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lan for a Prompt Disaster Response System Using a 3D Disast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High-Capacity Geographic and Disaster Information

고용량 지리정보 및 재난 정보 기반 3차원 재난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신속한 재난 대응 체계 방안 제시

  • GANG, Su-Myung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U&GIT Co., Ltd.) ;
  • KIM, Do-Ryeong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C&I Co., Ltd.) ;
  • CHOUNG, Yun-Jae (Institut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GEOC&I Co., Ltd.) ;
  • PARK, Ju-Sung (Dept. of Aeronautical-Satellite Geoinformat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in-Man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 JO, Myung-Hee (Dept. of Aeronautical-Satellite Geoinformat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강수명 ((주)유앤지아이티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김도령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정윤재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 박주성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
  • 김진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 ;
  • 조명희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6.02.24
  • Accepted : 2016.03.27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o minimize the damage from disasters, various aspects of prevention, preparation, and response, etc. are being managed. Even though prevention and preparation are well conducted, irresistible calamities such as natural disasters may cause unexpected damage. Therefore, a system that can share the identical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prompt disaster management and prediction must be developed and constructed for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Especially, for a prompt disaster response, the same information needs to be shared between the related organization and the disaster prevention personnel such as on-site officials. Recent disaster management systems use high-capacity geographic information or other various factors for accurate disaster predictions. In case of using a recently constructed or researched 3D GIS, the system may not be used in some cases due to conflicts with hardware, etc. Thus, even though response information is secured using prediction simulation in advance, it is essentially difficult in some cases to share the common information when the system cannot be utilized or the extens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cannot be rea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system for dealing with disasters that shares the same prompt and accurate information in compliance with common data formats. The system is expected to reduce the existing disaster response time and minimize human and physical damage by assisting decision making through prompt responses.

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예방, 대비, 대응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관리 하고 있다. 예방과 대비가 잘 되어있더라도, 자연재해와 같은 불가항력의 재난에 대해서는 예상과는 다른 피해가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통합적 재난 관리를 위해서 신속한 재난 관리 및 예측을 기반으로 동일한 재난정보 공유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 개발하여야 한다. 특히, 신속한 재난 대응을 위해서는 유관기관 및 현장공무원과 같은 직접적인 방재 투입 인력 간의 동일한 정보공유가 필요하다. 최근에 활용되는 재난 관리 시스템의 경우 고용량의 지리정보를 사용하거나, 정확한 재난 예측을 위해 다양한 인자들을 활용하여 구축된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 구축 및 연구되고 있는 3D GIS를 활용할 경우 하드웨어 등의 문제로 인해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예측 시뮬레이션을 하여 대응 정보를 확보한다고 해도, 상황에 따라 시스템을 활용 불가한 경우 혹은 해당 정보의 확장자를 읽을 수 없는 환경일 경우에 본질적으로 공통된 정보를 공유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대응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를 기반으로 공유된 정보가 공통된 정보에 준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 재해 대응 시간을 앞당기고, 신속한 대응을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M.K., H.S. Kim and H.S. Kim. 2015. Study on disaster management system;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case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Falls Conference, p.99-100 (조민경, 윤홍식, 김효석. 2015. 재난관리 체계에 대한 고찰; 해외사례 비교분석.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99-100쪽).
  2. Choi, H.W., S.M. Kang, K.J. Kim, D.Y. Kim and Y.J. Choung. 2015. Development of the visualization prototype of radar rainfall data using the unity 3D engi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 131-144 (최형욱, 강수명, 김경준, 김동영, 정윤재. 2015. Unity 3D 엔진을 활용한 강우레이더 자료 시각화 프로토타입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4):131-144).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4.131
  3. Gang, S.M., S.Y. Choi and Y.W. Jo. 2014. Construction inventory management module for disaster mitigation support. Proceeding of KAGIS 2014 Fall Conference p.288-289 (강수명, 최수영, 조윤원. 2014.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인벤토리 관리 연계 모듈 설계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88-289쪽).
  4. Hyun, S.H. 2015. Problem of Kore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its efficiency. The Journal Korea Association of Safety and Security 10(1):39-56 (현석환. 2015. 한국의 재난관리 시스템의 문제점과 효율화 방안. 한국사회안전학회지 10(1):39-56).
  5. Jang, B.J., K.H. Lee, D.R. Lee and S.H. Lim. 2014. High-precision and 3D GIS matching and projection based userfriendly radar display techniqu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47(12):1145-1154 (장봉주, 이건행, 이동률, 임상훈. 2014. 3차원 GIS 정합 및 투영에 기반한 사용자 친화적 레이더 자료 표출 기법. 한국수자원학회지 47(12):1145-115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12.1145
  6. Jo, M.H. 2013. Building Mongolian ULIIMS(ulaanbaatar land informatio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 164-179 (조명희. 2013. 몽골 울란바타르시 토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164-179).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164
  7. Jo, M.H., J.M. Kim, H.S. Kim and Y.W. Jo. 2002. Developing forest fire statu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web GIS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4):93-105 (조명희, 김준범, 김현식, 조윤원. 2002. 웹 지리 정보시스템 기술을 이용한 산불 현황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4): 93-105).
  8. Jo, Y.W., H.W. Choi, S.Y. Choi and M.H. Jo. 2014. Conceptual design of damage assessment inventory in response to disaster risk for infrastructure close to riv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 :144-158 (조윤원, 최형욱, 최수영, 조명희. 2014. 수변구조물 재해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피해 평가 인벤토리 개념 설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1):144-158).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1.144
  9. Kim, J.H., S.M. Gang, J.M. Kim and M.H. Jo. 2015. The method of disaster information web-service display using 3D game engine. Proceeding of 2015 KAGIS Fall Conference p.151-152 (김준형, 강수명, 김진만, 조명희. 2015. 재난재해 정보 웹서비스를 위한 3D 게임엔진 기반 표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51-152쪽).
  10. Kim, J.H., S.M. Gang, J.M. Kim and S.H. Jang. 2015. A study on measures for constructing game engine-based 3D web GIS display system. Proceeding of 2015 Asia Conference on Remote Sensing(ACRS).
  11. Lee, J.E. and K.H. Kim. 2005. Analysis on status of NDMS and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sharing.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9(4):191-214 (이재은, 김겸훈. 2005. 재난관리 정보공유와 NDMS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정책과학회보 9(4):191-214).
  12. Yoo, H.H., U.N. Ki, S.S. Kim and D.K. Chung. 2004. 3D GSIS application for managing flood disaster.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2(1):21-29 (유환희, 김욱남, 김성삼, 정동기. 2004. 홍수재해관리를 위한 3 차원 GSIS 적용.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2(1):21-29).

Cited by

  1.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Unity 3D Engine Based on the WebGIS System for the Hydrological and Water Hazard Information Display vol.154, 2016, https://doi.org/10.1016/j.proeng.2016.07.431
  2. 강우레이더의 3차원 가시화를 위한 데이터 변환 및 표출기법 vol.20, pp.2, 2016, https://doi.org/10.9717/kmms.2017.20.2.352
  3. 재난정보 3차원 GIS 서비스를 위한 Unity 기반 시각화 플랫폼 핵심모듈 개발 및 웹 시스템 구축 vol.20, pp.3, 2017, https://doi.org/10.9717/kmms.2017.20.3.520
  4. 범용 3D 그래픽 엔진의 GIS 정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자동변환 알고리즘 개발 vol.20, pp.3, 2017, https://doi.org/10.9717/kmms.2017.20.3.581
  5.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Unity3D 기반 홍수 시뮬레이션 가시화 웹시스템 vol.20, pp.1, 2017,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1.098
  6. A Study on the Cooperative Utilization of Disaster Databases and Statistical Databases Using GIS vol.20, pp.1,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20.20.1.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