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Convergence Study (디자인융복합연구)
- Volume 15 Issue 4
- /
- Pages.45-58
- /
- 2016
- /
- 2287-4089(pISSN)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ypes of Emoticon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Gender and Major of the Receiver -
이모티콘 유형에 따른 감정소통의 효과성 연구 - 수신자의 성별 및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4.28
- Accepted : 2016.07.27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st effective emoticon type in on-line communication context through analysis decoding(by their interpretation, empathy, reaction) of receiver about emotional message included the various emoticon types. Message types were all 5 - only text message and messages included texticon, graphicon, anicon, and photocon that reflected the transitional process of emoticon. Survey questionnaire that included various emotional situations was developed and utilized to undergraduate student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ir gender and majors.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graphicon, anicon and photocon messages had higher effectiveness than others in the pleasure while the text only message had the highest effectiveness of them in the displeasure. Second,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graphicon, anicon and photocon messages were more effective while 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ext only message was. Third, between Arts/Physical and Science/Engineering majo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message types, and especially Science/Engineering majors showed higher average than other majors in all of the emoticon types.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information to design messages by the emotional situation of sender and gender and major of receiver.
본 연구는 다양한 이모티콘 유형이 포함된 감정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의 해석 정도(내용이해, 감정인지, 반응 측면)를 분석하여 온라인 의사소통 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인 이모티콘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이모티콘의 변천과정을 반영하여 텍스트만 있는 메시지와 텍스티콘, 그래픽콘, 애니콘, 실사콘이 포함된 메시지의 총 5가지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감정상태별 시나리오 상황을 구성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성별 및 전공 계열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감정상태 중에서는 쾌감에서 그래픽콘, 애니콘, 실사콘 등의 효과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불쾌감에서는 텍스트만 있는 메시지의 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남녀 간에는 여학생이 그래픽콘, 애니콘, 실사콘 메시지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반면, 남학생은 텍스트만 있는 메시지에 대해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전공계열별로는 몇몇 메시지 유형에서 예체능계열과 자연공학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연공학계열이 대부분의 이모티콘 유형에서 다른 계열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감정의 유형과 성별, 전공계열별 차이를 고려하여 메시지의 형태를 가공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 Emoticon;
- Emotion;
- Message Design;
- SNS(Social Networking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