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needs & improvements for single-parent families childcare

한부모가족의 자녀양육에 대한 정책적 요구와 방안 모색

  • 장명선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젠더법학연구소) ;
  • 이영호 (서울특별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
  • Received : 2016.04.01
  • Accepted : 2016.05.23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study review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of child-rearing issues related to single-parent families and pinpoints related problems. It undertakes for single-parent familie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o determine limitations that prevent single-parent families from obtaining in existing policies and legislation. The study introduces policy guidelines to ensure childcare for single-parent families.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basic policies supporting single-parent families should be broadened to include not only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but also higher-income, single-parent families, which would allow all such families to be given first priority at childcare centers. Second, to resolv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oward single-parent families, articles about education and single-parent families should be included in the Single-Parent Support Act. Third, substantial and customized support policies tailored to the growth-stages of children are needed. Fourth, program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single parents should be developed and promoted. Finally, various family types, such as single-father or multi-cultural single-parent families, must be considered.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 박수선(2013). 저소득 여성한부모가족사례관리 실천경험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39-61.
  2. 강지원(2010), 선진국의 한부모가족 자녀양육비 관련 쟁점, 보건복지포럼, 2010.10, 90-101.
  3. 고선강(2015). 부모의 성별에 따른 한부모 가계의 경제자원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 회지, 19(4), 95-120.
  4. 김승원, 김연우(2012), 한부모가족 정책의 실태와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2012.4, 59-69.
  5. 김승권, 김유경, 박정윤, 김연우, 최영준(2011). 취약, 위기 및 한부모가족 지원체계구축과 자립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혜영, 이미정, 이택면, 김은지, 선보영, 장영진(2012). 미혼모의 양육 및 자립실태 조사. 여성가족부.
  7. 문순영(2015). 미혼모자 가족에 대한 복지정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1(2), 73-103.
  8. 박정윤(2014), 한부모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개인자원, 가족자원, 발달환경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21-141.
  9. 박현정(2015), 저소득 한부모자녀의 삶과 발달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31(2), 105-139.
  10. 배다영, 진미정(2011), 한부모의 성별 및 가구구성별 경제적 여건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5), 121-140.
  11.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2014). 한부모가족의 법적.사회적 지위: 한부모가족을 중심으로.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 세미나자료집.
  12.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2015). 한부모가족 인권보호 향상을 위한 포럼.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 포럼자료집.
  13. 손서희(2013),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59-75. https://doi.org/10.7466/JKHMA.2013.31.2.059
  14. 여성가족부(2013).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5. 여성가족부(2015a), 한부모가족지원사업 안내. 여성가족부.
  16. 여성가족부(2015b). 양육비이행지원제도 개선전문가 간담회 자료집. 여성가족부.
  17. 여성가족부(2015c). 양육비이행지원제도의 조기정착과 발전방향 세미나 자료집. 여성가족부.
  18. 여성가족부(2016a)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9. 여성가족부(2016b). 2016년도 한부모가족지원 사업. 여성가족부.
  20. 이영호(2015a). 한부모가족의 시간빈곤 해결을 위한 전략과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1. 이영호(2015b). 양육비이행지원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토론. 양육비이행제도 개선 전문가간담회 자료집.
  22. 이정빈(2013). 한부모 여성의 부모역할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4), 499-532.
  23. 이현심, 한규철, 전기복(2013). 한부모여성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3), 174-18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174
  24. 이현주(2013). 한부모이주여성의 자녀양육과 삶에 대한 연구. 여성학연구, 23(1), 171-214.
  25. 임춘희(2014). 한부모 이주여성의 이혼 후 적응과 새로운 파트너십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3(6), 1049-1069. https://doi.org/10.5934/kjhe.2014.23.6.1049
  26. 장명선(2015), 다문화한부모가족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한국공공사회학회지, 5(4), 72-106.
  27. 장명선, 이영호(2014). 다문화한부모가족의 법제도 및 지원서비스. 서울시한부모가족 국제포럼 자료집.
  28.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2015). 제3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시안.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9. 조영희, 송혜림(2009). 일-가정 균형을 위한 보육 및 학교 영역에서의 요구도와 정책: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65-84.
  30. 최정경, 이광호(2015). 이혼한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버지의 생활세계 경험의 본질과 의미.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9(2), 5-30.
  31. 한정원(2014). 한부모가족지원사업의 효과성 연구. 여성학회지, 24(2), 159-195.
  32. Avenevoli, S. & Merikangas, K. R.(2006). Implication of high-risk family studies for prevention of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1, 126-135. https://doi.org/10.1016/j.amepre.2006.07.003
  33. Belsky, J.(1990). Parental and nonparental child care and children's socioemontional development: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2(4), 885-903. https://doi.org/10.2307/353308
  34. Bianchi, S. M., Subaiya, L. & Kahn, J. R. (1999). The Gender Gap in the Economic Well-Being of Nonresident Father and Custodial Mothers. Demography, 36(2), 195-203. https://doi.org/10.2307/2648108
  35. Vickery, C.(1977). The Time Poor: A New Look at Poverty, Journal of Human Resources 12(1), 27-48. https://doi.org/10.2307/145597
  36. Johnston, J. R.(1990). Role diffusion and role reversal: Strucural variations in divorced families and children's functioning. Family Relations, 39(4), 405-413. https://doi.org/10.2307/585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