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radox of 'Shame[恥]', the dynamics of emotions

'부끄러움[치(恥)]'의 역설, 감성의 동역학 - 단종복위운동과 임병양란기 시조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5.12.31
  • Accepted : 2016.01.11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Ignominy are ashamed or that mind. It is noted that this article 'shame[恥]' will do for obtaining the social dynamics in some way in the literary aspect. To investigate this aspect, this article took the text produced on the basis of 'shame[恥]' to be analyzed. First, through the Sayuksin[死六臣]'s Sijo[時調], 'Shame[恥]' they have confirmed the room to go to form a sympathy by revealing without hidden. It is worth evaluating in common with these Sijo is that of justice or loyalty. But the parameters of evaluation described what people are rare. In this article, I saw the parameter to 'shame[恥]'. Second, through the Sijo created in the war of the middle age of Chosun Dynasty, I examined the aspect of 'anger' which sparked a shame[恥]. Thus shame[恥] is hard to change the world directly.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it can also be a psychological instrument was found to be sufficient. In conclusion, 'shame[恥]' is clearly greater tendency to dismiss as a private act of the heart. But, I understood that the negative region of 'shame[恥]' can be converted to positive region. At this time, The premise of 'shame[恥]' should always be oriented to justice.

'부끄러움[치(恥)]'이라는 용어는 대개 '수치(羞恥)'라는 용어와 혼용되며, 보통 부정적이며 고통 받는 정서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런 감정의 촉발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그 영역 또한 지극히 개인적인 것에서부터 국가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이 글이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양상을 지닌 '부끄러움[치(恥)]'이 문학적 측면에서 어떤 방식으로 대사회적인 역동성을 획득하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들을 살펴보기 위해 이 글에서는 우선 '부끄러움[치(恥)]'을 기저로 제작된 시조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 '부끄러움[치(恥)]'의 배경은 '사회' 혹은 '국가'와 관련한 것들로 한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선 초 '단종복위운동'과 조선 중기 '임 병 양란'으로 인해 촉발된 시조들이 주요 분석 대상이었다. 전자의 경우, 사육신이 남긴 시조를 통해 그들이 가진 '부끄러움[치(恥)]'이 숨겨지지 않고 드러남으로써 공감을 형성해 갈 수 있는 여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개 '사육신 시조'들을 두고 공통적으로 내세우는 가치가 바로 절의 혹은 충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들을 촉발하는 매개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 글에서는 그 매개를 '부끄러움[치(恥)]'으로 보았다. 후자의 경우엔 '사무친 치(恥)'와 그로 인해 촉발하는 '분(憤)'의 양상을 임 병 양란기를 거치면서 제작된 시조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치욕 혹은 모욕이 직접 세상을 바꾸는 것은 힘들지만 그럴 수 있는 심적 계기가 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홍익한의 시조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부끄러움[치(恥)]'은 명백히 사적인 마음 행위로 치부되는 경향이 크긴하지만, 그것은 결국 대사회적이며, 대국가적인 것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마음상태이자 행위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끄러움[치(恥)]'의 부정적 영역이 긍정적 영역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부끄러움[치(恥)]'의 전제는 언제나 정의로운 것으로의 지향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때의 '부끄러움[치(恥)]'은 드러내야 의미 있는 행위가 된다. '드러난 치(恥)'야말로 집단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감이 어떤 장(場), 이른바 '공감장(共感場)'으로 형성될 때 그 사회적 효용성을 다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요한, 수치심 문화와 죄의식 문화, 범한철학 제64집, 범한철학회, 2012, 308쪽.
  2. 박노준, 사육신 시조의 절의, 세종학연구 제4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9, 5쪽.
  3. 박을수 편저, 한국시조대사전, 아세아문화사, 1992.
  4. 이광세, 동양과 서양 두 지평선의 융합, 도서출판 길, 1998.
  5. 임형택, 황매천의 시인의식과 시, 창작과 비평 19호, 창작과 비평사, 1970, 792쪽.
  6. 전재강, 고시조에서의 정치의식 표출의 양상, 시조학논총 27집, 한국시조학회, 2007, 59쪽.
  7. 조태성, 감성 발현체로서의 시조의 역동성, 시조학논총 42집, 한국시조학회, 2015, 105쪽.
  8. 조태성, 텍스트를 통해 본 발분 메커니즘, 인간․환경․미래 제10호,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소, 2013, 82쪽.
  9. 조태성, 의와 인의 감성적 경계, 절명시의 비극적 숭고미, 한국고시가문화연구 32집,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3, 255-256쪽.
  10. 최준식,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사계절, 1998.
  11. J.M. 바바렛 지음, 박형신․정수남 옮김, 감성의 거시사회학, 일신사, 2007.
  12. James W. Kalat 외, 민경환 외 옮김, 정서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