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rban Space Style of Korean Films in 1980s, Good Windy Day(1980) and Chil-su And Man-su(1988)

80년대 한국영화의 도시 공간 양식, <바람불어 좋은날>(1980)과 <칠수와 만수>(1988)

  • Received : 2015.11.17
  • Accepted : 2015.12.28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Korea society in the 1980s is the timing of the hybrid intermingled with the continuous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and the democratic aspirations of the 1990s. Korean films in the '80s codified a tension and conflict patterns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the style such as film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this aspect of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the '80s was codified in Korean films of the '80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style representing the urban space in Korean films of the '80s. This study looks at the changing pattern of the Korea Society through the 1980s by analyzing the space configuration form of Good Windy Day(1980) and Chil-su And Man-su(1988). Good Windy Day to finalize the '70s and Chil-su And Man-su to greet the '90s show the hybrid aspect of the '80s. In particular, the urban space style of the two films codified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ulture of Korea as a whole.

80년대 한국사회는 70년대 산업화의 연속과 90년대 민주화의 열기가 혼종된 시기이다. 80년대 한국영화는 산업화와 민주화 속에서 긴장과 갈등 양상을 영화의 공간과 같은 양식에 약호화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80년대 한국사회의 산업화와 민주화의 양상이 80년대 한국영화에 어떻게 약호화되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80년대 서울 도시경관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80년대 한국영화의 도시 공간 재현양식에 주목한다. 이 연구는 1980년 개봉작 <바람불어 좋은날>과 1988년 개봉작 <칠수와 만수>의 공간 구성 양식 분석을 통해 1980년대를 관통하는 한국사회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70년대를 마무리하는 <바 불어 좋은날>과 90년대를 맞이하는 <칠수와 만수>는 80년대 한국영화사의 단면과 한국사회상의 혼종 양상을 보여준다. 특히 두 영화의 도시 공간 양식은 한국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를 총체적으로 약호화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종화 엮음, 한국의 영화포스터2, 범우사, 1999.
  2. 이장호, 이장호 감독의 마스터클래스, 작가, 2013.
  3.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 100선, 한국영상자료원, 2013.
  4.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5. 영화진흥공사, 검열현황편람, 영화진흥공사, 1982.
  6. 성도, 도시인간학, 안그라픽스, 2014.
  7. 데이비드 하비,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구동회외역, 한울, p.129, 1994.
  8. 데이비드 하비,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구동회외역, 한울, p.130. 1994.
  9. 강내희, 압구정동: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현실문화연구, pp.32-38, 1992.
  10. 최홍준, "서울도시경관의 이해," 서울연구, 한국공간환경연구회, 한울아카데미, pp.418-420, 1993.
  11. 이정학, 가비에서 카페라떼까지: 한국 커피와 다방의 사회문화사, 대왕사, p.204, 2014.
  12. 최홍준, "서울도시경관의 이해," 서울연구, 한국공간환경연구회, 한울아카데미, pp.420-433. 1993.
  13. 조명래, 현대사회의 도시론, 한울아카데미, p.176, 2002.
  14. 롤랑 바르트, 신화론, 현대미학사, pp.35-39, 1995.
  15. 딕 헵디지, 하위문화: 스타일의 의미, 이동연 역, 현실문화연구, pp.116-117,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