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열차페리 수송수요 예측을 위한 품목별 수출입 변화분석

Trade Change Analysis by Commodities for Korea-China Rail Ferry System Demand Prediction

  • 신승진 (한국교통연구원 물류연구본부) ;
  • 노홍승 (한국교통연구원 물류연구본부) ;
  • 허성호 (한국교통연구원 물류연구본부)
  • 투고 : 2016.09.28
  • 심사 : 2016.12.23
  • 발행 : 2016.12.30

초록

중국은 중국 내 중서부 지역의 풍부한 천연자원과 동부 연안지역의 자본을 연계하여 대륙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서부대개발 정책을 추진 중이다. 대중국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국제운송 및 물류체계의 변화에 긴밀하게 대응하기 위해 중국의 교역 규모나 교역패턴 변화를 항상 주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글로벌 무역노선 재편 및 서부대개발에 따른 우리나라와 중국 성시별 품목별 수출입 규모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중국 성시별 주요 운송경로별, 품목별 한중 간 수출입 규모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 서부대개발 움직임에 따라 교역축이 동부 연해지역에서 서부 내륙으로 이전하는 추세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과정을 통해 향후 한중 수출입 규모 확대를 위해서 Sea&Air 및 Sea&Rail 등 복합운송체계 마련과 항만-공항 간 연계체계, 신선물류 클러스터 구축의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한중간 중량화물 및 벌크화물의 수출입 물동량을 확보하기 위해 열차페리나 벌크화물 하역 터미널 시설 구축의 필요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China is pushing a policy called China's Western Development in order to balance the continent's development level. They are connecting the rich natural resources of the mid-western areas and the capital of the eastern coastal areas of China. Since Korea depends on China the most for trade,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always consider the trade scale and pattern changes of China. Response to changes in the transport and logistics system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also demand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ort and export tren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provinces of each item from the trade scale point of view. China's global trade routes reorganization and China's western development are considered and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presented accordingly. The study also suggests strategies to expand the import and export scale with China based on the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관세청홈페이지, 관세법령정보포털(Unipass.customs.go.kr)
  2. 노홍승(2013),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전략 추진을 위한 한중 인터모달 시스템", 열차페리에 의한 한중 인터모달시스템구축 및 대륙철도 연계를 위한 국회정책 토론회.
  3.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5), "중국의 수출입 및 한국의 대중 수출입 동향과 대응시사점".
  4. 박성준, 김은우, 김세원, 길광수(2015), "중국 제조 2025 계획과의 연계를 고려한 중국 1대1로 대응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MI 현안분석
  5. 안병일(2009), "한.중.일 농산물 교역동향과 시사점," 인하대학교 정석물류통상연구원 학술대회, 353-369
  6. 이동현, 안우철(2014). "환황해권 주요항만 간 컨테이너 물동량 교역 특성 분석을 통한 제휴항만 선정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2호, 157-183.
  7. 이재민, 임재경, 윤정원(2005). "한.중.일 FTA 진전이물류부문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총서, 한국교통연구원.
  8. 이지선, 노홍승, 예충열, 안창진, 권태우(2013). "한.중.일 국제교역 운송체계 장기개발 구상", 연구총서, 한국교통연구원.
  9. 이충배.박선영(2007), "중국 동북 3성 기점 국제복합운송루트개발과 발전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4호, 91-114.
  10. 조삼현(2008), "중국 철도물류의 발전과 칭쨩철도", '월간해양한국', 제2008권 제1호, 한국해사문제연구소, 158-167.
  11. 한국무역협회(각년도), "무역통계정보시스템", 중국 무역통계
  12. OECD(2016.2), Interim Economic Outl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