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 및 만족도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Validity and Satisfaction for Objective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SMB) Administration Subsidy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HRDP) and the Customized Employment Program(CEP) in Specialized High Schools

  • 투고 : 2016.01.31
  • 심사 : 2016.03.12
  • 발행 : 2016.03.31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에 대한 타당도와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과 취업맞춤반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107개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참여 학교(공업 농업 계열)의 담당 교원 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본 사업의 목적을 특성화고의 취업 확대와 중소기업의 인력 제공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본 사업이 학교 성과 향상에 중요하며 실제로도 성과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중소기업에 대한 학생의 이해 증진,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 학생의 직업관 함양, 취업 과정을 기반으로 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체계화, 산학협력 교육 강화, 학생의 기술수준 향상, 현장견학보다 현장체험 및 실습 위주의 현장학습 실시, 협약기업에 대한 맞춤형 기능인력 양성,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 중소기업 취업률 제고,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 학교와 중소기업 간 취업 연계 기반 마련, 자기 조직(학교)의 외부에 대한 홍보, 산학협력 기회 확대, 산업 업종별 협회 및 단체와 학교 간 협력 체계 구축, 공동 교육 채용을 위한 취업 연계 모델 도입 및 운영, 교원의 현장 전문성 강화가 본 사업의 성과 목표로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 교육 강화, 중소기업 취업률 제고를 제외한 나머지 성과 목표의 달성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타당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셋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담당 교원은 학생의 취업 기회 확대, 양질의 취업처 발굴, 산학협력 기회 확대, 현장 중심 교육 실시, 학생의 전공 기초 및 심화 기술 향상, 학생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문해 수리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학생의 업무 태도 향상, 학생의 바람직한 진로 탐색 결정이 취업맞춤반의 성과 목표로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성과 목표의 달성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타당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for total 166 teachers of schools so as to analyze validity and satisfaction for performance objectives of SMB administration subsidy the HRDP and the CEP in Specialized High School.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 that purpose of HRDP is to expand employ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and provide human resource of SMB. And, they recognize that HRDP is important to improve school outcomes and make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chool outcomes. Second, teachers recognize that objectives of HRDP are improvement of student's understanding for SMB, improvement of teacher's understanding for SMB, improvement of SMB's understanding of school, cultivation of student's occupational view, systematization of career guiding program based on employment process, strengthening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education, improvement of the level of student's skill, fulfillment of workplace experience and practice focusing workplace learning, training of customized human resource for SMB, improvement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workplace,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 for SMB, expansion of job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SMB, preparation of the base of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SMB, publicity of school,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cooperate between SMB and school,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among industrial association and school,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employment connective model for joint education and employment, strengthening of fiel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However, satisfaction for the achievement of objectives of HRDP except for strengthening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 for SMB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validity. Third, teachers in charge of human resource training business of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y's specialized high school recognize that objectives of CEP are expansion of job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SMB, excavation of good-quality SMB,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cooperate between SMB and school, fulfillment of workplace learning, improvement of student's major foundation and in-depth skill, improvement of literacy, math, teamwork and communication abilities for students' job performance, improvement of student's working attitude and student's proper career exploration decision. However, satisfaction for achievement of objectives of CEP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validity.

키워드

참고문헌

  1. 이병욱, 류병구(2008). 기업.공고 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참여 공고 및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 33(2), 72-96.
  2. 이병욱, 안재영(2014). 고졸 취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중등 직업교육기관의 운영 개선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7(2), 55-79.
  3. 중소기업중앙회(2013). 2013 중소기업 인력 실태조사 분석 결과.
  4. 중소기업청 경영판로국 인력개발과(2014).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14년도 업무 추진계획. http://www.smba.go.kr/kr/policy/support/supportFileList.do?mc=usr0001046&brd_id=A02000&seq=309에서 인출.
  5.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2014). '14년도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세부운영지침.
  6.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운영요령(2013). 중소기업청 고시 제2013-8호. http://www.smba.go.kr/kr/policy/support/supportFileList.do?mc=usr0001046&brd_id=A02000&seq=309에서 인출
  7. 한국산업기술대학교(2014). 2013년도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자문결과 보고서.
  8. OECD(2010). Learning for jobs. Paris: OECD.
  9. 중소기업청 홈페이지 http://www.smb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