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and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by Using Space Syntax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공간구조와 공시지가 변화 분석

  • CHO, Jung-Hun (Dept. of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MOON, Tae-Heon (Dept. of Urban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조정훈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문태헌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ERI)
  • Received : 2016.01.07
  • Accepted : 2016.02.25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Land price contains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representing the social and economic features of the city. Accordingly, land price can be utilized as an indicator, which can identify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and socioeconomic variations caused by urban developmen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change in land price by the road construction. Methodologically, it adopted Space Syntax, which can interpret urban spatial structure comprehensivel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s of road networks and land price.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integration index of Space Syntax' with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was the highest, and as integration was higher,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increased. Subsequently, using regression equation, it tried to predict the land price changes of surrounding areas, according to the new road construction in case area. As shown above, the research methods or study results have the advantage of predicting the changes in land price that can attract high concern of residents in an easy way.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relevant polices and smoothing business promotion through the enhancing residents' understanding by suggesting the change in land price in advance before the execut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지가는 도시의 사회 경제적 특성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면서 도시공간이 가지는 종합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지가는 각종 도시개발사업에 의한 공간구조와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부분적으로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개설과 같은 도시의 물리적 공간변화에 따른 지가의 변화를 연구해 보았다. 방법론적으로는 도시공간구조를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도입하여 도로망 형태와 지가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으로 파악하고, 도로망 변화에 따른 지가변동을 시뮬레이션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도로망의 통합도가 공시지가와 가장 연관성이 높고, 통합도가 높을수록 공시지가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사례지역에 임의로 도로를 개설하고 통합도를 재 산정한 후, 도로개설에 의한 주변의 지가변동을 예측해 보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도입한 연구방법이나 결과는 주민들의 관심이 높은 지가 변화를 수월하게 예측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이나 도시개발사업 등과 같은 사업을 시행하기 전에 지가 변화를 미리 예측하여 주민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주민들의 이해와 참여를 확대하는 등 원활한 사업 추진과 관련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hoi, C.H. and D.B. Lee. 2005. A study on analysi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Busan : the case of land price distribution. Journal of the Real Estate of Korea 25:205-218 (최창환, 이동본. 2005. 지가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한 부산시 도시공간구조 해석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25:205-218).
  2. Choi, J.P and G.W. Lee. 2002. Interpretation of crime-prone locations through space syntax theory : burglary case studie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8(3):53-61 (최재필, 이기완. 2002.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범죄취약공간 해석에 관한 연구 - 아파트단지 주호 절도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8(3):53-61).
  3. Choi, Y.G and Y.H. Kwon. 2003. A study on the pedestrian movement in urban spa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9(1):89-96 (최윤경, 권영환. 2003. 도시 공간구조의 보행자 움직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9(1)89-96).
  4. Hillier, B. 2007. Space is the Machine : A Configurational Theory of Archite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Hillier, B. and J. Hanson.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Kim, H.Y. and C.M. Jun. 2012. Land value analysis using space syntax and GW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2):35-45 (김혜영, 전철민. 2012. 공간 구문론 및 지리적 가중회귀 기법을 이용한 지가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5(2):35-45).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2.035
  7. Lee, J.H. and H.S. Jang. 2009. A study about change of city space structure and land price change Won-ju city's works of developing building land as the destination. Real Estate Research policy 10(2):89-106 (이주희, 장희순. 2009. 도 시공간구조의 변화와 지가변동에 관한 연구: 원주시의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부동산정책 연구 10(2):89-106).
  8. Lee, S.K. and N.W. Lee. 2008. A study on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configuration in Chun- Cheon city.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4(9):241-252 (이석 권, 이낙운 2008. 춘천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지 24 (9):241-252).
  9. Lee, S.W. and S.M. Hong. 2008. Study on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using space syntax in harbor redevelopment district.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0(4):157-165 (이승환, 홍성민. 2008.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항만 재개발지역의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연합논문집 10(4):157-165).
  10. Lim, H.S. Y.W. Kim and Y.W. Ban.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figuration and land pric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8(7):133-140 (임현식, 김영욱, 반 영운. 2002. 도시공간구조와 지가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동 지역을 중심으로. 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8(7):133-140).
  11. Min, U.G. 2006. A study of a land special quality effect on posted land price - focused on Duckjin-Gu in Jeonju city.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4(1):99-113 (민웅기. 2006. 공시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특성 에 관한 연구 : 전주시 덕진구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4(1):99-113).
  12. Moon, T.H. and J.H. Cho. 2015. Road networks and crime occurrence multiagent simulation for smart safe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2): 120-134 (문태헌, 조정훈. 2015. 스마트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도로망특성과 범죄발생 멀티에이전트(Multi-Agent) 시뮬레이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2):120-134).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2.120
  13. No, J.Y., J.W. Bae and B.S. Chae. 201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urban spatial structure by analysis of land value.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8(1):45-66 (노재윤, 배진원, 채병선. 2014. 지가 분석을 통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전주시 권역별 지가의 시계열적 분석을 중심으 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8(1):45-66).
  14. Oh, C.W. 2004. A study of urban spatial structure with GIS and space syntax.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38(4):573-583 (오충원. 2004. GIS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도시 공간구조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38(4):573-583).
  15. Ratti, C. 2004. Space syntax: some inconsistencie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1(4): 487-499. https://doi.org/10.1068/b3019
  16. Yoo, K.M. and N.J. Kim. 2009.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using space syntax.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3(6):75-92 (유광민, 김남조. 2009. Space Syntax를 이용한 관광자원 개발전략. 관광학연구 33(6):75-92).
  17. Yoon, J.M. 2012.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integrated model of space syntax and GIS - a case study of the Hapdeok area in Dangjin city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3-22 (윤정미. 2012. 공간 구문론과 GIS 통합 모델을 이용한 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 당진시 합덕읍 일원을 대 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13-2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