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Visual Style of Animation Documentary Genre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의 시각적 스타일에 관한 연구

  • 정혜경 (나사렛대학교 캐릭터디자인학과) ;
  • 김혜경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디지털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6.02.01
  • Accepted : 2016.03.03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Animation documentary is a hybrid genre that is newly highlighted with opposite properties. The actual world is reproduced with an unrealistic method in documentary aspect, but the objectivity of documentaries cannot be guaranteed as the boundary of actual pictures and digital images has become ambiguous. As the animation documentary by Ari Folman succeeded in 2008,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how can fictional animations prove the authenticity of documentaries?' in which the study is mainly conducted in documentary aspect. For this, the researcher considers visual style research has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a new video genre, and assert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reproduction image that is produ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which is produced in frame units. This paper has contents on the visual style of animation documentaries with pictorial reproduction methods in which animation images were classified into 3 styl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animation documentary style. Visual styles are classified into actual image that is based on similarity with reality to deliver objective facts, image that is transformed through emphasis and omission which are factors of animations, and surrealistic image that reproduces non-visual regions such as illusions and the inner side of characters. Through this study that analyzes visual style types and characteristics, animation documentaries are expected to position as a hybrid genre that illustrates reality with a new method instead of being included in the existing reproduction method of documentaries.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는 상반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 장르의 혼합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하이브리드 장르이다. 다큐멘터리 관점에서는 실재 세계를 비현실적인 방법으로 재현하는 것에 의구심을 가지게 되지만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실제 사진과 디지털 이미지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다큐멘터리 역시 완벽하게 객관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되었다. 2008년 아리 폴만(Ari Folman)의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바시르와 왈츠를>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장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재 연구의 초점은 '허구적 애니메이션이 어떻게 다큐멘터리의 실재성을 증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으로 대부분 다큐멘터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가 실사 다큐멘터리와의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대상의 이미지를 현실 세계에 지표를 두지 않고 애니메이션의 추상적 이미지를 통해 현실 너머의 인간의 심리와 무의식의 비가시적인 영역까지 재현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회화적 재현 방식을 취하고 있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의 시각적 스타일에 대한 심의 있는 분석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사례작품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표현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 사실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상과의 유사성을 추구하는 사실적 이미지, 애니메이션의 표현 요소인 과장과 생략으로 통한 변형된 이미지 그리고 인물의 내면과 환상 등의 비가시적인 영역을 재현한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로 시각적 스타일을 구분하였다. 시각적 스타일 유형과 특성을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가 단지 다큐멘터리의 기존의 재현 양식으로 편입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방식으로 현실을 이야기하는 하이브리드 장르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빌 니콜스, 이선화 역, 다큐멘터리 입문, 한울출판사, 2011, pp.55-86, 167-230.
  2. 폴 워드, 조혜영 역, 다큐멘터리 리얼리티의 가장자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pp. 152-184.
  3. 폴 웰스, 환창환 역, 애니마톨로지, 한울출판사, 1998, pp.123-134.
  4.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5, pp.59-64.
  5. 오원환, 다큐멘터리 스타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pp.5-20.
  6. 차민철, 다큐멘터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pp.62-70.
  7. 김진영, "애니메이션 화면 전환 수단으로서의 조형 요소 변화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14호(2008), pp. 83-99.
  8. 문원립,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대한 고찰", 한국영화학회, 57권 (2013), pp. 61-80.
  9. 이세정.정혜경, "메타모포시스, 애니메이션에서 관찰되는 형태변화와 장면전환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지, 8권4호(2007), pp. 563-571.
  10. 엄정식, "현대사회와 애니메이션: 철학적 성찰", 철학논총, 40권 (2005), 205-226
  11. 이윤정,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표현 연구", 조형미디어, 13권1호(2010), pp. 143-144.
  12. 이현석,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 장르의 즉성에 대한 탐구", 한국영상학회논문집, 9권3호(2011), pp. 53-68.
  13. 이현석(2012),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에서 재현된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상학회논문집, 10권1호(2012), pp. 103-122.
  14. 안세웅, "애니메이션 영화의 현상학적 지각에 의한 실재성" 홍익대학교 영상학 박사학위논문, (2008), pp. 23-25.
  15. 형대조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되는가", 한국영화학회,58권(2013), pp. 483-513.
  16. Wells, Paul, "The beautiful village and the true village: A consideration of aniamtion the documentary aesthetic", Art and Design, Vol.12 No.53, (1997), pp. 40-45
  17. Roe, Annabelle. Honess, Animated Documentary, Palgrave Macmillan, 2013, pp. 22-23, 형대조,(2013), 재인용
  18. Roe, Annabelle. Honess,Absence, "Execess and Epistemology Expansion", Animation: An Interdisciplinary, Vol.6 No.3, (2011), pp. 1-16, 이현석(2011) 재인용.
  19. 김도훈, "아리 폴만 인터뷰", 씨네 21, 2008. 11.21,
  20. 한윤정.이연,"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대한 조명", 애니메이툰, 98호(2012), pp.18-19
  21. 세계미술용어사전, 초현실주의 선언 [超現實主義宣言, Manifeste du Surrealisme], 월간미술,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