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n the Degree of Labor turnover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otional labor: A Case of Female Children's Hospital Nurses

전문직 자아개념과 감정노동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아동병원 간호사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12.30
  • Accepted : 2016.01.12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act on the degree of turnover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emotional labor. This study were subjected to empirical analysis on female children's hospital nur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ly emotional labor and task satisfac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becam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pride and task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The relationship only of surface acting and turnover between those of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becam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should be preferred to nurse specialists in the women's hospital,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of nurses.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sought to improve operational feeling of satisfaction, and Also the approach should be applied to ease the negativity of surface acting.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보는 것으로서, 감정 노동 상황에 노출되며 전문직 자아개념의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여성아동병원 간호사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직자아개념과 감정노동간의 관계에서는 전문직자아개념의 구성요소 중 업무만족감만 감정노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는 전문직 실무 업무에 대한 자부심과 업무만족감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과 이직 의도간의 관계에서는 감정노동중 표면행위만 이직의도에 정의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아동병원 간호사처럼 전문성을 지니며 감정노동이 강한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이 강한만큼 전문가로서의 인정 및 업무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조직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감정노동의 내면화나 표면행위에 따른 부정성 해소 방안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The Regent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2. 김인순,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4호, 2009.
  3. B. Ashforth and B. Humphrey,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1, pp.88-115,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3997508
  4. 김구, 한기민,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방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pp.497-523, 2012.
  5.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e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pp.986-1010,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6. D. Arthur,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e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7, pp.712-719, 1992.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2.tb01969.x
  7. K. Y. Sohng and C. H. Noh, "An Analytical Study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6, No.1, pp.94-106, 1996.
  8. 고정옥, 고은, "재활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81-89, 2014. https://doi.org/10.7587/kjrehn.2014.81
  9. 방경숙, 채선미, 유주연, 송민경, 이지혜, "아동간호 임상프리셉터십 경험 유무에 따른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실습 만족도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96-404,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396
  10. 노춘희, 송경애,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6권, 제1호, pp.94-106, 1996.
  11. S. K. Lee and J. H. Par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Group Cohesiveness Perceived by Nurs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tivation and Intend to Stay on Job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 No.1, pp.5-15, 1996.
  12. 오두범, 조직커뮤니케이션 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13. 김수지, 노춘희, 한영숙, 정금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전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5권, 제2호, pp.5-18, 1996.
  14. 박현주, 최진, "학업을 병행하는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직무 만족도,"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1호, pp.37-44, 2009.
  15. 장희정, 양순옥, 이명옥, "임상간호사요구에 따른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전문직 자아개념," 기본 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10-119, 2007.
  16. 김현미,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과의 관계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6권, 제2호, pp.278-289, 1998.
  17. 이승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성인 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0-20, 2008.
  18. 송윤정,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9. 정명숙, 감정노동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0. J. L. Price, The Study Turnover, The Lowa State University Press,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