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tigue, Personality Traits,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Graduate-entry Medical Students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피로, 성격특성,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Received : 2015.09.01
  • Accepted : 2015.10.30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atigue, personality,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students. 146 students from year 1 to year 4 at one medic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udents completed the fatigue, Big Five personality traits(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learning, strategie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measured by GPA.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tudent's fatigue differed by grade, and the students of low grade had higher scores than high grade. But personality traits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ade. The factors that a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differ by grade. In low grade, neuroticism, extraversion, and rehearsal affect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grade,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sion had an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ese results could guide the design of medical education improvement, and be useful in developing a supporting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피로, 성격특성,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와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생 중인 1, 2, 3, 4학년 총 14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피로, NEO 간편형 성격검사, 학습전략 검사이며, 학업성취도는 학기말 평점평균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료는 t-test, Pearson의 r, 그리고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피로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높았다. 그러나 성격특성과 학습전략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학년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저학년의 경우, 성격특성 중 신경증, 외향성이, 학습전략 중 시연전략이 영향을 미쳤다. 반면, 고학년의 경우, 성격특성 중 성실성과 외향성이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전략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의학교육과정의 개선과 학년에 따른 차별화된 학생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라영안, 학업 최우수 대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 촉진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 이순옥, 이상엽, 백선용, 우재석, 임선주, 윤소정, 이선희, 감비성, "의학교육에서 학업성취도 예측을 위한 성공적인 학습전략요인에 관한 2.5년 추적연구," 한국의학교육, 제27권, 제2호, pp. 99-105, 2015.
  3. 김상현, 전우택, "의대생의 유급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의학교육, 제20권, 제4호, pp. 351-362, 2008.
  4. 배수진, 의과대학생의 학습양식, 성격과 임상수행평가 성취도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김선, 김주현, 허예라, "의과대학생 성격과 학업성취도 비교를 통한 교육방법," 한국의학교육, 제27권, 제2호, pp. 107-119, 2007
  6. 박귀화, 전수경,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성격특성, 학습접근법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6호, pp. 149-172, 2007.
  7. 이영미, 함병주, 이경아, 안덕선, 김명곤, "의대생의 자기효능감과 환경요인, 성격, 학업성취도 관련성," 한국의학교육, 제18권, 제3호, pp. 249-257, 2006. https://doi.org/10.3946/kjme.2006.18.3.249
  8. B. T. Shaikh, A. Kahloon, M. Kazmi, H. Khalid, K. Nawaz, N. Khan, and S. Khan, “Students,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 case of Pakistani medical school,” Educ Health, Vol. 17, No. 3, pp. 346-353, 2004. https://doi.org/10.1080/13576280400002585
  9. H. J. Michielsen, J. de Vries, and G. L. van Heck, "In search of personality and temperament predictors of chronic fatigue: a prospective study," Pers Individ Dif, Vol. 35, No. 5, pp. 1073-1087, 2003.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319-7
  10. M. Nagane, "Relationship of subjective chronic fatigue to academic performance," Psychol Rep, Vol. 95, No. 1, pp. 48-52, 2004. https://doi.org/10.2466/pr0.95.1.48-52
  11. 소연희, "의과대학생들의 성취목표성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이 수업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제20권, 제1호, pp. 37-49, 2008.
  12. 견영기, "일개 의과대학생에서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제22권, 제3호, pp. 205-214, 2010.
  13. S. Nighute and S. K. Sadawart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J of Evol Med Dent Sci, Vol. 3, No. 17, 2014.
  14. 김미라, 안서원, 이정모, 언덕선, 이영미, "의과대학생의 학습양식의 특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제18권, 제2호, pp. 133-140, 2006. https://doi.org/10.3946/kjme.2006.18.2.133
  15. 이병국, 반건호, 이원혜, 박준헌, 윤태영, 백상빈, "의과대학생 및 의학전문대학원생의 공감 능력과 학제, 학년 그리고 성격의 연관성," 한국의학교육, 제21권, 제2호, pp. 117-124, 2009.
  16. P. T. Costa and R. R. McCra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1992.
  17. T. Chamorro-Premuzic, A. Furnham, and M. Lewis, "Personality and approaches to learning predict preference for different teaching methods," Learn Individ Differ, Vol. 17, No. 3, pp. 241-250, 2007. https://doi.org/10.1016/j.lindif.2006.12.001
  18. J. de Vries and G. L. van Heck, "Fatigue: Relationships with basic personality and temperament dimensions," Pers Individ Dif, Vol. 33, No. 8, pp. 1311-1324, 2002.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015-6
  19. 전명남, "높은 학업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수행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4호, pp. 1-28, 2003.
  20. 박성익,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2000.
  21. 신홍임, 전우택, 양은배,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 관계," 한국의학교육, 제22권 제3호, pp. 197-204.
  22. M. Komarraju, S. J. Karau, R. R. Schmeck, and A. Avdic,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Pers Individ Dif, Vol. 51, No. 4, pp. 472-477, 2011. https://doi.org/10.1016/j.paid.2011.04.019
  23. 김정아, 김인경,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주의력 조절, 피로 및 아침 식사 특성,"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6권, 제3호, pp. 465-477, 2012 https://doi.org/10.5932/JKPHN.2012.26.3.465
  24. 장현정, 김명애,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별 기질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 400-410, 2014.
  25. 박완성, 정구철,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 학업적.사회적 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 490-49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490
  26. Y. H. Yun, X. S. Wang, J. S. Lee, J. W. Roh, C. G. Lee, W. S. Lee, K. S. Lee, S. M. Bang, T. R. Mendoza, and C. S. Cleeland,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fatigue inventory," J Pain Symptom Manage, Vol. 29, No. 2, pp. 165-172, 2005.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04.04.013
  27. 안현의, 안창규, NEO 성인성격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2008.
  28.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9. P. M. Niemi and P. T. Vainiomaki, "Medical students' distress-quality, continuity and gender differences during a six-year medical programme," Med Teach, Vol. 28, No. 2, pp. 136-141, 2006. https://doi.org/10.1080/01421590600607088
  30. T. Chamorro-Premuzic and A. Furnham, "Personality traits and academic examination performance," Eur J Pers, Vol. 17, No. 3, pp. 237-250, 2003. https://doi.org/10.1002/per.473
  31. A. Furnham, T. Chamorro-Premuzic, and F. McDougall, "Personality, cognitive ability, and beliefs about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academic performance," Learn Individ Differ, Vol. 14, No. 1, pp. 49-66, 2003.
  32. M. Sanchez-Marin, E. Rejano-Infante, and Y. Rodriguez-Troyano, "Personality and academic productivity in the university student," Soc Behav Pers, Vol. 29, No. 3, pp. 299-305, 2001. https://doi.org/10.2224/sbp.2001.29.3.299
  33. E. Rolfhus and P. L. Ackerman, "Assess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knowledge: Knowledge, intelligence, and related traits," J Educ Psychol, Vol. 91, No. 3, pp. 511-526, 1999. https://doi.org/10.1037/0022-0663.91.3.511
  34. 박윤미, 웹기반 협동 학습에서 아동의 성격유형에 따른 모둠 구성이 학업성취도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5. 노혜린, "의학전문대학원 교육의 차별환 방안," 한양의학논단, 제32호, 제1권, pp. 17-24, 2012.
  36. 양은배, 맹광호,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다섯 가지 제언," 한국의학교육, 제26권, 제3호, pp. 167-178, 2014.
  37. 윤소정, 박귀화, "의학전문대학원생을 위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한국의학교육, 제24권, 제4호, pp. 283-289, 2012.
  38. M. K. Mount, M. R. Barrick, and G .L. Stewart,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performance in jobs involving interpersonal interactions," Hum Perform, Vol. 11, No. 2, pp. 145-165, 1998. https://doi.org/10.1080/08959285.1998.9668029
  39. M. T. van Lohuizen, J. B. Kuks, E. A. van Hell, A. N. Raat, and J. Cohen-Schotanus, "Learning strategies during clerkships and their effects on clinical performance," Med Teach, Vol. 31, No. 11, pp. e494-e499, 2009. https://doi.org/10.3109/01421590902744894
  40. J. D. Vermunt, "The regulation of constructive learning processes," Br J Educ Psychol, Vol. 68, No. 2, pp. 149-171, 1998. https://doi.org/10.1111/j.2044-8279.1998.tb01281.x
  41. V. V. Busato, F. J. Prins, J. J. Elshout, and C. Hamaker, "Learning styles: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in higher education," Br J Educ Psychol, Vol. 68, No. 3, pp. 427-441, 1998. https://doi.org/10.1111/j.2044-8279.1998.tb01302.x
  42. 박귀화, 최창휴, 전양빈, 박국양, 박철현, "일개의과대학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팀바탕학습 인식도 조사," 한국의학교육, 제25권, 제2호, pp. 113-12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