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냄새냉이의 군락 형성에 따른 하부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환경식물학적 측면에서의 파악과 천연제초제로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용성 추출액 농도에 따른 수용체 식물의 발아 및 유식물 생장 등을 조사하였다. 냄새냉이 군락에 근접할수록 1번 조사구(7종, 1.76), 2번 조사구(5종, 1.34), 3번 조사구(5종, 1.25) 순으로 출현종수, 종 다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냄새냉이의 수용성 추출액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대부분 수용체 식물의 상대발아률(r=-0.731, p<0.01), 평균발아기간, 상대신장률(r=-0.571, p<0.01, r=-730, p<0.01), 상태생체량(r=-0.743, p<0.01), 뿌리털 발달 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각각 수용체 식물에 따라 약가의 정도 차를 보였다. 수용체 유식물의 생장은 부위별 억제의 정도 차를 보이는데 수용체 식물의 지상부보다 지하부가 냄새냉이의 수용성추출액에 대해 억제의 경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냄새냉이의 수용성추출액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은 $23.0{\pm}1.1mg/g$으로 분석되었다. 조사지역의 토양 내 총 페놀 함량은 1번 조사구($0.072{\pm}0.002mg/g$), 2번 조사구($0.082{\pm}0.003mg/g$), 3번 조사구($0.092{\pm}0.004mg/g$) 순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냄새냉이는 자생식물과의 경쟁함에 있어 알레로파시 효과를 나타내는 페놀 화합물 등이 수관 내 토양으로 방출하여 하부식생에 대한 발아 및 생장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천연제초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llelopathic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n Coronopus didymu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etitive dominant in plant ecosystem and possibility application in natural herbicide.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for close to patch of C. didymus was decreased gradually site #1 (7, 1.76), site #2 (5, 1.34) and site #3 (5, 1.25). It was generally decreased the relative germination ratio (r=-0.731, p<0.01), the mean germination time, the relative elongation ratio (r=-571, p<0.01, r=-0.730, p<0.01), the relative fresh weight (r=-0.743, p<0.01), development of root hairs of receptor plants by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extracts from C. didymu. But they were different from the growing regions, the kind of receptor plants and the treatment of the aqueous extracts. Especially, it was differently effected among growing regions that inhibited more radicle than shoot by the aqueous extracts concentration of C. didymus. Total phenolic compound in the aqueous extracts of C. didymus analyzed about $23.0{\pm}1.1mg/g$. Total phenolic compounds of soil in survey area was increased gradually site #1 ($0.072{\pm}0.002mg/g$), site #2 ($0.082{\pm}0.003mg/g$) and site #3 ($0.092{\pm}0.004 mg/g$). We think that the aqueous extracts of C. didymu showed allelopathic effects on other plants. Therefore, C. didymu hold the competitive dominant of plant ecosystem in Jeju Island and possibility application of natural herbic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