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분석

Impact on Income Inequality of Income Sources in the Elderly

  •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6.01.22
  • 심사 : 2016.02.23
  • 발행 : 2016.05.28

초록

본 연구는 노인빈곤의 심화와 함께 노인 소득불평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공적소득, 시장소득, 가족 소득 등 주요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인 간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 0.4809, 공적소득 0.4701, 시장소득 0.6735, 가족소득 0.1855로 나타났다. 한국 노인의 소득집단에 따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는 시장소득이 가장 크고 전체소득, 공적 소득도 매우 큰 것이다. 둘째, 노인 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 가족소득, 시장소득을 각각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4864, 가족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5784, 시장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3609로 나타났다.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약간 증가한 공적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매우 미미한 반면에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매우 커진 가족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 소득 지니계수보다 크게 낮아진 시장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의 큰 원인이었다. 현재의 노인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노인의 시장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n the situation of deepening poverty and worsening income inequality, aims to find the impact on income inequality of main income sources such as public income, market income and family income in the elderly and propose polices for weakening the income inequality in the elderly.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ini coefficients of each income sources in the elderly are total income's 0.4801, public income's 0.4071, market income's 0.6736 and family income's 0.1855. Income inequality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serious in the total income, public income and market income areas. Second, after excepting for public income in total income, Gini coefficient is 0.4864. after excepting for market income in total income, Gini coefficient is 0.3609. And after excepting for family income in total income, Gini coefficient is 0.5784. When market and public income are excepted from total income, Gini coefficient alleviate. Therefore, market income and public income are the major causes of income inequality in the elderly. But, family income alleviate the income inequality in the elderly. In order to alleviating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we must try to increasing the market income. For example, government must to supply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of low-income.

키워드

참고문헌

  1. 정경희, 2011 노인생활실태조사, 보건사회연구원, 2011.
  2. 김진욱, "노후소득의 혼합구성과 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년학, 제13권, 제1호, pp.111-127, 2011.
  3. 엄소영, 이용재, "한국 노인소득보장의 국가-시장-가족분담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논문지, 제15권, 제2호, pp.191-199, 2015.
  4. Clayton, Richard, and Jonas Pontusson, "WelfareState Retrenchment Revisited: Entitlement Cuts, Public Sector Restructuring, and Inegalitarian Trends in Advanced Capitalist Societies," World Politics, Vol.51, No.1, pp.67-98, 1998. https://doi.org/10.1017/S0043887100007796
  5. 여유진, 송치호, "공적이전 프로그램의 재분배효과: 한국, 독일, 스웨덴, 영국 비교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6권, 제4호, 2010.
  6. T. H. Marshall, Sociology at the Crossroads and Other Essay, London: Heinemann, 1963.
  7. R. Titmuss, Essays on the Welfare State, George Allen & Unwin, 1976.
  8. 최병호, 김태완, "사회보장제도의 재분배효과와 전망," 사회보장연구, 제21권, 제3호, 2005.
  9. 반정호, 우리나라 소득불평등 실태와 재분배 정책의 효과, 노동리뷰94, 2013.
  10. Esping-Andersen,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11. World Bank, Averting the Old Age Crisis : Policies to Protect the Old and Promote Grow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12. Huber, Evelyne, and John Stephens, Development and Crisis of the Welfare State: Parties and Policies in Global Market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13. Korpi, Walter, and Joakim Palme, "The Paradox of Redistribution and Strategies of Equality: Welfare State Institutions, Inequality, and Poverty in the Western Countr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63, No.5, pp.661-687, 1998. https://doi.org/10.2307/2657333
  14. Burstein, Paul, "Bringing the Public Back In: Should Sociologists Consider the Impact of Public Opinion on Public Policy?," Social Forces, Vol.77, No.1, pp.27-62, 1998. https://doi.org/10.1093/sf/77.1.27
  15. 김재호, 정주연, "기초노령연금 도입에 따른 소득불평등과 양극화 변화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21권, 제1호, 2012.
  16. 김연명, "한국 복지국가의 성격과 전망: 남부유럽 복지체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6권, pp.27-59, 2013.
  17. 강성호, 임병인, "노후소득의 불평등 및 양극화와 공적연금의 개선효과," 사회보장연구, 제25권, 제2호, 2009.
  18. 손병돈, "노인 소득의 불평등 추이와 불평등 요인분해,"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445-1461, 2009.
  19. 이원진, "노인 소득불평등 추이의 영향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4호, pp.163-18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