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e of nationally secured or researched beneficial microorganisms for develop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actice and exploration of alternative indication for sustaining freshness

친환경 농업을 위한 농업 분야 유용미생물 확보·연구 현황 및 이에 따른 농산물 선도관리 방안 탐색

  • Park, Jong Myong (School of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ng-Han (Horticultural & Herbal Crop Environ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 You, Young-Hyun (Marine Microorganism Team, National Mariner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
  • 박종명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 박종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 유영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생물자원분류실 해양미생물팀)
  • Received : 2015.11.14
  • Accepted : 2016.02.12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In this study, the securing state of nationally indicated beneficial microbial resources was evaluated in an aspect of bio-diversity using their taxonomical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analysis result with the Margalef's richness or the Mehinick's index which are representative bio-diversity analytical indices, species diversity values was revealed as 8.537, 3.546 within bacterial resources, 3.349, 2.167 within fungal resources. Several developed or researched beneficial strains and spoilage microbes showed relative taxonomical relationship with comparation of their biological information. As a result, we propose the necessity or countermeasure method for preventing the microbial spoilage with the overhauling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on agricultural microbiology covering crop endophyte beneficial/spoilage microorganisms.

본 연구에서는 농업 분야 유용미생물 자원의 국가적 확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이들의 생물분류학적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에 대해 생물 종 다양성 지수를 도입하여 평가하였다. 대표적인 생물다양성 평가방법인 Margalef's richness 및 Mehinick's index를 각각 적용한 경우 세균은 각각 8.537, 3.546, 진균은 각각 3.349, 2.167의 값을 나타내었다. 높은 수준의 다양성을 가지고 연구·개발되고 있는 이들 농업 분야 유용미생물 및 농산물의 수확 후 선도저하를 유발한다고 보고된 주요 미생물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비교하였을 때 일부 미생물이 유사한 분류학적 위치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친환경농업 분야 유용미생물의 연구개발 및 작물 내생 미생물에 관한 연구 등 농업 분야 미생물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현황을 고찰하여 농산물의 수확 후 선도관리를 위한 보완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A strategy for securing unique microbial resources - focusing on Dokdo islands-derived microbial resources vol.64, pp.1, 2018, https://doi.org/10.1163/22244662-2018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