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Korean Living Labs for Local Problem-Solving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분석

  • Received : 2016.11.20
  • Accepted : 2016.12.2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Living Lab is being introduced and applied as an innovation model driven by social entities (residents, users, etc.) and as an innovation place based on local and field. This study analyzed three living lab cases of Bukchon IoT living lab, Seong-Daegol energy transition living lab, and Daejeon Geonneoyu project, which were designated as 'Living Lab' to solve local problems. We analyzed the local problem, the problem solving goal, the role of each participant and the subject, the living lab promotion system, the significance in each case. In additi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iving labs were elucidated and future development plans were discussed. The result is as follow. First, each case has a tendency to link science technology and ICT with local problem solving 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echnologies used. Second, local resident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whole living lab process from problem identification to technical experimentation, diffusion and application. Third, the role of the intermediaries common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operation of the living lab. Last but not least, each case has different types of living lab. Bukchon IoT living lab being operated as a project by the government / municipality to create a living lab activity-base or to support actors'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Seong-Daegol energy transition living lab and Daejeon Geonneoyu project were conducted by the civil society itself to define problems and explore technologies in order to solve local problems.

최근 국내에서도 사회 주체(주민, 사용자 등) 주도형 혁신모델이자 지역 현장 기반형 혁신의 장으로서 리빙랩이 도입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으로 '리빙랩'을 명시하고 추진된 북촌 리빙랩, 성대골 리빙랩, 건너유 프로젝트 3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각 사례의 지역문제, 문제해결 목표, 참여주체 및 주체별 역할, 리빙랩 추진체계, 의의를 분석하고 리빙랩의 유형 특성을 도출했으며,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각 사례는 기술 활용 방식과 사용되는 기술의 특성은 차이가 있으나 과학기술 ICT와 지역문제 해결을 연계하고자 했으며 지역주민이 문제 발굴부터 기술 실험 및 확산 적용까지 리빙랩 전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공통적으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리빙랩 운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각 사례는 서로 다른 리빙랩 유형을 보이고 있는데, 북촌 IoT 리빙랩은 정부/지자체가 리빙랩 활동기반 조성 또는 행위자 활동을 지원하고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된 반면, 성대골 에너지전환 리빙랩과 건너유 프로젝트는 시민사회 스스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정의하고 기술을 탐색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수 (2002), 최근 지역산업정책의 흐름에 대한 평가와 제안, 환경논총, 제40권, pp. 213-230.
  2.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2),신과학기술 프로그램 추진전략.
  3. 김선배 (2001),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산업정책 모형, 지역연구, 제17권 제2호, pp. 79-97.
  4. 김태성 (2015.4.10.), [그차 그사람] '파크히어' 김태성 대표, "주차할 곳이 왜 없어?", Motor Graph.
  5. 김현호 (2004), 지역혁신체계의 특성-서울의류산업과 이천도자기를 사례로, 도시행정학보, 제17권 제3호, pp. 41-67.
  6. 김현호.이소영.오은주.이원섭 (2010), 미래환경변화에 대응한 지역발 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7. 김형주 (2008), 지역별 혁신체제의 특성 분석 및 발전 방향, 과학기술 정책연구원.
  8. 미래창조과학부.KISTEP (2016. 11),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 가이드라인(안).
  9. 박종화 (2006), 지역혁신체계상의 중개모형-대구전략산업기획단의 경험, 국토계획, 제41권 제4호, pp. 171-187.
  10. 박종화.김창수 (2001), 지역경제 활성화 과정에서 산-학-관 협력의 쟁점, 한국행정논집, 제13권 제4호, pp. 977-997.
  11. 서울산업진흥원 (2014), 2014년도 기술혁신형 지식기반산업 지원사업 사업설명회.
  12. 서울산업진흥원 (2015), 서울특별시 도시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지원.
  13. 서울특별시 (2016.7.), 북촌 사물인터넷(IoT) 시범 서비스, 서울특별시청 정보기획관.
  14. 서울특별시 (2015.10.), 북촌 사물인터넷(IoT) 시범사업 추진계획, 서울특별시청 정보기획관.
  15. 성대골사람들 (2015.5.1.), 성대골 리빙랩, 성대골 리빙랩 오픈세션 자료.
  16. 성대골사람들 (2015.11.23.), 성대골 에너지전환마을 리빙랩, 성대 골 리빙랩 마무리세션 자료.
  17. 성지은.박미영 (2012), 탈추격 지역혁신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Issues & Policy, 제64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8. 성지은.박인용 (2016),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1-28.
  19. 성지은.송위진.김왕동.김종선.정병걸.박미영.박인용.정연진 (2013), 저성장 시대의 효과적인 기술혁신지원제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 성지은.송위진.박인용 (2013), 리빙랩의 운영 체계와 사례, STEPI Insight, 제127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 성지은.송위진.박인용 (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309-333.
  22. 성지은.송위진.정병걸.김민수.박미영.정연진 (2012), 지속가능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발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3. 성지은.송위진.정병걸.장영배 (2010), 미래지향형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설계 및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4. 성지은.조예진 (2014),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실험 비교: 지역 기반의 녹색 전환 실험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2호, pp. 51-75. https://doi.org/10.14383/SIME.2014.22.2.051
  25. 성지은.한규영.박인용 (2016), 국내 리빙랩의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제184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6. 송위진.성지은 (201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서울: 한울.
  27. 송위진.성지은.김연철.황혜란.정재용 (2007),脫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8. 송위진.성지은.김종선.장영배.정병걸.이은경 (2014), 사회문제 해결 형 혁신에서 사용자 참여 활성화 방안: 사회.기술시스템 전환의 관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9. 송위진.성지은.김종선.장영배.정서화.박인용 (2015), 사회.기술시스 템 전환 전략 연구사업(1차년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0. 송위진.성지은.임홍탁.장영배 (2013),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발전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1. 송위진.정서화 (2016),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제185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2. 신기헌(2015.6.5.), 프로토타이핑의 강력함, 디자인 정글 매거진.
  33. 이기원.김진석 (2007), 균형발전정책교본 지역혁신체계, 국가균형 발전위원회.
  34. 이명호.정의철.박선하(2014), IDEO 인간중심 디자인툴킷, 에딧더월드.
  35. 천영환 (2015.4.30.), 대전 리빙랩 프로젝트 '건너유', 과학기술+ 사회혁신 포럼 발표자료.
  36. 황혜란.김기희.이동규.김일토.강영희.천영환(2015), 대전형 리빙랩 의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보고서 2015-63, 대전발전연구원.
  37. Daniel Kim, 성지은 (2015),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위한 리빙랩: SusLab NWE의 독일 보트롭 사례, STEPI Insight, 158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8. Alcotra (2011), Best practices Database for Living Labs.
  39. Buhr, K., Federley, M., & Karlsson, A. (2016), "Urban Living Labs for Sustainability in Suburbs in Need of Modernization and Social Uplift",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Vol. 6, No. 1, pp. 27-34.
  40. Cooke, P. & Morgan, K. (1993), "The Network Paradigm: new departures in corporate and regional development", Environment &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Vol. 11, pp. 543-564. https://doi.org/10.1068/d110543
  41. Cooke, P. (1992),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ompetitive regulation in the new Europe", Geoforum, Vol. 23, No. 3, pp. 365-382. https://doi.org/10.1016/0016-7185(92)90048-9
  42. Dell'Era, C., & Landoni, P. (2014), "Living Lab: A methodology between User-Centred Design and Participatory Design",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Vol. 23, No. 2, pp. 137-154. https://doi.org/10.1111/caim.12061
  43. ENoLL (2015), Living Lab Services for business support & internationalisation.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44. Eriksson, M., Niitamo, V. P., & Kulkki, S. (2005), State-of-the-art in utilizing Living Labs approach to user-centric ICT innovation-a European approach. Lulea: Center for Distance-spanning Technology. Lulea University of Technology Sweden: Lulea. Online under: http://www.cdt.ltu.se/main. php/SOA_LivingLabs. pdf.
  45. Eskelinen, J., Robles, A.G., Lindy, I., Marsh, J., & Muente-Kunigami, A. (2015), Citizen-Driven Innovation: A Guidebook for City Mayors and Public Administrators, World Bank, Washington, DC, and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http://hdl.handle.net/10986/21984
  46. Hassink, R. (2004), "Regional Innovation Support Systems in South Korea: The Case of Gyeonggi". In P. Cooke, M. Heidenreich, H-J. Braczyk (eds.),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 Role of Governance in a Globalized World (2nd edition), pp. 327-343.London, New York: Routledge.
  47. Hirvikoski, T. (2014), "Foreword: Special Issue on Smart Cities", Interdisciplinary studies Journal, Vol. 3, No. 4, pp. 6-7.
  48. Leminen, S., Westerlund, M., & Nystrm, A. G. (2012), "Living Labs as open-innovation network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Vol. 2, No. 9, pp. 6-11.
  49. Morgan, K. (1997), "The learning region: institutions, innovation and regional renewa"l, Regional Studies, vol. 31, pp. 491-503. https://doi.org/10.1080/00343409750132289
  50. Niitamo, V. P., Kulkki, S., Eriksson, M., & Hribernik, K. A. (2006, June), "State-of-the-art and good practice in the field of living labs", In 2006 IEEE International Technology Management Conference (ICE), pp. 1-8, IEEE.
  51. Pallot, M.(2009), "The Living Lab Approach: A User Centered Open Innovation Ecosystem, Webergence Blog", http://www.cweprojects.eu/pub/bscw.cgi/715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