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각구조분석에 의한 음성 김주태 가옥의 지각된 환경지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Affordance of Kim, Ju-Tae House in Eum-Seong through Analysis of Visual Structure

  • 홍유선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Hong, You-Su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투고 : 2016.01.29
  • 심사 : 2016.04.07
  • 발행 : 2016.04.30

초록

본 연구는 건축공간의 현상학적 논의로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행태의 관계성에 주목하며, 특정한 관계에 의해 분화 구성된 김주태 가옥을 대상으로 공간의 구성 방법과 행태적 의미를 시각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김주태 가옥은 사용자의 사회문화적 관계를 반영하여 명확한 방법으로 분화되어 구성되었으며, 채와 담으로 에워싸인 물리적 조건으로 관계적이며 독립적인 영역성을 부여하고 있다. 각각 독립적으로 한정된 영역은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간의 열림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적 공간 구성방식은 유도된 공간경험 과정에서 상대적 차이를 지각하게 되고 점증적으로 강한 폐쇄성을 인지하게 된다. 가옥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이마당은 사랑채와 안채 사이의 공간깊이를 더욱 강조하는 입체적 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물리적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이지만 관찰자 시점의 위치설정(공간의 원근감), 짧은 주기의 반복적 방향전환, 켜(layer)의 중첩 등의 환경적 조건에 의해 유도된 심리적 행태는 실제적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게 혹은 깊게 인지하게 된다. 이는 '일반화된 타자'의 시각적 관점에서 대상을 어떻게 보이게 의도했는가에 대한 관계적 접근 방법이며, 사용자에게 지각된 환경지원성으로 심리적 태도와 행동을 유도하는 실행적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architectural space's phenomenology, focus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behavior. Kim, Ju-Tae House, which is divided by special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method of constructing space, and behavioral meaning with the perspective of visual structure. Kim, Ju-Tae House was constructed in a clear way by reflecting the users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hip. It has a relational and independent territories by physically surrounding Chae and wall. Each independent limited space is suggesting the space being opened by accessing the space stage by stage. This method of constructing the space makes the user aware of the relative difference from the induced space experience, and recognize the incremental strong isolation. Between the yard,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ouse, forms a three-dimensional layer between Sarangchae and Anchae, emphasizing the spacial depth. The physical space is relatively small but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he positioning of the observer's perspective, short cycle reorientation, and overlapped layer, it is recognized as far or deep compared to the actual size. This is the relative method as a visual perspective that is intended, and is understood as an active element that induces the psychological attitude by the recognized environment affordability of the user.

키워드

참고문헌

  1. Jin-Kyoon Kim,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al Space through Analysis of Visual Structur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December, 1994.
  2. http://ko.wikipedia.org
  3. Mann-Taek Lim,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in spacial Behavior,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December, 1990.
  4. Merleau Ponty, Th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pp. 256, 1962.
  5.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http://www.cha.go.kr
  6. Arnheim. R. The Power of the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230, 1983.
  7.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Korea traditional Houses,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