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호감, 정영미 (2015). 학교 규모별 초등단위 영재학급 교육대상자 선발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 26(2), 157-175.
- 고광병 (1997). 빛 개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수업 전.후의 개념 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 구자홍 (2000). 고등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과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권성기, 김지은 (2007). 초등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물리 오개념 비교. 초등과학교육, 25(5), 476-484.
- 권오남, 박경미, 임형, 허라금 (1996). 공간능력에서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35(2), 125-141.
- 권재술, 정진우, 김범기, 최병순, 김한호 (1992). 빛에 대한 국민학교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43-53.
- 김동일, 이일화 (2010). 읽기 저성취 초등학생의 언어 지식과 독해력과의 관계. 학습장애연구, 7(1), 27-45.
-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 (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5(2), 315-325.
- 김상달, 이용섭, 이상균.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6(6), 461-468.
- 김종원 (2013). 빛의 직진 개념에 대한 Peer instruction 중심의 과학교사 연수 자료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박매옥, 강호감, 최선영(2009). 공간능력에 따른 초등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상관관계. 과학교육논총, 22(1), 95-108.
- 박소영, 이진희 (2007). 복합판별 과정에 의한 초등학교에서의 미성취 영재 판별. 영재교육연구, 17(2), 251-279.
- 신정화 (2002). 읽기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지능 및 해부호화 능력과 독해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안도희, 김옥분 (2007). 학문적 미성취 중학생들의 학업관련 특성: 학업성적, 학업관련 태도,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1(3), 723-745.
- 윤초희, 박희찬 (2013). 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영재학생 판별기준과 추천요인 분석. 영재교육연구, 23(5), 771-791. https://doi.org/10.9722/JGTE.2013.23.5.771
- 이경훈, 임종옥 (2010).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한국지구과학회지, 31(3), 267-275. https://doi.org/10.5467/JKESS.2010.31.3.267
- 이명자, 문병상 (2007). 미성취 영재의 특성과 교육적 지도 방안. 중등교육연구, 55(1), 159-179.
- 이정은 (2015). 학생, 예비교사, 교사의 광원에 따른 빛의 진행에 대한 개념 유형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이지원, 김종원, 김규환, 황명수, 김중복 (2013). 동료 교수법 기반의 과학교사 연수를 위한 단계형 개념검사문항 개발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29-248.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229
- 이지원, 윤하영, 김중복 (2014). 빛과 그림자 개념 이해를 돕는 3차원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8(3), 703-717.
- 이효녕, 조현준, 박미란 (2012). 공간능력의 차이에 따른 10학년 학생들의 판 운동 관련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3(4), 360-375. https://doi.org/10.5467/JKESS.2012.33.4.360
- 전만국, 김형범, 정진우 (2013).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따른 태양의 고도에 관한 개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28-39.
- 정미경, 윤소윤 (2012). 영재와 공간능력간의 탐색적 고찰: STEM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18(3), 135-155.
- 정수정, 최나야 (2013).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태도가 교과 성적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2(4), 257-275.
- 조선미, 한기순 (2014). 비인지적 영역 영재교육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연구, 24(1), 45-61.
- 천경록 (2006). 독서 능력 표준화 검사 도구의 연구 개발. 독서연구, 15, 407-436.
- 최선일, 진석언 (2015).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연구, 25(4), 649-667. https://doi.org/10.9722/JGTE.2015.25.4.649
- 한기순, 신정아 (2007).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성향의 차이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27-50.
- Andersen, L. (2014). Visual-Spatial ability: Important in STEM, ignored in gifted education. Roeper Review, 36(2), 114-121. https://doi.org/10.1080/02783193.2014.884198
- Galili, I., & Hazan, A. (2000). Learners' knowledge in optics: Interpretation, structure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 57-88. https://doi.org/10.1080/095006900290000
- Gohm, C. L., Humphreys, L. G., & Yao, G. (1998). Underachievement among spatially gifted student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5(3), 515-531. https://doi.org/10.3102/00028312035003515
- Kozhevnikov, M., Motes, M. A., & Hegarty, M. (2007). Spatial visualization in physics problem solving. Cognitive Science, 31(4), 549-579. https://doi.org/10.1080/15326900701399897
- Kozhevnikov, M., & Thornton, R. (2006). Real-time data display,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learning force and motion concep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5(1), 111-132. https://doi.org/10.1007/s10956-006-0361-0
- Lohman, D. F., Lakin, J. M., Sternberg, R., & Kaufman, S. (2009). Reasoning and intelligence. Handbook of Intelligence, 419-441.
- Lord, T., & Nicely, G. (1997). Does spatial aptitude influence science-math subject preferences of children?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9(2), 67-81. https://doi.org/10.1007/BF03173777
- Lubinski, D. (2010). Spatial ability and STEM: A sleeping giant for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4), 344-351. https://doi.org/10.1016/j.paid.2010.03.022
- Mann. R. L. (2005). Gifted students with spatial strengths and sequential weaknesses: An overlooked and underidentified population. Roeper Review, 27(2), 91-96. https://doi.org/10.1080/02783190509554296
- Miller, D. I., & Halpern, D. F. (2013). Can spatial training improve long-term outcomes for gifted STEM undergraduate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 141-152. https://doi.org/10.1016/j.lindif.2012.03.012
- Reis, S. M., & McCoach, D. B. (2000).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Gifted Child Quarterly, 44(3), 152-170. https://doi.org/10.1177/001698620004400302
- Shepard, R. (1996). The science of imagery and the imagery of scienc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l Psychological Society, San Francisco.
- Silverman, L. K. (2002). Upside-down brilliance: The visual-spatial learner DeLeon Pub.
- Wai, J., Lubinski, D., & Benbow, C. P. (2009). Spatial ability for STEM domains: Aligning over 50 years of cumulative psychological knowledge solidifies its import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4), 817. https://doi.org/10.1037/a0016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