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of Regul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Political Party

지지 정당의 차이에 따른 규제 인식 차이 연구

  • Received : 2016.03.08
  • Accepted : 2016.04.29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Party is the main factor in modern country. Therefore, there are a lot of articles about the difference of public policies and citizen's recognition according to their supported party. However, there is few research about the regul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citizen's supported party.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of a regul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citizen's supported party. In result,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of regul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citizen's supported party. The people who support Saenuri Party have a positive recognition about a necessity of regulation, a fairness of regulation, a reliability of a regulation. But the people who don't support Saenuri Party have a negative recognition about those. In Korea, government regulations have a lot of relationship with a party and politics.

현대 국가는 정당 국가이다. 따라서 사회의 주된 영향 요소 중 하나가 정당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당 간 차이에 따라서 어떠한 정책적 차이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지지 정당에 따라서 시민들의 인식이 어떻게 다른가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정부의 주요 정책 유형 중 하나인 규제와 관련해서는 정당 간 차이가 논의된 바 없다. 일반적으로 규제에 대한 연구에서는 정치적 견해에 따른 규제 차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규제도 정부의 행위로서 정치적 인식에 따라 규제를 받아 들이는 인식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의 규제에 대한 인식에서 지지 정당 간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 결과 규제의 필요성, 규제의 긍정성, 규제의 사회적 효과, 규제의 국민에 대한 기여도 등과 관련해서 여당 지지자가 야당 지지자보다 더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규제에 대한 신뢰도, 규제의 전문성, 규제의 효율성, 규제의 공정성, 규제의 문제 해결 가능성 등과 관련해서는 여당 지지자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데반해, 야당 지지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즉 정부 규제는 정치, 정당과 긴밀한 연관이 있는 사항으로서 정치 및 정당과 상호 연관되어 논의될 필요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현출, "한국 유권자의 정당지지 구조와 안정성," 대한정치학회보, 제12권, 제2호, pp.129-155, 2004.
  2. 정상화, "미국 연방 의원선거의 경쟁성 연구 : 선거비용과 도전자 정당지지도, 정치적 자질 및 소속정당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학술발표대회자료집, pp.75-90, 2000(3).
  3. 김동영, "미국 남부에서의 정당지지도 변화의 의미," 국제지역연구, 제4권, 제4호, pp.125-143, 2000.
  4. 이효성, 허경호, "미디어 이용이 정치 지도자 평가와 정당지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4호, pp.191-226, 2004.
  5. 김희정, "주택재개발 이후 주민의 정당 지지 성향의 변화 -봉천 5동을 사례지역으로-," 지리교육논집, 제49권, pp.95-103, 2005.
  6. 이효성, "미디어 이용이 정당 지지에 미치는 효과: 미디어 이용의 역동성 모델과 점화효과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1호, pp.285-308, 2006.
  7. 이갑윤, 박정석, "지역민 호감도가 정당지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국제정치(KWP), 제27권, 제3호, pp.131-158, 2011.
  8. 이세희, 이종군, "SNS 사용에 따른 한국 정당지지의 변화: 한나라당, 민주당, 민주노동당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1호, pp.186-222, 2013.
  9. 김영태, "완도군 생일도 공동 연구 ; 민주화 이후 생일지역 선거참여와 정당, 후보지지," 도서문화, 제22권, pp.225-246, 2003.
  10. 박기묵, "정치적 이슈에 대한 신문의 보도량과 정당지지도에 관한 연구: 17대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9권, 제1호, pp.309-328, 2005.
  11. 서현진, 정진민, "문화적 쟁점과 미국 정당의 지지 기반 변화: 1992-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분석을 중심으로," 미국학논집, 제38권, 제3호, pp.207-240, 2006.
  12. 강경태, "경제문제와 국가안보 요인의 호주 정당 지지도에 미친 효과 분석 -2004년 호주총선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제14권, 제1호, pp.137-157, 2006.
  13. 진영재, 김민욱, "한국인의 이념성향 인식과 후보자 및 정당 지지 행태와의 상관관계: 16대 대통령선거와 17대 국회의원선거 비교 분석," 한국과 국제정치(KWP), 제23권, 제4호, 2007.
  14. 김상돈, "불평등인식, 정치성향, 정당지지가 정치 항의에 미치는 영향: 국정운영불만과 국가기관불신의 매개효과분석," OUGHTOPIA, 제26권, 제1호, pp.141-171, 2011.
  15. 지병근, "선거구 제도와 군소정당 지지자들의 투표행태: 2010년 기초의회선거 사례 분석," 한국정치연구, 제23권, 제2호, pp.185-210, 2014.
  16. 윤종빈, 정회옥, "한국인의 정당지지와 이민에 대한 태도," 한국사회, 제15권, 제4호, pp.159-190, 2014.
  17. 김경범, "정책대상집단의 주차규제정책 불응요인에 관한 연구 :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215-226, 2015.
  18. 최성락, "연령별 규제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586-59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586
  19. Cooper. P. The War against Regulation, Kansas, 2009.
  20. Jordana and Levi-Faur, The Politics of regulaion, Edward Elgar, 2004.
  21. 차수봉, "헌법상의 방송의 자유와 방송규제의 법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4호, pp.164-172,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4.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