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the job environment and job esteem on job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skin beauticians. To achieve this, a survey of their characteristics, job environment, job esteem and job satisfaction was carried out on 470 women in their 20s~50s working at skin care shop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their vocational satisfaction, sense of belonging, level of contribution, wages and welfare, which ar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re relatively high.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ensure proper resting facilities and resting area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social evaluation, self-(implicit) assessment, future value, and self-fulfillment orientation, the higher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treat skin beauticians as professionals in order to improve their social recognition. The sub-factors of job environment-working conditions,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job stability, and sub-factors of job environment-social evaluation, self(intrinsic) evaluation, future value and self-achievement orientation, had a major effect on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Together with the general improvement in the sub-factors of job environment, the future value, as well as social evaluation, self(intrinsic) evaluation and self-achievement orientation, which together constituted the current value of job esteem, wer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skin beauty industry by providing basic data on personnel management for skin care managers to improve skin beauticians' job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에 대해 직무환경 및 직업존중감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서울 및 경기지역 피부미용실에 재직중인 20~50대 성인 여성 470여명을 대상으로 피부미용사의 특성 및 직무환경, 직업존중감,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첫째, 피부미용사들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직업적 긍지 만족도, 소속감 및 기여도, 임금 및 복지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피부관리샵의 휴게시설이나 휴식공간을 적절히 보장하고, 안전 및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등 근무조건을 개선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독립변수별로 사회적 평가, 자기(내재적)평가, 미래가치, 자아성취지향이 높아지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피부관리사의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가로서 대우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근무조건, 조직환경, 직업안정성과 직업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평가, 자기(내재적)평가, 미래가치, 자아성취지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에 각각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환경 하위요인들의 전반적인 개선과 더불어 직업존중감의 현재가치에 해당하는 사회적평가, 자기(내재적)평가, 자아성취지향은 물론 미래가치 역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통해 피부미용실 경영자들이 피부미용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인력관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피부미용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