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박기갑 (2006). 유엔아동권리위원회.유엔인권조약감시기구 일반논평.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 김수정 (2012). 전국 장난감도서관의 운영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설, 박수연 (2010). 보육 시설장.교사 윤리강령 개발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김정래 (2002). 아동의 놀 권리: 그 교육적 필요성의 철학적 정당화 논의. 아동권리연구, 6(1), 31-46.
- 김지희 (2012). 아동의 생활시간과 놀이시간 양태연구: 방과 후 보호자 유무에 따른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50(8), 13-19. https://doi.org/10.6115/khea.2012.50.8.013
- 박병희, 박선희 (2002). 유아, 공간, 관계: 유아를 위한 포괄적 교육환경 프로젝트. 서울: 다음세대.
- 보건복지부 (2015). 보육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 서문희, 양미선, 김은설, 최윤경, 유해미, 손창균 등 (2013). 2012 보육실태조사 결과 발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서영숙 (2011. 10).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영유아 권리 존중 실태와 실현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제1차 육아선진화포럼자료집, 서울.
- 서영숙, 서지영 (200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서울: 학지사.
-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보육교사용 아동권리협약과 함께 하는 아동청소년의 권리. 서울: 보건복지부.
- 서영숙, 이창미 (2013. 11). 장난감도서관의 현재적 의미와 가치실현을 위한 정책제언. 육아지원사업의 꽃 '장난감도서관' 활성화 정책포럼, 한국장난감도서관협회, 서울.
- 신정희 (2005). 한국의 장난감도서관에 관한 인식, 국제장난감도서관협회 9차 컨퍼런스, 리스본.
- 우남희 (2004). 권리와 한국의 조기교육. 한국아동권리학회, 8(2), 189-207.
- 윤은주 (2015). 자기주도적 프로젝트교사교육 콘텐츠 개발 탐색연구: 유아교사의 프로젝트 실행 과정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6(3), 195-213. https://doi.org/10.5723/KJCS.2015.36.3.195
- 이순희, 서영숙 (2013). 아동권리 존중 측면에서 본 휴식 및 낮잠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335-355.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335
- 이용우 (2007).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이종희 (2010). 아동 놀이의 국가적 정책화: 영국의 사례. 아동학회지, 31(3), 161-181.
- 이은화, 정진, 박현주, 김현정 (2000). 문화와 놀이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 43-58.
- 장경희 (2008). 한국장난감도서관 운영에 관한 기초연구, 부모교육연구, 5(2), 79-100.
- 현은자, 고선주, 오연주 (2009),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기관: 놀이터, 어린이도서관, 청소년기관. 아동학회지, 30(6), 139-151.
- 한국장난감도서관협회, (2013). 장난감도서관 소개. http://www.ktla-toylib.or.kr/contents/contents.php?gnb_code=XL92568&cate_code=BK29854&cts_code=LB90310에서 2016년 2월 10일 인출.
- David, B, Gill, T. & Spiegel, B. (2008). Managing risk in play provision : Implementation guide. London: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and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 Bogdan, R. (1973). Participant observation,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50(4), 302-308. https://doi.org/10.1080/01619567309537925
- Denzin, N. K. (1989). The research ac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 Families (DCSF). (2007). The Children's Plan : Building brighter futures, London: DCSF.
-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 Families (DCSF). (2008). Fair play : A consultation on the play strategy. London: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and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 Fisher, E. (1992). The impact of play on development: A meta-analysis. Paly & Culture, 5(2), 159-181.
- Ford, S. A. (1993). The facilitator's role in children's play. Young Children, 48(6), 66-69.
-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 Hammersley, M, & Atkinson, P. (1983). Ethnography: Principles in practice. London: Tavistock.
- Jackson, S. C., Robet, L., Watjus, M., & Chadwick, E. (1991). Play for all children: toy library solution. Childhood Education, 68(1), 27-31. https://doi.org/10.1080/00094056.1991.10520841
- Kapellaka, U. (1992). Toy library: Learning through play with toy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24(2), 53-56. https://doi.org/10.1007/BF03175507
- Russ, S., Robin, A., & Christiano, B. (1999). Pretend play: Longitudinal prediction of creativity and affect & fantasy in childre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2(2), 129-139.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202_5
- Saldana, J. (2012).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Schwandt, T. (2007). Dictionary of qualitative inquiry (3nd ed.). Thousand Oaks: Sage.
- Shackell, A., Butler, N., Doyle, P., & Ball, D. (2008). Design for play: A guide to creating successful play space. London: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and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 Singer, D. & Singer, J. (1990). The house of make-believe: Children's play and developing imagin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