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owerment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for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n Social Enterprises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김효순 (세종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부)
  • Received : 2016.03.04
  • Accepted : 2016.04.07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nd apply the empowerment program for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Empowerment program consisted of six main construct factors such as job or child, being acknowledged as a family member, enduring for economic work, developing myself, getting to know company culture, living a meaningful life for a korean. According to research analysis, self-identity, self-efficacy, coping abil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discussion and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empowerment program for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n social enterprises.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성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 이해, 양육문제에 대한 합의 능력, 사회적 기업 및 기업문화에 대한 학습, 직장 내 갈등 및 스트레스 대처기제,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문제해결,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모습이라는 프로그램 목표를 갖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각 10인으로 구성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검증결과,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대처기제능력 및 사회적 문제해결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결혼이주여성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 및 정책적 제언이 소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선화, "여성의 일자리창출방안-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제 9회 고용노동평등정책 세미나 자료집, pp. 53-75, 2009.
  2. 권복순, "한국어능력․자아존중감이 결혼이 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구지역 베트남, 필리핀, 중국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pp. 5-32, 2009.
  3. 금종례, 사회적 기업을 통한 다문화가족 구성원 고용창출 효과분석,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 김민경,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과정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제16권, 제3호, pp. 243-275, 2009.
  5. 김병숙, 안윤정, 송혜령,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적응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2호, pp. 52-78, 2010.
  6. 김안나, 최승아, "결혼이주여성 임파워먼트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제29권, 제2호, pp. 189-229, 2013.
  7. 김여진, 홍환, "중고령 전업주부와 취업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1권, pp. 93-118, 2009.
  8. 김연수,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1권, pp. 217-252, 2007.
  9. 김정희, 지각된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10. 김진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41권, 제2호, pp. 79-103, 2015.
  11. 김효순, "사회적 기업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결혼 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1호, pp. 327-355, 2013.
  12. 박능후, 선남이, "한국의 다문화의식: 국제결혼 여성의 취업이 한국사회 적응에 미친 영향," 민족연구, 제41권, pp. 120-144, 2010.
  13. 박명순, 박재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사용 능력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제4권, 제1호, pp. 19-41, 2011.
  14. 박미은, 신희정, 이미림,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과학 연구, 제23권, 제4호, pp. 213-244, 2014.
  15. 박재규, "농촌과 도시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결정 요인 및 지원방안연구," GRI 연구 논총, 제15권, 제1호, pp. 23-41, 2013.
  16. 박정숙, 박옥임, 김진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5권, 제6호, pp. 59-70, 2007.
  17. 박아청, "청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단계의 특성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 301-312, 2004.
  18. 박정임,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 205-21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205
  19. 설동훈, 조홍식,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사회보장연구, 제24권, 제2호, pp. 109-133, 2008.
  20. 양숙미, 정신지체 성인자녀의 부모를 위한역량 강화 집단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1. 양인숙, 민무숙,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실태와 정책과제," 한구여성개발원연, 제3권, 2010.
  22. 엄미선, 자기옹호(self-advocacy)집단 프로그램을 통한 도시빈민의 임파워먼트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3. 엄형식, "유럽 농촌지역 사회적 기업 이해를 위한 개념틀," 한국농촌경제연구, pp. 3-22, 2011.
  24. 여성가족부, 결혼이주여성 자료집, 2011.
  25. 오세란,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문제해결능력 증 진을 위한 인지행동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26. 이경은, 장덕희, 김도희, "결혼이민여성의 직업 활동과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여성학논집, pp. 113-153, 2012.
  27. 이명숙,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역량강화 프로그램 구안,"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3호, pp. 24-48, 2011.
  28. 이민영, 홍자영, 구인순, 김명실, 김은숙, "사회적 기업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고용불안정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미션지향성의 조절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 237-269, 2012.
  29. 이정희, 이수분, "여성결혼이민자의 직업과 정에 관한 질적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1호, pp. 141-159, 2013.
  30. 이태정, 이용수, 신현구, 김명수, "결혼이주여성 의 취업상태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인구학, 제36권, 제3호, pp. 21-44, 2013.
  31. 이현정,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는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수업 적용효과 :중학교 1학년기술․ 가정교과 '자아정체감의 발달'영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47권, 제3호, pp. 23-34, 2009.
  32. 장인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자아 정체감 연구: 마르시아의 정체감 지워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정합연구, 제11권, 제4호, pp. 315-339, 2013.
  33. 정미숙,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빈곤화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4호, pp. 191-216, 2007.
  34. 정선아, 하양숙, "한부모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 227-2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27
  35. 정종보, 임왕규,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의 수요도 및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 335-35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335
  36. 조영복, 사회적 기업의 이해와 국내외 경영 사례, 노동부, 2008.
  37. 조혜련,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과정과 맥락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8. 채병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정도와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문경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9. 최문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감소와 웰니스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연구-정서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0. 최이순, "알코올 환자들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결함,"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2권, 제4호, pp. 927-934, 2003.
  41. 최조순, 김종수, "여성일자리대안으로서 사회적 기업," 한국정책연구, 제10권, 제1호, pp. 155-173, 2010.
  42. 최청락, 빈곤의 여성화와 마이크로 크레딧의 지역적 의의, 2006년도 제3회 부산여성경제포럼 자료집, 2006.
  43. 통계청, 여성가구주 경제활동추이 자료집, 2014.
  44. http://www.socialenterprise.or.kr/
  45.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교육건강운동조직에서의 성취, 박영신, 김의철 역(2001), 교육과학사 1997.
  46. D. Belle, "Poverty and women's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Vol. 45, No. 3, pp. 385-389, 1990. https://doi.org/10.1037/0003-066X.45.3.385
  47. M. Benz, "Not for the Profit, But for the Satisfaction? Evidence on Worker Well-Being in No-Profit Firm," Kyklos, Vol. 58, No. 2, pp. 155-176, 2005. https://doi.org/10.1111/j.0023-5962.2005.00283.x
  48. C. V. Browne, "Empowerment in social work practice with older women," Social Work, Vol. 6, pp. 358-364, 1995.
  49. B. E. Compas, "Coping with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e," Psychological Bulletin, Vol. 101, No. 3, pp. 393-403, 1987. https://doi.org/10.1037/0033-2909.101.3.393
  50. J. A. Conger and R. N. Kanungo,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3, pp. 471-482, 1988.
  51. T. J. D'Zurilla and A. M. Nezu,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2, pp. 156-163, 1990. https://doi.org/10.1037/1040-3590.2.2.156
  52. I. A. Gutheil and E. Congress, Resiliency in older people: paradigm for practice. in E. Norman(ed.), Resiliency enhancement(pp. 40-52),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53. L. Gutierrez, R. Parsons, and E. Cox, Empowering in Social Work : A Sourcebook, Pacific Grove: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98.
  54. J. Lazarus and R. Folkman, The Empowerment Approach to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55. A. Maydue-Olivares and T. J. D'Zurilla, "A factor-analytic study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an integration of theory and data,"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20, pp. 115-133, 1996. https://doi.org/10.1007/BF02228030
  56. K. Moller, "Organising domestic workers :a protective regulatory framework for domestic work, ETUC(European Trade Union Confederation) Seminar, pp. 14-15, 2005.
  57. R. Parsons, "Assessing helping processing and client outcomes in empowerment practice," Empowerment Practice in Social Work, edited by Ghosh, S.(2006), 1999.
  58.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tion University press, 1965.
  59. D. Saleeby, The Strength Perspective in Social Work, London: Longman Publishing Group, 1992.
  60. L. H. Staples, "Powerful Ideas about Empowerment,"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 14, No. 2, pp. 34-79, 1991.
  61. Swagata Ghosh, 아시아 공정무역과 젠더, 여성 환경연대, 공정무역 아시아여성포럼 자료집, 2006.
  62. 국민일보, 대학신문, 매일 신문 기사, 2014.

Cited by

  1. Effects of the Culturally Sensitive Education of Perinatal Care on Knowledge, Skills, and Self-Efficacy among Korean Husbands and Vietnamese Wives vol.23, pp.4, 2017, https://doi.org/10.4094/chnr.2017.23.4.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