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ce of Pungryu(風流) in Lee, Jeong-bo's Sijo(時調)

이정보(李鼎輔) 시조(時調)의 풍류지리(風流地理)

  • 김주석 (강원대학교 삼척국제어학원)
  • Received : 2015.12.31
  • Accepted : 2016.01.19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object of determining place of Lee, Jeong-bo (李鼎輔)'s Pungryu(風流) & its meaning. Place of Lee, Jeong-bo's Pungryu(風流) is Hodong(壺洞) & Haktan(鶴灘). Hodong(壺洞) is located toward east at Jongmyo(宗廟). That place was Hwanggyo(黃橋) & Yeonji(蓮池). At that time, Haktan(鶴灘) was in Eonju-myeon(彦州面) of Gwangju-bu(廣州府). That place is Hangnyeoul flowing together Tancheon(炭川) & Yangjaecheon(良才川). Jeojado(楮子島) & Mudongdo(舞童島) was neighborhood. Lee, Jeong-bo's Pungryu-life(風流生活) was already beginning since serve in a government. Therefore HaktanPungryu(鶴灘風流) is also beginning a long time ago.

이 논문은 이정보(李鼎輔)의 풍류지(風流地)와 그 의미(意味)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정보의 풍류지는 '호동(壺洞)'과 '학탄(鶴灘)'이었다. '호동'은 그의 관인생활(官人生活)의 근거지로 종묘(宗廟) 동쪽의 황교(黃橋)와 연지(蓮池)가 있는 마을이었다. '학탄'은 그의 귀거래(歸去來) 근거지로 주변에 저자도(楮子島)와 무동도(舞童島)가 있던 곳으로 탄천(炭川)과 양재천(良才川)이 한강(漢江)에서 만나는 학여울이었다. 주목되는 의미는 이정보의 풍류생활(風流生活)이 비록 치사(致仕) 후에 본격화되었다고는 해도 이미 관직에 봉직할 때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학탄풍류(鶴灘風流) 역시 그 시원(始原)이 오래된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廣輿圖(규장각 古4790-58)
  2. 大東輿地圖(규장각 奎10333-v.1-22, 奎12380-v.1-22)
  3. 大東方輿全圖(규장각 奎10341-v.1-21)
  4. 大東地志(규장각 古4790-37-1-15)
  5. 東輿圖(규장각 奎10340-v.1-23)
  6. 輿地圖(규장각 古4709-68)
  7. 地乘(규장각 奎15423)
  8. 海東地圖(규장각 古大4709-41)
  9. 비변사등록
  10. 승정원일기
  11. 조선왕조실록
  12. 해동가요(주씨본)
  13. 權 萬, 江左集
  14. 金相定, 石堂遺稿
  15. 金祖淳, 楓皐集
  16. 金鍾秀, 夢梧集
  17. 金昌翕, 三淵集
  18. 南有容, 雷淵集
  19. 兪拓基, 知守齋集
  20. 申光洙, 石北集
  21. 沈守慶, 遣閑雜錄
  22. 吳 瑗, 月谷集
  23. 李天輔, 晉菴集
  24. 丁若鏞, 茶山詩文集
  25. 趙秀三, 秋齋集
  26. 신경숙, 조선후기 시가사와 가곡 연행,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27. 안대회,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한겨레출판, 2010.
  28. 이상원, 이정보 시조 해석의 시각, 한국시가연구 12, 한국시가학회, 2002.
  29. 이우성․임형택, 이조한문단편집 (중), 일조각, 1978.
  30. 이종묵, 조선후기 저자도의 문화사, 국문학연구 30, 국문학회, 2014.
  31. 진동혁, 영조대 시조작가 이정보 연구-그의 생애와 작품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14․15, 안암어문학회,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