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t the archaeological site, there are a variety of fired soil remains with which archaeomagnetic dating is measured, and there are also different kinds of kilns equipped with favorable plasticity conditions, so quality data can be gained. Among them, roof tile kilns indicate fairly great results of archaeomagnetic measuring. This should be associated with the properties of soil consisting of the kilns. With a lot of experimental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fired soil samples of roof tile kilns have formed very stable residual magnetization. This author conducted archaeomagnetic research to present archaeomagnetic results of measuring about roof tile kilns from Goryeo in Gyeonggi. With the archaeomagnetic data of measuring 21 samples, this researcher tried to estimate the archaeomagnetic dating of roof tile kilns from Goryeo in Gyeonggi and divided them into three groups, group A (A.D.900~1150), group B (A.D.1150~1250), and group C (A.D.1300~1400) to figure out their relative order and arrange them in order. Through this kind of archaeomagnetic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he dating of 21 roof tile kilns from Goryeo in Gyeonggi and also contribute considerably to chronological research on roof tile kilns from Goryeo. In the body, the remains and kilns belonging to each group are presented in detail.
고고유적의 다양한 소토유구에서 고고지자기 연대측정이 이루어지는데 각종 가마는 소성상태가 좋아 양질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기와가마는 특히 고고지자기 측정결과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 이것은 가마를 이루는 토양의 특성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실험결과를 통해 기와가마의 소토시료는 상당히 안정적인 잔류자화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경기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에 대한 고고지자기 측정 결과를 소개하고 고고지자기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21점의 고고지자기 측정데이터를 통해 경기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를 추정해 보고, A그룹(A.D.900~1150년)와 B그룹(A.D.1150~1250년) 그리고 C그룹(A.D.1300~1400년)의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상대적인 선후 관계를 정하고 순서를 배열해 보았다. 이러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를 통해 경기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 21기의 연대를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기와가마의 편년연구에도 폭 넓게 활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각 그룹에 속하는 유적과 가마는 본문에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