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Analyses on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Confidence among Individual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y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자신감 관련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입소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전해숙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9.16
  • Accepted : 2015.11.10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mental health confidence(MHC) among individuals in psychiatric long-term care facilities(PLCF). It further examined whether the predictors and underlying mechanisms differed by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Sample consisted of 1,742 individuals residing in PLCF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PLC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MHC.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examine whether the predictors and mechanisms differed by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between those of 10 years or less (n=962) and 10 years and more (n=780).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Education, duration of mental illness, and psychiatric symptom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HC. (2) Duration of mental illness present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MHC via its effects on perceived stigma. (3) The predictors and underlying mechanisms differed by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자신감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영향요인 및 메카니즘이 입소기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정신요양시설 실태조사에 참여한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 1,742명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입소기간에 따른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평균입소기간이 10년 미만 입소 정신장애인(n=962)와 10년 이상 입소 정신장애인(n=780)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력, 유병기간, 정신과적 증상, 및 인지된 스티그마는 직 간접적으로 정신건강자신감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영향력의 효과분해 결과 유일하게 유병기간만 인지된 스티그마를 통한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3) 다중집단분석 결과는 입소기간에 따른 영향요인 및 메카니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2472
  2. 보건복지부,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사업보고서, 보건복지부, 2014.
  3. 최일섭, 강상경, 고기숙, 민소영, 정신요양시설의 장기 발전 전략 방안 연구, 한국정신요양시설협회, 2007.
  4. W. Anthony,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in the 1990'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Vol.16, pp.11-23, 1993. https://doi.org/10.1037/h0095655
  5. L. Davison and J. Strauss, "Sense of self in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Vol.65, pp.131-145, 1992. https://doi.org/10.1111/j.2044-8341.1992.tb01693.x
  6. F. Chiu and H. Tsang, "Validation of the Chinese general self-efficacy scale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in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27, No.2, pp.12-36, 2004.
  7. A. Bechdolf, J. Klosterkotter, M. Hambrecht, B. Knost, C. Kuntermann, and R. Pukrop, "Determinants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post acut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of Clinical Neuroscience, Vol.253, pp.228-235, 2003. https://doi.org/10.1007/s00406-003-0436-3
  8. S. Carpinello, E. Knight, F. Markowitz, and E. Pease,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health confidence scale,"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Vol.40, No.3, pp.236-243, 2000.
  9.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1997.
  10. 윤응성, 정정옥, 가경신 역,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자기효능감, 서울: 학지사, 1995.
  11. S. Carpinello, E, Knight, and F. Markowitz, "Development of the mental health confidence scale,"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Easter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arch 6, Hilton Head, SC, 1994.
  12. C. Cutler, The relationship of self-care agenc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o post-hospitalization adjustment of patients with a mood disorder,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1998.
  13. 강상경,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재활기관 환경에 대한 인식과 대처행동: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7권, pp.152-175, 2007.
  14. 권태연, 강상경, "미국의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정신재활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4권, pp.5-35, 2006.
  15. 강상경, 좌현숙, "지역사회정신보건 재활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사회복지연구, 제33권, pp.185-213, 2007.
  16. L. Pearlin, "The sociological study of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s, Vol.30, pp.241-256, 1989. https://doi.org/10.2307/2136956
  17. R.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18. I. Meyer, "Prejudice, Social Stress, and Mental Health in Lesbian, Gay, and Bisexual Populations,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Vol.1, pp.3-26, 2013. https://doi.org/10.1037/2329-0382.1.S.3
  19. E. Goffman,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oiled Identity,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 1963.
  20. J. Crocker, B. Major, and C. Steele, "Social Stigma," in D. T. Gilbert, S. T. Fiske, and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4th ed.), pp.504-553, New York: McGraw-Hill, 1998.
  21. B. Link, E. Struenig, M. Rahav, J. Phelan, and L. Nuttbrock, "On stigma and its consequenc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8, pp.177-190, 1997. https://doi.org/10.2307/2955424
  22. 강상경, "정신질환 스티그마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연구: 사회사업적 함의,"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2권, pp.125-148, 2006.
  23. 성기혜, "정신과 외래 환자가 지각하는 낙인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5권, 제2호, pp.127-138, 2009.
  24. 한경례, 김성완, 이무석, "정신분열병 환자의 낙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 신경정신의학, 제41권, 제6호, pp.1185-1196, 2002.
  25. 유소연, "정신질환자가 지각하는 낙인의 정도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제16권, 제2호, pp.20-31, 2004.
  26. 김문근, "직업적 역할은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편견을 감소시키는가?,"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3호, pp.299-326, 2009.
  27. 서미경, 김정남, "지각된 낙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4호, pp.179-194.
  28. D. Shern, N. Wilson, A. Coen, D. Patrick, M. Foster, and D. Bartsch, "Client outcomes II," Milbank Quarterly, Vol,72, pp.123-148, 1994. https://doi.org/10.2307/3350341
  29.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30. L. Hu and P.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Vol.6, pp.1-55, 1999.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31. 심경순, "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수립을 위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03-31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03
  32. P. Corrigan and A. Watso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tigma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World Psychiatry, Vol.1, No.1, pp.16-20.
  33. S. Kahng,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two-dimensions of self-esteem among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es,"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29, pp.209-241, 2006.
  34. 김문근,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낙인 연구모형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정책, 제47권, pp.7-42, 2015.
  35. 김성용, "정신장애인의 스티그마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2권, 제3호, pp.91-120, 2014.
  36. 권자영, "한국어판 정신건강자신감 척도 타당화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2권, 제1호, pp.225-251, 2014.
  37. 박순주, 배다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대인불안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15권, 제10호, pp.305-315, 2015.
  38. 강상경, 한국 정신보건서비스의 전개과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39. 최숙희, 남문희,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의 재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제30권, pp.77-9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