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량화 이론을 활용한 논픽션 창작도구 모델 연구 : <소트 오피스> 및 <스토리헬퍼> 비교분석 중심으로

A Study Based on Quantifying Theory for a Non-fiction Creation Tool : Focus on Comparative Analysis of and

  • 류철균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 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투고 : 2015.09.24
  • 심사 : 2015.12.17
  • 발행 : 2016.03.28

초록

본 논문은 기존 디지털 서사 창작도구가 허구적 서사를 중심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스토리텔링 분야에 편향되었음을 지적하고, 논픽션 저작에 특화된 창작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창작도구에서 서사 정보를 수치화하는 알고리즘인 정량화 이론을 살펴보고, 정량화 이론을 바탕으로 한 가십 시스템 개념을 활용한다. 논픽션을 위한 가십 시스템 설계에 앞서, 가십 시스템 개념을 통해 <소트 오피스>와 <스토리헬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트 오피스>의 연동형 구조는 논픽션의 제재를 찾는 창작 발상 단계에 유용하며, <스토리헬퍼>의 분리형 구조는 이야기 구조를 조직하는 제재 배열 단계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가십 시스템의 두 구조 간 적절한 결합을 통해 창작 소재인 사실 정보를 이야기로 전환하는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논픽션에 적합한 디지털 서사 창작도구를 가정하는 바이다.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digital story creation tools are biased in the field of entertainment storytelling, so it proposes a specialized tool for non-fiction creation. This paper selects Quantifying Theory to design this tool. When creating nonfiction storyline, it is important to have the appropriate combination between the actual events and fictional elements. A Gossip System, based on Quantifying Theory, is suitable for that work. Before designing a Gossip System as a nonfiction creation tool, this analysis evaluated that the Gossip System in and . As a result, the linked structure in is useful in searching for material for non-fiction creation, and the separated structure in is ideal for arranging dramatic events.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of switching the fact to fic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this two Gossip System structure. I conclude that this is the best method for non-fiction creation tool.

키워드

참고문헌

  1. 레프 마노비치 저, 이재현 역, 소프트웨어가 명령한다, 커뮤니케이션북스, p.435, 2014.
  2. 류철균, 정유진, "디지털 서사도구의 인과율 개념 연구," 인문콘텐츠, 제22호, pp.183-207, 2011.
  3. 고욱, 이인화, 전봉관, 강심호, 전경란, 배주영,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p.44, 2003.
  4. 김영한, 넛지 마케팅, 한국경제신문, p.36, 2010.
  5. 김성곤, 하이브리드 시대의 문학, 서울대학교출판 문화원, pp.111-113, 2009.
  6. Chris Crawford, Chris Crawford On Interactive Storytelling, New Riders, pp.181-244, 2004.
  7.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 p.83, 2005.
  8. 류철균, 서성은,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의 서사 알고리즘 연구 : <드라마티카 프로>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제38호, pp.117-152, 2008.
  9. 류철균, 정유진, "디지털 서사도구의 인과율 개념 연구," 인문콘텐츠, 제22호, pp.183-207, 2011.
  10. 류철균, 윤혜영, "디지털 서사 창작도구의 CBR 모델 비교 연구 : <민스트럴>과 <스토리헬퍼>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지, 제13권, 제2호, pp.213-224, 2012.
  11.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 pp.227-280, 2005.
  12. 한국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pp.410-411, 2006.
  13. 헤이즈 B 제이콥스 저, 김병원 역, 논픽션 쓰는 법, 보성사, pp.113-114, 1987.
  14. 앤서니 에스게이트, 데이비드 그룸 저, 이영애, 이나경 역, 응용인지심리학, 시그마프레스, pp.442-443, 2008.
  15. 윌리엄 진서 저, 이한중 역, 글쓰기 생각쓰기, 돌베개, pp.77-199, 2007.
  16. 구인환, 구창환, 문학개론, 삼영사, pp.442-443, 2003.
  17. 마이클 래비거 적, 양기석 역, 작가의 탄생, 커뮤니케이션북스, p,19, 2006.
  18. 셰일라 커런 버나드 저, 양기석, 신순옥 역,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p.184, 2013.
  19. 로날드 B 토비아스 저, 김석만 역,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 가지 플롯, pp.34-41, 풀빛, 2007.
  20. 나병철, 소설과 서사문화, 소명출판, pp.535-53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