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OBUN, Understanding the Double Burial Custom in Korea from a Jungian Perspective : Focusing on Putrefaction and Reduction to Bones

초분, 한국 이중장제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 부패와 뼈로의 환원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10.15
  • Accepted : 2016.11.23
  • Published : 2016.12.25

Abstract

Chobun refers to a temporary grave covered with straw thatch that contains a corpse until its flesh is gone. When all the flesh has rotted away, the straw grave is disassembled and only the bones are retrieved. Therefore, Chobun is an example of a secondary burial custom (German : Doppel Bestattung) that is composed of a first temporary funeral for processing the corpse's flesh, and a second permanent burial of the final remains (bones or ashes). The duration of the temporary burial is determined by the time needed for decomposing the flesh of the deceased. Building a Chobun progresses putrefaction and reduction to bone. In the literature of alchemy, putrefaction and new life occur simultaneously. The purpose of rotting is to make the flesh disappear, leaving only its essence. It is making the physical body enter a spiritual state, so that the dead can enter into a different world. One must endure the unstable rotting process until the smell of flesh has faded. The rotting process is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terrible, polluted aspect of the corpse, while maintaining a helpless, passive posture, in order to allow new possibilities. When we try to approach an archetypal aspect of the unconscious, it is often experienced in threatening, aggressive ways. In the individuation process, the unconscious offers us the blessing of a new spiritual awakening and renewed sense of life, only when we have the courage to see this terrifying and contaminated side of our psyche. This is exactly what putrefaction means. Bone and skeleton symbolize the indestructible, imperishable, and essential elements of life. Bone is the minimum unit and foundation for regeneration, where new life can grow. Reduction to bone is moving back to the origin of life, to the womb. Psychologically, it means discarding one's ego-centeredness and allowing the Self to lead the entire process of individuation. Going through the painful process of reduction to a skeleton for the purpose of further development is a declaration of the death of the ego, aiming at the liberation from perishable flesh and acquisition of the spiritual, regenerative, and immortal elements of life. Chobun also denotes the yearly decay and revival of life, especially of vegetal life. In Chobun, this symbolic meaning of the vegetal cycle of life is emphasized to represent the part of life that survives even after death. Vegetation related to Chobun deals with the continuity of life and psychologically with the Self. Images of vegeta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life beyond death, which is the existence of the Self, the source of energy that constantly renews and rejuvenates the consciousness.

초분은 살이 다 썩어 없어질 때까지 관에 넣은 시신을 짚으로 싸두는 초가 형태의 임시 무덤을 말한다. 모든 살이 다 없어지고 나면, 초분은 해체되고, 뼈만 추려 다시 묻는다. 이러한 방식의 초분은 따라서 처음 시신의 살을 처리하기 위한 임시 매장과 이후 남은 부분(뼈나 재)을 영구히 매장 하는 이중장제에 속한다. 초분은 사람이 잘 가지 않고, 집에서도 떨어져 있지만, 유족이 가서 돌볼 수 있는 곳을 택해 만들어지는데, 심리학적으로 이것은 지속적인 관심을 쏟을 수 있으면서도 고요히 격리될 수 있는 곳, 다시 말해 심리적인 재생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초분을 두는 기간, 일차장의 기간을 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뼈만 남길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하여 초분을 해체하였을 때 완전한 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여기서 초분이 부패와 뼈로의 환원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패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연금술 문헌에서 보듯 동시에 일어난다. 부패의 최종 목적은 육신을 영적 상태로 만들고, 그리하여 죽은 자를 다른 삶으로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주 불안정한 상태에서, 부패를 견뎌내고, 썩는 냄새가 모두 사라지는 것을 기다려야 한다. 썩히는 것은 그리하여 육화된 세계, 몸을 용해시켜 없애고, 그 핵심, 열매만을 남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패의 과정은 자기 스스로의 오염되고 끔찍한 측면을 받아들이는 태도이며, 무력하고 수동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새로운 생명이 오게하는 것이다. 원형적인 세계, 무의식은 우리가 접근하려 할 때, 종종 위협적이고 공격적인, 더러운 무엇으로 경험된다. 개성화 과정에서, 우리가 우리 정신의 이 끔찍하고 오염된 부분들을 볼 수 있는 용기를 낼 때만이, 무의식은 우리에게 새로운 영적 각성과 새로운 삶의 감각이라는 축복을 주는데, 이것이 부패가 의미하는 것이다. 뼈와 골격은 생명의 부술 수 없는, 소멸되지 않는 본질적인 요소를 상징한다. 뼈는 재생을 위한 최소 단위이자, 재생의 바탕이 되며, 여기서 새로운 생명이 자라나게 된다. 뼈의 상태로 환원은 생명의 바로 그 원천으로 돌아감을, 자궁으로 다시 들어가 심리적으로 자신의 자아중심성을 버리고, 자기가 개성화의 전 과정을 이끌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앞으로의 발달을 위해, 골격 상태로의 환원의 어려운 과정을 겪는 것은, 자아의 죽음의 선언이며, 그 목적은 자신을 썩기 쉽고 덧없는 살과 피, 육신에서 해방시키고, 전체로서의 영적인 갱신, 생명의 불멸의 요소를 얻기 위함이다. 초분은 또한 식물의 순환에서 해마다 보이는 부패와 생명의 부활을 보여준다. 초분에서는 이러한 식물의 순환의 상징이 다른 일반적인 한국 전통 상장례에서보다 명확하고 강하게 드러나는데, 죽음에도 살아남는 생명의 부분을 식물의 상징을 통해 경험하게 한다. 초분과 관련된 식물은 죽음 후의 생명의 지속성, 심리적으로 말해, 자기의 존재를 말한다. 초분에서 드러나는 풍부한 식물의 이미지들은, 모든 것이 사라진 죽음의 상태 너머에 존재하는 생명의 존재와 관련되어 있으며, 심리학적으로 우리의 삶에 정신에 끝없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영원히 존재하며 의식을 다시 태어나게 하고 새롭게 하는 자기의 존재를 이야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리모또 요시끼(1995) : "장산도의 초분", ≪남도민속연구≫, p3.
  2. 구리모또 요시끼(1998) : "한일 이중장제에 관한 비교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박종영(1995) : "청산도의 마지막 초분", ≪샘이깊은물≫, 서울.
  4. 박종오(2005) : "송이도의 초분 고찰-"앉은 초분"의 형태와 그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p41.
  5. 대한성서공회(2007) :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대한성서공회, 서울.
  6. 이광규(1969) : "초도의 초분 : 초도장제에 관한 고찰", ≪민족문화연구≫, p3.
  7. 이두현(1974) : "장제와 관련된 무속연구-특히 초분과 씻김굿에 대하여", ≪한국문화인류학≫, p6.
  8. 이부영(1969) : "입무과정의 몇가지 특징에 대한 분석 심리학적 고찰", ≪한국문화인류학≫, p2.
  9. 일연, 김원중 역(2007) : "관동풍악의 발연수 비석의 기록", ≪삼국유사≫, 민음사, 서울.
  10. 장보웅(1982) : "청산도의 민가와 민속", ≪한국의 민가연구≫, 보진재, 서울.
  11. 정종수(1990) : "우리나라 장제", ≪영원한 만남-한국상장례≫ 국립민속박물관, 미진사, 서울.
  12. 정종수(2003) : ≪한국의 초분≫, 국립민속박물관, 삼광문화사, 서울.
  13. 주강현(2002) : ≪왼손과 오른손-좌우 상징, 억압과 금기의 문화사≫, 시공사, 서울.
  14. 최래옥(1995) : ≪한국 민간 속신어 사전≫, 집문당, 서울.
  15. Abt T(2005) : Introduction to Picture Interpretation, Living Human Heritage Publication, Zurich, Switzerland.
  16. the Archive for Research in Archetypal Symbolism(ARAS)(2010) : The Book of Symbols, ed. Ami Ronnberg, Taschen, Koln.
  17. Wolkstein D, Krammer SM(1983) : Inanna : Queen of Heaven and Earth, Harper and Row, New York, NY.
  18. Eliade M, 이윤기 역(1992) : ≪샤머니즘≫, 도서출판 까치, 서울.
  19. Eliade M, trans. Trask WR(2004) : Shamanism : Archaic Techniques of Ecstas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and Oxford.
  20. Eliade M, trans. Task WR(1994) : Rites and Symbols of Initiation ; The Mysteries of Birth and Rebirth, Spring Publications, Putnam, CT.
  21.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Frazer JG, 박규태 역(2005) : ≪황금가지 제1권≫ 을유문화사, 서울.
  23. Frazer JG(2009) : The Golden Bough : a Study in Magic and Religion, A New Abridgement from the Second and Thi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4. Faulkner RO, ed. Andrews C(1985) : The Ancient Egyptian Book of the Dead, revised ed., University of Texas Press/British Museum Press, Austin, TX.
  25. Hertz R, trans. Needham R, C(1960, reprinted in 2004) : Death and the Right Hand, Routledge University Ed. Anthropology and Ethnography, Oxford, UK.
  26. Jung CG(한국융연구원 C.G.융 저작번역위원회 옮김)(2004) : 융 기본 저작집 3, ≪인격과 전이≫, 솔출판사, 서울.
  27. Jung CG(한국융연구원 C.G.융 저작번역위원회 옮김)(2007) : "미사에서의 변환의 상징", 융기본저작집 4,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솔출판사, 서울.
  28. Jung CG(1940/1950) : C.W.9i,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29. Jung CG(1942/1954) : C.W.11, Psychology and Religion : West and Ea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30. Jung CG(1946) : C.W.16, The Psychology of Transfer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31. Jung CG(1954) : C.W.18, The Symbolic Lif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32. Kinsley D(1997) : Tantric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 the Ten Mahavidy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ley and Los Angeles, CA.
  33. Meier CA(1989) : Healing Dream and Ritual, 3rd ed., Daimon Verlag, Einseideln, Switzerland.
  34. Schweizer A(2010) : The Sungod's Journey through the Nether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Y.
  35. Turner V(1969) : The Ritual Process : Structure and Anti-Structure, AldineTransaction, New Brunswick, NJ.
  36. Van Gennep A, trans. Vizedom MB and Caffee GL(1960, originally published in 1909) : The Rites of Passa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37. Von Franz ML(1981) : Alchemy, Inner City Book, Toronto, Canada.
  38. Von Franz ML, trans. Kennedy EX and Books V(1986) : On Dreams and Death, Shambhala, Boston and London.
  39. Von Franz ML(1996) : The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revised ed., Shambhala, Boston, MA.
  40. 村山 智順(무라야마 지쥰) 저, 정현우 역(1991) : ≪한국의 풍수≫, 명문당,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