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 교육부(2016)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미래엔.
- 김보을, 권치순(2014).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수업 만족도 비교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91-98.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91
- 김재윤, 임희준(2011). 초등학생들이 수행한 자유 탐구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5(2), 535- 554.
-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1999). 과학교육학개론. 서울: 북스힐.
- 박현주(2013). 중학교 과학교사의 실험수업 실태 및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7(1), 79-86.
- 박희제(2010). 대학원생들의 실험실 경험과 과학자 되기-암묵지와과학자사회규범의전수. 담론201, 13(2), 65-91.
-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 양일호, 정진우, 김영신, 김민경, 조현준(2006).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 상호 작용, 탐구 과정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5), 509-520.
- 원정애, 김영희, 백성혜(2010). 초등 과학 교과 전담 교사제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9(1): 56-68.
- 유주선, 권치순(2009). 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관심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28(4), 361-372.
- 윤성효, 장정일, 고정선(2005). 고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7), 611-624.
- 윤진, 박승재, 명전옥(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 이윤종, 기우항, 김영호, 점원우 등(1997). 현행 중등학교 과학 실험․실습 교육실태 조사 및 그 운영 진단 (l).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435-450.
- 전영석, 전민지(2009).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 정낙주(1995). 국민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과 교수실제의 확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석희(1990). 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과학적 사고기능검사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4, 55-69.
- 한종하(1987). 과학영재교육론. 서울: 학연사.
- Bennett, M. (1956). Science club activities in the United Kingdom. UNESCO/NS/PSI/27 Rev. Paris, 9 March.
- Costenson, K. & Lawson, A. E. (1986). Why isn't inquiry used in more classrooms?.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48(3).(강호감 등, 2007, 초등과학교육론에서 재인용)
- Deci, E. L., Vallerand, R. J., Pelletier, L. G. & Ryan, R. M. (1991). Motivation and education: The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26(3-4), 325-346. https://doi.org/10.1080/00461520.1991.9653137
- Feldman, A. & Pirog, K. (2011). Authentic science research in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science club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0(5), 494-507. https://doi.org/10.1007/s10956-011-9305-4
- Gauld, C. F. & Hukins, A. A. (1980). Scientific attitudes:A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7(1), 129-161. https://doi.org/10.1080/03057268008559877
- Hartley, M. S. (2014). Science clubs as a vehicle to enhanc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s. International Proceedings of Economics Development and Research, 81, 167.
- Hodson, D. (1996).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exploring some directions for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755-760. https://doi.org/10.1080/0950069960180702
- Jalil, P. A., Sbeih, M. A., Boujettif, M. & Barakat, R. (2009). Autonomy in science education: A practical approach in attitude shifting towards science learn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6), 476-486. https://doi.org/10.1007/s10956-009-9164-4
-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ew York; Cambridge Book Co.
- Niemiec, C. P. & Ryan, R. M. (2009).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classroom applying selfdetermination theory to educational practice. Theory and Research in Education, 7(2), 133-144. https://doi.org/10.1177/1477878509104318
- Olsen, T. P., Hewson, P. W. & Lyons, L. (1996). Preordained science and student autonomy: The nature of laboratory tasks in physics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775-790. https://doi.org/10.1080/0950069960180704
- Twillman, J. (2006). Science for fun? Try a high school science club. The Science Teacher, 73(1), 49-52.
- Viegas, A. (2004). The importance of science clubs: Methods used in a school case. Teaching Science, 50(4), 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