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Self-control of Adolescence on the Teacher Attachment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및 자기신뢰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강동훈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Received : 2015.11.10
  • Accepted : 2016.01.18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elf-control of adolescence on the teacher attachment. In addition to this, it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nfidence of adolescence. For this reason, we analyzed the data of 2,854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in 2010 by a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trol of adolescence was found to gi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eacher attachment. In this case, the self-control of adolesc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and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Second, self-esteem and self-confidence of adolescence, it was found that self-control of adolescence has a significant medit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eacher attach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have proposed the importance of the self-control training of adolescence.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신뢰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도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학교 2학년 6차년도 자료 중 설문에 응답한 2,854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은 교사애착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은 간접효과와 직접효과, 총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신뢰감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교사애착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의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훈련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라, "정서순화 프로그램 중재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전략중재연구, 제2권 제1호, pp. 41-76, 2011.
  2. 강상경, 좌현숙, "지역사회정신보건 재활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3권, pp. 185-213, 2007.
  3.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2000.
  4. 구본용,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모, 교사,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2012.
  5. 구승신, 박성현, "초등학생의 직업성숙도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5권, 제1호, pp. 119-131, 2007.
  6. 구자경,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신건강 과의 관계 : 학교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1권, 제2호, pp. 217-239, 2004.
  7. 김건숙, 이호준,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또래관계 친밀감의 관계: 자기신뢰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호, pp. 331-356, 2015.
  8. 김경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부모.교사 애착 간의 종단적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김성경, "고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1호, pp. 381-406, 2008.
  10. 김영민, 임영식,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한 청소년기 자기통제력의 종단적 변화추이 : 부모, 또래, 교사애착 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5호, pp. 303-327, 2014.
  11. 김요셉,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이 청소년기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2. 김요셉, 김성천, 유서구, 신애원, "청소년기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 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3호, pp. 103-126, 2011.
  13. 김지영, 이형실,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 요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2권, 제1호, pp. 21-32, 2010.
  14. 김지혜, "청소년 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자아 탄력성을 매개로 공동체 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봉사활동 시간과 주관적 만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1호, pp. 41-62, 2012.
  15. 남소정, 학교의 진로지원활동과 학생의 자기신뢰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6. 문영주, "사회복지사의 조직물에 관한 연구 ; 조직공정성,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9권 제1호, pp. 53-81, 2007.
  17. 문이정, 김종남,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우울취약 성격유형의 관계에서 신뢰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 1877-1893, 2013.
  18. 민수홍, "낮은 자기통제력의 결과로서의 청소년 비행과 학교에서의 징계경험," 청소년학연구, 제12권, 제2호, pp. 1-25, 2005.
  19. 박은민,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3권, 제3호, pp. 75-88, 2010
  20. 박재연, 임연옥, 윤현숙, "한국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이르는 경로분석 ; 실존적 영성, 가족의지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4호, pp. 81-105, 2010.
  21. 박정주, "교사애착이 학생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 333-352, 2011.
  22. 박진옥,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 및 교사신뢰와 학습동기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3. 박현수, 정혜원, "초기 비행청소년과 후기 비행 청소년의 비행경로 비교: 비행친구, 부모애착, 자기통제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2호, pp. 5-34, 2010.
  24. 백혜정, "자아통제, 자기신뢰 및 교사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9권, 제2호, pp. 357-373, 2007.
  25. 손승아, 안경숙, 김승경,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심리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7권, 제1호, pp. 127-148, 2006.
  26. 심희옥,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부적응 생활 사건,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원과 부적응에 관한 종단연구," 아동학회지, 제19권, 제2호, pp. 35-48, 1998.
  27. 안차수, "초등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과 예방프로그램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8권, 제3호, pp. 347-380, 2008.
  28. 이상은,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적 능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9. 이성희, 이선애,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통제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12권, pp. 1-22, 2007.
  30. 이인숙,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부모 애착 및 교사 애착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1. 이지숙, "청소년 문제행동을완화하는 보호요인 연구 : 조절요인과 Suppressor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4호, pp. 281-300, 2009.
  32. 이지언, 정익중, "따돌림 피해 경험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24권, pp. 219-239, 2013.
  33. 이화석, 생활무용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교정시설 청소년들의 자아개념 변화,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34. 임영식,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5권, 제3호, 1998.
  35. 정익중, 박현선, 구인회,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3호, pp. 223-244, 2006.
  36. 정혜원, 박성훈, "낮은 자기통제력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범죄와비행 창간호, pp. 189-207, 2011.
  37. 조은정,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모, 교사, 친구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6호, 2008.
  38. 최정아,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지지, 자아통제력,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3호, pp. 189-212, 2010.
  39. 허의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교사애착의 효과검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0. 홍성훈, 김희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애착안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pp. 33-53, 2005.
  41. 황성혜, "청소년 학교 부적응의 발달궤적 연구: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청소년연구, 제17권, 제4호, pp. 211-239, 2010
  42. 황순필, 고교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인간관계와 자아개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43. A. Bandur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1986.
  44.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ion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pp. 1171-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1
  45. M. W. Browne, and R. Cudeck, "Single sample cross-validation indices for covariance structur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 24, pp. 445-455, 1989.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2404_4
  46. C. H. Burt, R. L. Simons, and L. G. Simons, "A longitudinal test of the effects of parenting and the stability of self control: Negative evidence for the general theory of crime," Criminology, Vol. 44, pp. 353-396, 2006. https://doi.org/10.1111/j.1745-9125.2006.00052.x
  47. C. H. Cooley, Human nature and social order, Shocken, 1964.
  48. S. Coopersmith, Antecedents of self-esteem, W. H. Freeman and Company, 1967.
  49. W. J. Edwards, "A measurement of delinquency differences between a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sample: What are the implication?," Adolescence, Vol. 31, No. 12, pp. 973-989, 1996.
  50. M. Gottfredon and T. A. Hirschi,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51. A, W. Logue, Self-control, Prentice Hall, 1995.
  52. A. H. 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per, 1954.
  53. C. Mruk, Self-esteem: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5.
  54. C. Rogers, On becoming a person, Houghton Mifflin, 1961.
  55.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56. J. Bowlby,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Paychanalysis, Vol. 39, pp. 350-373, 1969.
  57. J. P. Tangney, R. F. Baumeister, and A. L. Boone,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Vol. 72, No. 2, pp. 271-322, 2004.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63.x
  58. K. Young and J. Suler, Intervention with Pathological and deviant populations within an online community, Paper presented at the 10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s, San Francisco,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