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Public Diplomacy with Social Media on Country Image and Country Brands -Focusing on Cultural Contents-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가 국가이미지와 국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5.10.19
  • Accepted : 2015.10.29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social media could have influence upon diplomatic activities and become effective means of diplomatic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channel of public diplomacy. Study subjects were 301 foreigners from 42 countries in 7 continents,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the fondness of social media-utilized public diplomacy cultural contents, country images and country brands was examined, together with its effectiveness. The results attained are as follows: First, all independent variable except interactivity and immediacy had significant influencing relationship with the fondness of public diplomacy cultural contents. Second, the fondness of public diplomacy cultural cont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country images, whereas country image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fondness of country brands and the loyalty of country brands. Based on study findings,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as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of public of diplomacy policy in the 21st century was confirmed.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 to expansion of public diplomacy research area from pre-exisiting study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future activities.

본 연구는 공공외교가 이루어지는 소통의 채널에 관심을 두고,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의 특성이 공공외교 콘텐츠 호감도와 국가 이미지, 국가 브랜드 호감도와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실증분석을 위하여 7개 대륙 42개국 외국인 301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신속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공공외교 문화 콘텐츠 호감도와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공외교 문화콘텐츠 호감도는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국가 이미지는 국가 브랜드 호감도와 국가 브랜드 로열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21세기 공공외교 정책의 효과적인 수단으로써 소셜 미디어가 가지는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공공외교를 수행하는 주체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미래 공공외교 활동에 이바지할 수 있는데 시사점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mofa.go.kr
  2. http://fletcher.tufts.edu
  3. Hans, N. Tuch,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 U.S Public Diplomacy Overseas," St. Martin's Press, 1990.
  4. Lord Carter of Coles, "Public Diplomacy Review" 2005.
  5. http://wikipedia.org
  6. D. Stuart, "http://www.onlineemag.net, Social Media Metrics, 2000.
  7. L. Safko and D. Brake, "The social media bible: tractics, tools, and strategies for business success," NY: Wiley, 2009.
  8. A. Newson, D. Houghton, and J. Patten, "Blogging and other social media: Exploiting the technology and protecting the enterprise," Surrey: Gower, 2009.
  9. FKII 조사연구팀, 소셜 미디어(SocialMedia)란 무엇인가?, 한국통신산업진흥원, 2006.
  10. 안용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이 소비자 태도와 몰입, 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1. 임현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호감도가 티켓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무용콘텐츠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2. Fishbein, Middlestadt, "Noncognitive effective on attitude formation and change: factor artifact,"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995.
  13. 박희정, 거점 제공자에 대한 호감도가 거점효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 C. P. Hall, "National Image: A conceptual assessment," Paper present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Boston, 1986.
  15. 신호창, "해외 홍보 및 광고전략 수립을 위한 미국 언론에 나타난 국가 이미지에 관한 고찰," 광고연구, 제44권, pp.95-97, 1999.
  16. 서용건, 서용구, "한류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객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28권, 제3호, pp.47-64, 2004.
  17. H. G. Schwarz, "American faces Asia: The problem of image projection," The Journal of Politics, Vol.26, No.3, 1964.
  18. Kelman, Herbert C., ed., International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Winston, 1965.
  19. I. M. Martin and S. Eroglu, "Measur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untry im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28, No.10, 1993.
  20. 이규완, "미국, 일본, 스위스, 독일, 프랑스의 국가이미지와 상품이지의 변화에 관한 연구 : 1984년과 2001 년의 비교," 한국광고학회, 제12권, 제4호, pp.155-182, 2001.
  21. 이승미, 한국의 공공외교(Public Diplomacy)연구: 공공외교 주체와 전략적 수단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2. http://www.facebook.com/aboutkorea
  23. Chaudhuri, Arjun, "Does Brand Loyalty Mediate Brand Equity Outcomes?,"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Spring, 1999.
  24. 이두희, 광고론: 통합적 광고, 박영사, 2002.
  25. 이연화, "축제 체험마케팅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명학회, 제2권, 제2호, pp.51-75, 2012.
  26. D. A. Aaker,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The Free Press Clark, 1991.
  27. J. N. Sheth and C. W. Park, "A theory of multidimensional brand loyalt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 No.1, 1974.
  28. 김동률, "공공외교, 세계의 마음을 훔치는 무기," 한국경제, 2013.4.11.
  29. 김철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SNS 특성 요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0. 홍다운,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특성이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사 및 추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1. 오미현, SNS 특성에 의한 패션제품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 및 온라인구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2. 이동훈, 이민훈, 박성민, 이준환, 확산되는 소셜미디어와 기업의 신소통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제764호, 2010.
  33. 이석원, SNS 정보의 특성요인이 영화관람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4. 이강호, "기업의 트위터 활용유형에 따른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기업경영연구, 제18권, 제1호, pp.279-297, 2011.
  35. 김유향, "소셜미디어와 인터넷공간에서의 정치적 소통,"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제19권, 제2호, pp.199-222, 2011.
  36. L I. Zijuan, 소셜미디어 특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Facebook과 Twitter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7. 허진희, 서진완, "소셜 미디어 활용에 따른 정부신뢰와 효능감의 변화:대학생층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현대사회와 행정, 제24권, 제1호, pp.267-293, 2014.
  38. 이진, 외국사례를 통해 본 한국의 문화외교정책 수행체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9. 백목윤, 김병조, 최석호, "문화컨텐츠에 대한 태도가 국가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내 일본 영화 및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여가문화학회, 제7권, 제1호, pp.53-79, 2009.
  40. 안종석, "다차원적 속성의 국가이미지가 제품평가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 중심으로," 국제경영연구, 제16권, 제2호, pp.63-90, 2005.
  41. 구자룡, 소비자-브랜드 관계 유형별 브랜드 인지, 지각된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42. 권혁정, 문화콘텐츠호감도, 국가이미지, 관광이미지, 브랜드태도와 로열티에 관한 영향관계연구: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3. 사효란, 한국문화인식을 통한 국가이미지 및 관광지 이미지가 국가브랜드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4. 김주연, 안경모, "중국에서의 한류콘텐츠 선호가 한국상품구매 한국방문 및 한글학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권, 제5호, pp.447-458, 2012.
  45. 권혁인, 정순규, 최용석, "관객유형에 따른 공연 관람 구매의사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139-149, 2014.
  46.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법, 21세기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