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utoring on the English Language Learning of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예비영어교사의 영어 학습 지원 튜터링이 북한이탈 대학생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최윤희 (총신대학교 영어교육과)
  • Received : 2016.03.11
  • Accepted : 2016.03.29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at difficulties and needs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have in their college English programs and what they experience over an English tutoring program offered b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fore the tutoring started,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difficulties and needs 100 NK refugee college students had. After the survey, six NK refugee college students and 12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on the voluntary basi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the effects of the tutoring program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show that NK refugee students reported the severe difficulties in learning English, their increased awareness of the slightly improved English skills over the tutoring program, the increased awareness of their affects, and the increased awareness of their linguistics development at the end of the tutoring.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supporting NK refugee college students are discussed.

이 연구는 북한이탈 대학생의 대학영어 수업에서의 어려움과 요구를 분석한 후, 예비영어교사의 튜터링을 통해 영어 능숙도와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튜터링을 시작 전, 100명의 탈북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희망하는 탈북 대학생은 예비 영어교사와 한 학기간 영어 학습 튜터링을 실시하였다. 탈북 학생들의 어려움과 영어 학습 요구는 양적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고, 튜터링을 통한 탈북 학생의 영어 능숙도와 정의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탈북학생들은 영어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영어 학습 요구도는 매우 높았다. 또한 한 학기 간의 튜터링을 통해 그들은 시기별로 네 가지의 주된 변화를 보였다. 첫째, 튜터링 시작 초반에는 영어 기초 학습의 부재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둘째, 튜터링 학습을 통해 다소 영어 능숙도가 향상되는 것을 탈북 대학생 스스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영어 능숙도의 향상과 더불어 그들의 정의적 측면(학습 동기와 자신감)이 조금씩 향상되었고, 넷째, 튜터링이 마무리 되는 시점에서 탈북 대학생은 영어 학습의 기초적인 측면(즉, 발음과 기초 문법 등)이 좀 더 향상되었다는 점을 자각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 이탈 대학생을 지원하는 대학 내 영어 프로그램 개발에 교육적 의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환, 한국 내 새터민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 연구,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 김주영, 탈북 학생의 남한에서의 영어교육경험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 김희겸, 새터민 대학생 적응실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 박은성, 김옥연, "대학 내 새터민들의 영어 장벽: 서울소재 사립대학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 335-359, 2014.
  5. 박진경, 탈북초등학생 영어학습 현황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6. 배진형, 박미현, "여성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한 사회복지실습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 60-7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060
  7. 양유미, 이소영, "정규중학교에 재학 중인 탈북청소년의 영어 학습 실태분석," 외국학연구, 제19권, pp. 59-78, 2012.
  8. 이주현, 김민지, 박현춘, 유시은, 노진원."북한이탈 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따른 건강증진생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 160-16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160
  9. 오사라, 대안학교 새터민 청소년의 영어교육 현황 조사 연구,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0. 우영호,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1. 이문우, "북한이탈청소년들과 영어담당교사들의 영어교육에 관한 인식연구," 영미어문학, 제114권, 제1호, pp. 323-344, 2014.
  12. 정새론, 임현우, "북한이탈주민들의 관점에서 본 남북한에서의 영어 학습," 중등교육연구, 제57권, 제3호, pp. 85-111, 2009.
  13. 정채관, 민호기, 박용효, 김소연, 북한이탈고등학생 영어 학습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탐색, 한국교육과 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4-6, 2014.
  14. 정채관, 김소연, "정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 이탈청소년의 영어학습 실태연구," 외국학연구, 제32권, pp. 65-88, 2015.
  15. 최윤희, "기독교 새터민을 위한 예비 기독영어교사 의 영어교육봉사 사례연구," 기독교와 어문학, 제12권, 제1호, pp. 87-110, 2015.
  16.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책, 통일부, 2014.
  17. Y. Choe, "Satermin(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voices in a peer-tutoring program for the English learning," Paper presented at the KATE SIG Conference, Seoul, 10, January, 2015.
  18. Y. Choi,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10th Asia TEFL International Conference, Delhi, India. 2012.
  19.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CA, USA: Sage Publications, 2008.

Cited by

  1. A Job seeking competency model for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pp.1469-3534, 2019, https://doi.org/10.1080/03069885.2018.1504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