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aphic Design Curricula to Improve Practical Skills Contents

실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시각디자인 교과과정 연구

  • 김희준 (동양미래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과) ;
  • 박성현 (동양미래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과)
  • Received : 2015.10.02
  • Accepted : 2015.12.02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niversity graphic design curricula to cultivate creative specialized manpower equipped with practical skills. To attain the goal, this author investigated the curricula of four-year, three-year, and two-yea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and interviewed those working in 10 specialized design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analyzing the curricula, four-year, three-year, and two-year universities all emphasize practices based on projects and inquiries more rather than the mastery of basic design. Among the areas, publication graphic designs are emphasized the most, and the next are visual multimedia designs. However, advertising marketing designs are not or hardly emphasized in the curricula. But specialized university education demanded by those specialized design companies is the education emphasizing the mastery of basic design more rather than practices based on projects and inquiries. Concerning the cultivation of specialized graphic designers having central roles as the pillars of knowledge industry or creative industry demanded in this age, it is needed to have a new perspective to reorganize specialized education grounded on close cooperation and favorabl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in charge of specialized education and those specialized companies.

본 연구는 실무수행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과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소재 대학 중 4년제, 3년제, 2년제 대학의 교과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디자인 전문 업체 10곳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학의 교과과정은 4년제, 3년제, 2년제 모두 기초디자인 숙달훈련 과정보다 프로젝트 실습과 탐구과정에 많은 비중을 둔 교육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그 중 출판 그래픽디자인 영역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영상 멀티미디어디자인 영역에도 많은 중요도를 두고 있었다. 반면 광고 마케팅 영역의 교과과정 비중은 없거나 적게 분포되고 있었다. 그러나 디자인 전문 업체에서 희망하는 대학의 전문교육은 프로젝트 실습 및 탐구과정 보다 기초디자인 숙달훈련 과정에 비중을 둔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 산업이자 지식산업의 역군으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적인 시각디자이너의 양성은 전문교육을 담당하는 대학과 전문 업체 간의 긴밀한 관계유지와 협업을 전제로 전문교육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장진, 2기 융합시대를 선도하는 디자인 강국 실현, 나라경제, 2013.
  2. 한국고용정보원, 디자인 인력수요 전망, 2015.
  3. 한국디자인 진흥원, 국가디자인 경쟁력 측정 최종 보고서, 2012.
  4. 한국디자인 진흥원, 산업디자인통계조사 개선 방향 연구, 2013.
  5. http://kess.kedi.re.kr/index
  6. http://kssc.kostat.go.kr/ksscNew_web/link.do?gubun=001
  7. 김희준, "전문대학의 시각디자인 전공심화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0권, 제1호, pp. 145-15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