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lectronic Records Element for Full Text Opening Information Service

원문정보공개서비스를 위한 전자기록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8.17
  • Accepted : 2016.10.14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electronic records for professional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s 3.0 full-text open information service (FOIS). By using Authenticity, Reliability, Integrity, and Usability as criteria, the management conditions of electronic records on InterPARES were analyzed in the public sector.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provided some suggestions on how management conditions for electronic records for the government 3.0 FOIS may be improved. A direction to ensure effectiv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was also sugges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were lower than the other criteria scores. In particular, Integrity had a higher score while Authenticity, Reliability, and Usability showed average scores. Second, there were various perspectives 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backgrounds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articular, administrators who are in their thirties and archivists with two to four years of experience showed higher scores in the four criteria.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ystematic improvement plans for functions and services based on the four criteria in the Korean government's 3.0 FOIS.

정부 3.0의 원문정보공개서비스의 대상인 전자기록물이 기록학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공공기관의 정보공개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InterPARES의 전자기록물 구성요소에 대하여 기록물의 4대 원칙인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이용가능성을 지표로 하는 전자기록물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원문정보공개서비스에서 전자기록구성요소에 따라 관리하며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찾아 개선해야 할 점을 밝혔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원문정보공개서비스 시 전자기록물의 요소들의 개선과 기능보완, 특성에 맞는 서비스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태. 2010.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성과평가.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4), 25-52.
  2. 김유승. 2010. 거버먼트 2.0기반의 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197-231.
  3. 김익한. 2004. 기록의 속성과 메타 데이터 표준을 통해 본 한국의 기록. 기록기술. 기록학연구, 10, 3-26.
  4. 배대헌. 2001. 전자거래관련법률의상호관계분석및체계화방안. 한국법제연구원.
  5. 설문원. 2001. 공개활성화를 위한 전자기록물관리 정책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2(1), 65-86.
  6. 설문원. 2005. 기록의 품질 기준 분석: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가용성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1, 41-89.
  7. 송병호. 2009. 기록과 정보의 상관관계. 기록학연구, 20, 3-32.
  8. 안전행정부. 2014. 2013정보공개연차보고서.
  9. 이재완. 2014.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의 상응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2), 147-172.
  10.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기록관리혁신 백서.
  11. 정진임, 김유승. 2014. 정부 3.0시대 정보공개시스템의 개선 과제. 기록학연구, 39, 45-72.
  12. 한국기록관리협회. 2009. 전자기록물의이해. 서울: 조은글터.
  13. Duranti, L.(ed.). 2005.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Authentic Electronic. Proceedings of the 27th VLDB Conference, Roma: Italy, 2001.
  14. Duranti, L. 1995.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The Concepts and Their Implications. Archivaria, 39, 5-10.
  15. ICA, 김명훈역, 전자기록물관리,한국국가기록연구원,2005.
  16. IRMT. 2002.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InterPARES Authenticity, Task Force. Requirements for assessing and maintaing the authenticity of electronic records,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Authentic Electronic Records: Finding of the InterPARES Project.
  17. ISO 15489-200(E)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Records management. 2001.

Cited by

  1. 국내 기록학 연구방법 동향분석 (1) 설문과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vol.51,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7.5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