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analyze an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mpression of landscapes and soundscapes about traditional area of Chungnam Asan city in Korea. For this, we collated data about impression evaluation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and, based on these result, we proved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that we proposed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ss conducted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f all, we had selected five traditional places of interest in Asan City, and investigated various conditional elements of the area including soundscapes which is forming the landscape using video camera. And we made both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evaluate the impression for these videotaped landscape data through using the SD(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nd then, we quantified these qualitative data through applying the quantification theory and cluster analysis method to them. Though this process, we could obtain both data as a result derived by classifying each sample and categorizing levels of those impression evaluation. Because of totally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analyzing processes, which one is for sample classification and the other is for determining impression level, we could validate the usefulness of our evaluation system through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of results from both methods. Analysis showed that our novel evaluation system for landscape is effective and, in most part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Japanese students' responses are different far from the Korean students' responses.
본 논문의 목적은 충남 아산시의 전통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경관과 연관된 소리경관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의 인상 평가를 각각 수집 및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의 평가방식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 절차를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산시의 전통적인 경관을 잘 보여주는 다섯 군데 명소를 선정하고, 비디오카메라를 활용하여 현지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사물의 상황과 함께 그 곳의 소리를 기록하였다. 기록한 데이터를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에게 보여주어 그것에 대한 인상평가를 하게 하였다. 인상평가는 SD법(의미미분법)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정성적 평가 데이터에 수량화이론 및 클러스터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샘플을 분류하는 동시에 인상평가의 등급을 설정하는 정량화를 실시하였다. 샘플을 분류하는 방법과 샘플의 인상평가 등급을 구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접근에 의한 독립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여 평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평가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 방법이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아울러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은 상당 부분에서 전통적 경관에 대한 인상의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