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s of Social Intelligence on Coopera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of Hotel Employees

호텔직원의 사회지능이 협력과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12.07
  • Accepted : 2016.02.11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he social intelligence, ability of social harmony and relationship was one of the key factor for hotel service quality. and then inquired the relationships among customer-facing employee's social intelligence of hotel, cooperation of employee,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concept of social intelligence was established, then we set up the hypothesis for causality relationship. The 201 customer-facing employee of a luxury hotel in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al intelligence of customer-facing employee effects to cooperation of employee and individual performance positively as well. Cooperation of employee has been confirmed on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performance. That is, social intelligence is social relationships to effectively building and maintaining a positive and essential skills to leading a substantial performance.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meaning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적 인간관계의 조화능력인 사회지능이 호텔서비스 품질의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호텔 접점직원의 사회능력과 직원의 협력적 태도, 업무에 대한 개인성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회지능의 구성개념을 구분하고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국내 특급호텔 접점직원 201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접점직원의 사회지능은 접점직원이 협력적 태도와 개인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점직원의 협력은 개인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사회지능은 사회적 관계를 긍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능력으로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호텔 접점직원의 사회지능의 의미와 시사점 그리고 향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철, 황성혜, "호텔직원의 사회지능이 역할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4호, pp.2263-2285, 2009.
  2. 김은희, 이철영, 유승엽, "사회지능과 감성지능이 광고 창의적 사고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3-34, 2009.
  3. D. Goleman, Social Intelligence: The new science of human relationships, New York, 2007.
  4. 윤준섭, 김종관, 유범재, "사회지능과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8권, 제6호, pp.1583-1601, 2015.
  5. 양승희, 임명희, "유아 사회지능에 나타나는 유동적 사회지능과 결정적 사회지능의 발달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75-190, 2012.
  6. 이상수, 김소영, 이유나, "대학생들의 사회지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혁신연구, 제23권, 제2호, pp.113-128, 2013.
  7. 신은정, 이효림,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지능과 자아개념 간의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651-666, 2013.
  8. 최원수, 진용주, "광고 크리에이터의 사회적 지으과 직무성과의 관계: 성별, 근속기간별, 직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제12권, 제3호, pp.149-162, 2014.
  9. 정효선, 윤혜현, "외식 종사원의 사회지능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제29권, 제1호, pp.18-28, 2014. https://doi.org/10.7318/KJFC/2014.29.1.018
  10. 권우영, 백승령, "폐쇄형 SNS가 제공하는 즐거움, 사회적 연결, 사회지능이 군 장병의 소속감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제2015권, 제8호, pp.35-54, 2015.
  11. 문태형,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지능 및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연구," 아동교육, 제22권, 제4호, pp.131-145, 2013.
  12. A. M. Morrison, Hospitality and Travel Marketing, Delmar Publishers: New York, 2002.
  13. C. Peterson and M. E. Seligman,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4. E. L. Thorndike, Intelligence and its uses, Harpers Magazine, Vol.140, pp.227-235, 1920.
  15. M. E. Ford and M. S. Tisak, "A further search for social intellig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5, pp.196-206, 1983. https://doi.org/10.1037/0022-0663.75.2.196
  16. R. E. Riggio, J. Messamer, and B. Throckmorton, "Social and academic intelligence: Conceptually distinct but overlapping construc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2, pp.695-702, 1981.
  17. K. Bjorkqvist, K. Osterman and A. Kaukianien, "Social intelligence-empathy=aggression?," Aggression & Violent Behavior, Vol.5, No.2, pp.191-200, 2000. https://doi.org/10.1016/S1359-1789(98)00029-9
  18. G. Gini, "Brief report: Adaption of the italian version of the tromso social intelligence scale to the adolescent population," Journal of Adolescence, Vol.29, No.2, pp.307-312, 2006.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5.05.003
  19. S. Weis and Sub. Heinz-Martin. "Reviving the search for social intelligence: A multitrait multimethod study of its structure and construct valid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3, pp.3-14, 2007. https://doi.org/10.1016/j.paid.2006.11.002
  20. K. A. Barchard, "Does emotional intelligence assist in the prediction of academic succes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3, No.5, pp.840-858, 2003. https://doi.org/10.1177/0013164403251333
  21. H. A. Marlowe, "Social intelligence: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 and construct independ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8, No.1, pp.52-58, 1986. https://doi.org/10.1037/0022-0663.78.1.52
  22. 이종헌, 김정희, "서비스제공자의 감성지능이 사회적 교환과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학술대회, 제2012권, 제11호, pp.379-383, 2012.
  23. 정기주, 박영숙, 최수정, "콜센터에서 상담사의 감성지능, 조직몰입 친사회적 조직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경영연구, 제30권, 제1호, pp.155-196, 2015.
  24. 조영복, 김경원,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이 직무성과와 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8권, 제1호, pp.87-110, 2011.
  25. 강명희, 김민정, 김혜정, 엄소연, 정혜윤, "웹기반 협력학습의 상호작용 및 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협력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예측력 규명," 교육학연구, 제48권, 제1호, pp.157-180, 2010.
  26. 지성구, 장성희, "서비스 종사원 협력: 선행요인 및 결과," 대한경영학회지, 제22권, 제5호, pp.2831-2850, 2009.
  27. 박기성, 황호영, "직무자율성, 과업상호의존성과 조직구성원 태도 간의 관계에서 개인성과-보상지각의 조절역할,"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7권, 제1호, pp.1-31, 2014.
  28. 신철, 황성혜, "호텔 종사원의 사회지능이 사회적 지원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4권, 제6호, pp.437-456, 2010.
  29. L. J. Williams and S. E.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nagement, Vol.17, No.3, pp.601-617, 1991.
  30.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1.
  31. 안대희, 박종철,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에 따른 감정부조화가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335-345,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335
  32. 박영배, 안대희, 이상우, "호텔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853-86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853
  33. 오희균, "호텔직원의 감정노동이 육체적.정신 적 스트레스와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 1급 호텔 일선 직원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487-49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6.487
  34. M. M. Stewart and O. E. Johnson, "Leadermember exchange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group diversity and team performance,"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Vol.34, No.5, pp.507-535, 2009. https://doi.org/10.1177/10596011083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