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Typ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s Clusters : Focusing o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부모의 양육태도 군집의 유형 차이 분석: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중심으로

  • 김미진 (협성대학교 대학원 상담학과)
  • Received : 2015.10.15
  • Accepted : 2016.04.10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naturally occurring parent groups form by using Schaefer's two axes of affection-rejection and autonomy-control, it also aims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 group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A total of 201 kindergarten children between the age of 3 to 5 and their pare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in order to investigate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expression. And children's teachers measured their peer competence. SPSS 18.0 was used and clustering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different parenting attitudes. The first fathers' group was named the lacking-affection group, the second was the democratic-reception group, the third was the ignorance group and the last was the rejection group. For mothers' groups, the first was named the rejection group, the second was the autonomous-control group and the third was the reception-respect group.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of each group had a considerable differenc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peer competence. This study was dedicated in deriving meaningful implications on the role of parents by invest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naturally occurring cluster.

Keywords

References

  1. 곽운숙, 이성희 (2014).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2), 101-119.
  2. 권연희 (2013). 유아의 사회적 위축에 대한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215-238.
  3. 권영아 (2002).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숙 (2015). 아버지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기예 (2006).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능력에 따른 유아의 실행기능과 또래상호작용.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길자 (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남숙 (2011). 한국과 인도네시아 부모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총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명숙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 정서지능과 유아의 사회성간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미정 (2010). 가정의 경제적 불안, 아버지의 우울,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과 유아의 문제행동.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숙령, 고윤희 (2013).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및 영유아 탄력성이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2), 27-51.
  11. 김송자 (2002). 부모의 양육태도 및 정서표현성과 자녀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은경 (2007). 유아 정서능력과 어머니 정서반응태도에 기초한 또래 유능성 모형.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사논문.
  13. 김이영 (2014). 유아의 문제행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1), 136-153.
  14. 김정신 (1999). 아버지 양육태도와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정아 (2010).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정은, 신유림 (2015).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 및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1), 219-237.
  17. 김지영 (1997). 초등학교 아동의 불안수준과 대처방식과의 관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진숙 (2007, 3). 대상관계이론의 이해. 한국예술치료학회 월례학술발표회 포스터발표 논문, 대구.
  19. 김진아, 한귀례 (2014). 부모양육태도와 정서문제의 관계구조. 상담학연구, 15(6), 2379-2399.
  20. 김현주, 홍상황 (2015).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6(1), 413-429.
  21. 김혜순 (2014).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6, 27-49.
  22. 김희정 (2012). 어머니가 지각한 부정적 정서에 대한 아동의 대처반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노은선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문혁준 (2000). 또래수용도와 부모 양육태도: 인기아와 고립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7), 39-52.
  25. 박두미 (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범실 (1987).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상임 (201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표현성과 유아 사회적 능력의 관계에서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박소은, 남은영 (2010).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정서인식, 정서수용 및 양육태도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3), 89-103.
  29. 박정은 (2002). 부모의 양육태도, 공격성 및 또래동조성과 집단 따돌림 가해경향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31.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사논문.
  32. 박지영, 강성단, 권경숙 (2010). 유아의 성, 기질, 가정의 월수입,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사회적 유능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59-382.
  33. 박재윤 (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박희현, 김진아, 한귀례 (2014).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7(3), 345-362.
  35. 배문주 (200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배민정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양육태도 및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배민정, 정윤경 (2015). 어머니의 정서표현양가성이 양육태도와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2), 159-174.
  38.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39. 손상희 (2013).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을 매개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손상희, 유연옥, 최성열 (2014).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을 매개로. 아동교육, 23(3), 347-363.
  41. 손헤련 (1996).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모자간 애착 유아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송명자 (1995).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43. 송아람 (2006).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태도의 관계가 유아의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동적가족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송하나 (2006). 부모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애착관계에 대한 내적 표상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3(3), 39-55.
  45. 신명숙 (2007).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신영아 (2007). 걸음마기 아동의 순응행동에 관련된 변인들: 아동의 성, 연령,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요구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양문정 (2014).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또래유능성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오지현 (2010).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 양육행동 및 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의 관계-정서.행동 발달 문제를 보이는 내담아동 어머니 집단을 대상으로. 인간발달연구, 17(1), 33-48.
  49. 우수경 (2002). 아버지의 정서표현과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총, 6(2), 95-112.
  50. 우수경, 정영숙 (2003).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총, 7(1), 99-119.
  51. 윤운성, 정정옥 (2003). 영아.유아.아동 발달심리. 서울: 교육아카데미.
  52. 윤정원 (2015).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경옥 (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 불안정간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이미선 (2002).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이미아 (2012). 정서, 행동장애연구: 효과적인 ADHD 아동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 개발. 정서.행동장애연구, 28(4), 281-310.
  56. 이선희 (2015). 유아의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별 대처방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이수화 (2011). 유아의 기질과 가정환경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이숙현 (2006). 생산적 남성의 아버지 역할.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133-150.
  59. 이양순, 정영숙, 이기영 (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1), 41-63.
  60. 이영환 (2008).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부모 공동양육의 관점에서. 아동과 권리, 12(2), 189-210.
  61. 이원영 (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2. 이종승, 오성심 (1982).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행동과학연구, 11(1), 1-15.
  63. 이지원 (1999). 부모의 양육태도가 또래로부터의 공격피해에 미치는 영향: 공격적 및 소극적 반응 양식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이지희 (2008).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5. 이진희 (2013).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 외로움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8(1), 57-80.
  66. 이혜련, 최보가 (2002). 학령 전 아동의 정서이해와 부모의 정서 표현성 및 아동정서 수용태도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0), 103-112.
  67. 임미옥 (2006). 부모의 정서표현 및 자녀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전숙영 (2007).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학령기 후기 아동의 정서적 자율성의 매개 효과에 대한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5(6), 101-111.
  69. 전춘애, 박성연 (1996).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5), 115-129.
  70. 전혜경 (2014).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유아의 정서지능과 의사결정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1. 전효선, (201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정원식 (1976). 가정교육의 의미. 새가정, 245, 34-37.
  73. 정윤경, 박보은 (2010).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111-125.
  74. 정윤주 (200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아동의 성과 또래수용도의 중재효과에 대한 탐색. 아동학회지, 25(6), 205-223.
  75. 조유진 (2012).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군집과 아동의 개인내적 특성과의 관계: 개인내적 특성 중자아존중감, 내외통제소재,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6(2), 286-307.
  76. 조형숙, 김지혜, 김태인 (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아버지 상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1), 239-264.
  77. 채진영, 이강이 (2009). 어머니의 원부모에 대한 애착표상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6(4), 95-114.
  78. 최정혜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9(5), 55-71.
  79. 최종순 (2003). 자기애적 성격특성과 자기표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0. 최주영 (2015). 부모의 수용-거부양육태도와 정서표현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1. 한영민 (2005).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2. 허영림 (2006).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26(1), 97-116.
  83. Aquilino, W. S., & Supple, A. J. (2001). Long-term effects on parenting practices during adolescence on well-being outcomes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Family Issues, 22(3), 289-308. https://doi.org/10.1177/019251301022003002
  84. Asher, S., Renshaw, P., & Hymel, S. (1982). Peer re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In S. Moore & C. Cooper (Eds.), The young child (pp. 137-158). Washington, DC: NAEYC.
  85. Baumrind, 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s, 4, 1-102.
  86. Becker, W. C. (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 L. W. Hoffman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pp. 169-208). NY: Russell Sage Foundation.
  87. Belsky, J., Lerner, R. M., & Spanier, G. B. (1984). The child in the family. NY: Random House.
  88. Burleson, B. R., & Kunkel, A. (2002). Parental and peer contributions to the emotional support skills of the child: From whom do children learn to express support?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2(2), 81-97. https://doi.org/10.1207/S15327698JFC0202_02
  89. Buschgens, C. J. M., van Aken, M. A. G., Swinkels, S. H. N., Ormel, J., Verhulst, F. C., & Buitelaar, J. K. (2010). Externalizing behaviors in preadolescents: Familial risk to externalizing behaviors and perceived parenting styles.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9(7), 567-575. https://doi.org/10.1007/s00787-009-0086-8
  90. Chen, X., Rubin, K. H., & Li, B. (1997). Maternal acceptance and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in Chinese children: A four-year longitudinal study. Merrill-Palmer Quarterly, 43, 663-681.
  91. Cheng, H., & Furnham, A. (2004).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 self-esteem and self-criticism as predictors of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5(1), 1-21. https://doi.org/10.1023/B:JOHS.0000021704.35267.05
  92. Dekovic, M., & Janssens, J. M. (1992). Parents' child-rearing style and child's sociometric status. Developmental Psychology, 28(5), 925-932. https://doi.org/10.1037/0012-1649.28.5.925
  93. Denham, S. A. (1993). Maternal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toddler'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4), 715-728. https://doi.org/10.1111/j.1469-7610.1993.tb01066.x
  94. Denham, S. A. (1989). Maternal affect and toddler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9(3), 368-376.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9.tb01672.x
  95. Dunsmore, J. C., & Karn, M. A. (2001). Mothers' beliefs about feelings and children's emotional understanding.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2(1), 117-138.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201_7
  96. Eisenberg, N., Fabes, R. A., Berns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5), 1418-1438. https://doi.org/10.2307/1131543
  97. Goldberg, L. R. (1990).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Jaurnal of Pre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6), 1216-1229. https://doi.org/10.1037/0022-3514.59.6.1216
  98. Greenberg, J. R., & Stephen, R. M. (1983). Object relations in psychoanalytic theory,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이재훈 옮김).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원판 1999).
  99.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I. G. Grim & P. R. Yam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 147-205).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00. Halberstadt, A. G., Cassidy, J., Stifter, C. A., Parke, R. D., & Fox, N. A. (1995).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x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Psychological Assessment, 7(1), 93-103. https://doi.org/10.1037/1040-3590.7.1.93
  101. Hermann, H. (1997).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of teacher language to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early childhood progra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DC. Publishing.
  102. Kilpatrick, S. D., Bissonette, V. L., & Rusbult, C. E. (2002). Empathic accuracy and accommodative behavior among newly married couples. Personal Relationships, 9(4), 369-393. https://doi.org/10.1111/1475-6811.09402
  103. Lepper, M. R. (1983). Extrinsic reward and intrinsic motivation: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In J. M. Levine & M. C. Wang (Eds.), Teacher and student perceptions: Implications for learning (pp. 281-317). Hillsdale m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4. Mahler, M. S., Pine, F., & Bergmen, A. (1975). The psychological birth of the human infant: Symbiosis and individuation. NY: Basic Books.
  105. Parker, A. E. (2006). Parental socializ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ssociations with children's everyday coping and display rule knowled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C.
  106. Rohner, R. P., & Rohner, E. C. (1981).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control: Crosscultural codes. Ethnology, 20(3), 245-260. https://doi.org/10.2307/3773230
  107. Rohner, R. P. (1991). The warmth dimension: Foundation of parental acceptance-rejaction theory. NY: Sage Publications.
  108.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2), 226-384. https://doi.org/10.1037/h0041114
  109. Schaefer, E. S. (1965). A configurational analysis of children's reports of parent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9(6), 552-557. https://doi.org/10.1037/h0022702
  110.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NY: Free Press.
  111. Seligman, M. (2007). The optimistic child, NY: Houghton Mifflin.
  112. Shaffer, D. R. (2000).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4th ed).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113. Turner, P. H., & Harris, M. B. (1984). Parental attitude and preschoo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4(1), 105-113. https://doi.org/10.1080/00221325.1984.10532455

Cited by

  1.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유형의 군집에 따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차이 검증 vol.13, pp.3, 2016,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3.039
  2. Analysis on the Preschool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enting Attitude of Their Parents vol.11, pp.1, 2016, https://doi.org/10.5718/kcep.2017.11.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