 2/04, York: CPE.
  62. Erikson, R. S., and Tedin, K. L., 2005, American Public Opinion: Its Origins, Content, and Impact, 7th Edition, New York: Pearson Education.
  63. Ferrera, M., 2010, "The South European Countries.", in The Oxford Handbook of the Welfare State, edited by Francis, G. C., Oxford University Press.
  64. Hasenfeld, Y., and Rafferty, J., 1989, "The determinants of public attitudes toward the welfare state", Social Forces, 67(4): 1027-1048. https://doi.org/10.2307/2579713
  65. Hochberg, J., 1956, "Perception: Toward the recovery of a definition", Psychological Review, 63(6): 400-405. https://doi.org/10.1037/h0046193
  66. Immergut, E. M., 1998, "The theoretical core of new institutionalism", Politics & Society, 26(1): 5-34. https://doi.org/10.1177/0032329298026001002
  67. Marshall, T. H., 1963, Sociology at the Crossroads and Other Essay. London: Heinemann.
  68. Martin, I. W., and Gabay, N., 2012, "Fiscal protest in thirteen welfare states", Socio-Economic Review, 1-24.
  69. Porcano, T. M., 1984, "Distributive justice and tax policy", The Accounting Review, 59(4): 619-636.
  70. Rimlinger, G. V., 1971, Welfare Policy and Industrialization in Europe, America, and Russia. New York: Wiley.
  71. Svallfors, S., 1991, "The politics of welfare policy in Sweden: Structural determinants and attitudinal cleaverg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42(4): 609-634. https://doi.org/10.2307/591450
  72. Svallfors, S, 1995, "The end of class politics? structural cleavages and attitudes to Swedish welfare policies", Acta Sociologica, 38(1): 53-74. https://doi.org/10.1177/000169939503800105
  73. Svallfors, S, 2004, "Class, attitudes and the welfare state: Sweden in comparative perspectiv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38(2): 119-138. https://doi.org/10.1111/j.1467-9515.2004.00381.x
  74. Svallfors, S, 2012, Contested Welfare States. Welfare Attitudes in Europe and Beyond, Stanford University Press.
  75. Tilley, J., and Evans, G., 2014, "Aging and generational effects on vote choice: Combining cross-sectional and panel data to estimate APC effects", Electoral Studies, 33: 19-27. https://doi.org/10.1016/j.electstud.2013.06.007
  76. Titmuss, R., 1976, Essays on the Welfare State. George Allen & Unwin.
  77. Welch, S., 1985, "The more for less" paradox: Public attitudes on taxing and spending", Public Opinion Quarterly, 49: 310-316. https://doi.org/10.1086/268929
  78. Wright, E. O., 1985, Class. London: Ver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