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보육교사의 자기분화,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김경희 (목포대학교 아동학과) ;
  • 김선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 Received : 2015.10.02
  • Accepted : 2015.12.29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is research purposed to verify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293 teachers in 39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 city and J province.The research tools for measurement have been used to self-differentiation (Je Seokbong, 1989) self-efficacy(Park Seonyeong, 2012) and psychological well-being(Ko Kyungae, 2010). The data is analyzed through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In conclusion, their ages of general background that have a distinction betweeen self-differentiation and self- efficacy as well as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two self-defferenciation and self- efficacy have a correlation and for being affected by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fluctuation. That is, teachers who have psychological struggle and anxiety are insufficient to teach young children warmly and comfortably, therefore, they should accept self and young children positively, maintain warm relationship, and develop their own ability or talent, and achieve self matureness as professional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기분화,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K시와 J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39개 보육기관 교사 293명이다. 연구도구는 자기분화척도와 자기효능감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인 연령에서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에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주는 변인임이 밝혀졌다. 즉, 심리적인 갈등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교사는 유아를 따뜻하고 편안하게 지도하기에 미흡하다. 이는 보육교사가 자신과 유아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따뜻한 관계를 유지하며 자기성숙을 위한 전문인으로써 자신의 능력이나 소질을 개발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심, 황순영,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제40권, 제1호, pp. 305-320, 2005.
  2. 고경애, 여성목회자의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다중역할몰입,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 권선림, 이신화, 신지영, 천성문, "부부의 심리적 독립, 자기분화,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27-42.
  4. 김유정,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유형과 관련 변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5. 김은정, 이종건, "조직문화와 셀프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제17권, 제1호, pp. 81-101, 2010.
  6. 김현옥, "신대원생들의 내담자 경험이 자기개념 대인관계 영적성숙에 미치는 영향," 목회와 상담, 제17권, pp. 277-297, 2002.
  7. 김혜원, 청소년 우울과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생활사건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8. 박선영, 교사의 독서교육 학습공동체 활동이 직무 만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9. 박순천, 백경임,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불교상담학회 한국불교상담학회지, 제3권, 제1호, pp. 79-96, 2011.
  10. 박영신, 김의철, 박은실,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 와 직무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분석," 교육과학연구, 제38권, 제3호, pp. 29-52, 2009.
  11. 박찬옥, 조성희,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양육태도 부모역할만족도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제15권, 제2호, pp. 25-48, 2011.
  12. 양병한, "초등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제41권, 제4호, pp. 285-309, 2003.
  13. 우재현, 심성개발을 위한 교류분석(TA)프로그램, 대구: 정암서원, 2000.
  14. 윤은종, 김희수, "예비보육교사의 생활양식 유형, 정신건강 및 자기능력 지각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제12권, 제4호, pp. 151-166, 2012.
  15. 이경숙,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6. 이병래,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7. 이유진, 김정미, "예비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애착, 자아분화, 학과만족도 간 관계," 유아교육연구, 제33권, 제2호, pp. 145-162, 2013.
  18. 임수연, 권순용, "원가족의 건강성, 자기분화, 부부관계의 인과적 관계의 성차," 가족과 문화, 제23권, 제4호, pp. 67-94, 2011.
  19. 전미옥, 특수교사의 발달단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0. 정은, 가족상담, 서울: 창지사, 2009.
  21. 정혜정, 조은경,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19-46, 2007.
  22. 제석봉,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23. 조규판, 우수희, 송근혜,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 문제연구," 제30권, 제4호, pp. 59-80, 2012.
  24. 조은아,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 수행정도 분석: 교사배경변인별 차이와 상관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5. 지명원, 이주연,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 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 191-200, 2012.
  26. P. T. Ashton, "Teacher Efficacy :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35, No. 5, 1984.
  27. A. Bandura, "Health Promo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Psychology and Health, Vol. 13, pp. 623-649, 1998. https://doi.org/10.1080/08870449808407422
  28. M. Bowen,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Y and London, Jason Aronson, 1978.
  29.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Vol. 55, pp. 34-43,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34
  30.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 York: Norton, 1963.
  31. S. Gibson and M. Dembo,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76, No. 4, pp. 569-582, 1984.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32. G. Hackett and N. E. Betz,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a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18, pp. 326-339, 1981.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33. M. Kerr and M. Bowen,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New York: Norton Publishing, 1988.
  34. D. G. Knauth, E. A. Skowron, and M. Escobar,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adolescent risk, behavior: Test of the theoretical model," Nursing Research, Vol. 55, pp. 336-345, 2006. https://doi.org/10.1097/00006199-200609000-00006
  35.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7, No. 6, pp. 1069-1082,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36. D. W. Winnicott, "Desenvolvimento emocional primitivo. In: Winnicott, D. W. Da pediatria a psicanalise: obras escolhidas," Rio de Janeiro: Imago, pp. 218-232, 2000.
  37. 김은희, 황해익, "유치원 교사의 직무 전문성 자기평가 준거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 연구, 제11권, 제3호, pp. 285-307, 2006.
  38.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 개념 분석, 한국심리학회, 제15권, 제2호, pp. 19-39, 2001.
  39. 박영석,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 325-33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