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Espionage, Self-Contro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산업기술유출과 자기통제력, 조직애착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황현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 이창무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 Received : 2016.05.10
  • Accepted : 2016.06.20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In a recent period, it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to keep the cutting-edge industrial technology secured. This is because competitive technology appears to be a cornerstone of national power. Although the industrial espionage must be an illegal behavior or a kind of white-collar crime, there has been few researches on industrial espionage from a crimin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espionage, self-contro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ypothesis 1 that the high self-control reduces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espionage was accepted, and the hypothesis 2 that the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reduces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espionage was also accepted. This results showed that self-contro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the key factors to prevent industrial espionage, which eventually reinforces industrial security. This study used a convenient sampling, which might be the limits of this study. By using a convenient sampling, the result of the study could not depend on representative sample. Nonetheless, this study was trying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espionage, self-contro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as not research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find out the criminological causes of industrial espionage and eventually to prevent it.

현대 경제전쟁 시대에서 산업기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산업기술유출은 해당 기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동시에 자칫 해외로 유출될 경우 국가경쟁력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산업기술유출은 일단 유출되면 피해복구와 회수가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예방차원의 노력과 접근이 요구된다. 하지만 산업기술유출사범의 대부분이 전 현직 직원이라는 점에서 예방은 물론 적발 또한 쉽지 않은 형편이다. 또한 산업기술유출이 명백히 범죄행위이며 화이트칼라 범죄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기술유출을 자기통제이론과 같은 범죄학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유출을 저지르는 사람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아래 내부 직원에 의한 기술유출의 범죄학적 요인을 분석하여 산업기술보호의 범죄학적 해결방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자기통제력 및 조직애착도와 산업기술유출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내부 직원의 자기통제력과 조직애착도가 높을수록 산업기술유출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화이트칼라 범죄인 산업기술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내부 직원의 자기통제력과 조직애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던, 자기통제력 및 조직애착도와 산업기술유출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서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기광도. (2013). 자기통제력, '사회적 결과', 그리고 청소년 비행간의 관계분석. 한국경찰연구, 12(3): 3-26.
  2. 김상원. (2012). 화이트칼라범죄의 원인과 유형 및 대책. 법정리뷰, 29(1): 21-33.
  3. 노성호 . 박현수. (2014). 자기통제력의 차원성 검증 및 비행에 대한 하위차원간의 상호작용 효과의 검증. 한국범죄학, 8(3): 67-99.
  4. 노성호 . 김소라. (2015). 자기통제력과 범죄기회를 통한 사이버불링의 분석. 한국범죄학, 9(3): 3-35.
  5. 민수홍. (2006).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비행과 범죄에 미치는 영향: 패널자료를 이용한 인과성 및 일반성 검증. 청소년학연구, 13(6): 27-47.
  6. 신현구 . 이주락(2014). 조직공정성이 산업보안담당자의 보안정책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조직애착과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9: 241-268.
  7. 이성식. (2010).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기회요인들의 오프라인 및 온라인 비행에의 영향 비교 : 일반이론의 검증. 형사정책연구, 81: 203-223.
  8. 이성식. (2014).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상의 범죄피해에 있어서 낮은 자기통제력과 범죄피해 기회요인들의 영향. 피해자학연구, 22(1): 141-162.
  9. 이창무. 김민지. (2013). 산업보안이론. 법문사.
  10. 이화미. (2008). 사내커뮤니케이션과 보상이 내부공중의 임파워먼트와 조직애착심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67-168.
  11. 임운식. (2014). 민간경비원의 직무착근도가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1: 123-151.
  12. 정주섭. (2013). 국가안보의식과 조직몰입, 직업만족도가 특수경비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5: 63-86.
  13. 최인섭. 최영신. (1994), 화이트칼라범죄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1-160.
  14. Beker, Howard S. (1960). "Notes on the Concept of Commit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2: 344-354.
  15. Conklin, J. E. (1977). Illegal but nor criminal: Business crime in America.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6. Geis, Gilbert A. (1992). "White-Collar Crime: What is It?" In White-Collar Crime Reconsidered, edited by Kip Schlegel & David Weisburd,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17. Gottfredson Michael R. and Travis Hirschi.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18. Meyer, J. and N. Allen.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9. Simpson, Sally S. Nicole, and Leeper Piquero. (2002). "Low Self-Control, Organizational Theory, and Corporate Crime." Law & Society Review, 36(3): 509-547. https://doi.org/10.2307/1512161
  20. Sutherland, Edwin H. (1983). White Collar Crime, The Uncut Version,.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21. Tangney June P, Baumeister Roy F., and Boone Angie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 271-322.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63.x
  22. Wangner III, John A. and Hollenbeck, J. R. (1992), Management of Organization Behavior, Prentice Ha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