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AI Development for Vocal Training in Applied Music

보컬 가창 훈련을 위한 CAI 개발 연구

  • 문원경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뮤직테크놀로지 학과) ;
  • 이승연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뮤직테크놀로지 학과)
  • Received : 2016.07.01
  • Accepted : 2016.11.07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Vocal and instrument apprenticeship in applied music has been accepted without significant changes since the introduction of applied music education to South Korea. Few discussions or suggestions about other types of teaching than 'one-to-one lessons' or 'education of apprentices by assigned specialists' have been made. Since the introduction of applied music education to South Korea late in the 1980s, the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courseware development for applied music education has not actively been under way. The area of applied music has also made rapid progress in terms of music producing or music videos using computers. Actually, the improved computer program is not positively applied to applied music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present learning methods using the improved functions of music production softwares to improve the traditional apprenticeship system in the area of vocal training in applied music. In particular, it used the technique of auto tune-pitch shift developed for interval correction in sound sources. By giving real-time feedbacks concerning intervals or monitors visually after recording, it intended to present a learning method to induce improvement in accuracy of intervals in vocal train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a method that allows vocal trainers to overcom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in applied music and make their vocal training more efficient.

실용음악의 가창 및 악기에 대한 도제식 교육방식은 국내에 실용음악 교육이 도입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 없이 수용되어 왔다. '1대1 개인 레슨'이나 배정된 '전공지도 교수자에 의한 도제식 교육법' 이외의 다른 교수법에 대한 논의나 제안이 제기된 사례가 많지 않다. 1980년대 후반, 실용음악 교육이 국내에 소개된 이후 지금까지 실용음악 교육을 위한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코스웨어 개발은 실용음악 이외의 분야에서처럼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물론, 실용음악 분야에서도 컴퓨터를 활용한 음악 프로듀싱이나 영상 음악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발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용음악 교육에 적극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제작 소프트웨어의 발전된 기능들을 활용하여 실용음악 가창 분야에서 전통적인 도제식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학습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음원의 음정 보정을 위해 개발된 피치 쉬프트(Pitch Shift)기술인 오토 튠(auto tune)을 활용한다. 이것을 통해 음정에 관한 실시간 피드백이나 녹음 후 모니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가창 훈련 시 음정 정확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물론 가창력을 판단할 때 음정 정확도만 평가 되는 것은 아니며 음정 정확도 역시 발성, 발음 등의 복잡한 신체 능력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이 연구로 컴퓨터를 활용하는 교육이 실용음악 보컬 학습자들에게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극복하여 더 효율적인 가창 훈련을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정선.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과 학과 개설 형태. 음악교육연구. 38(1). 한국음악교육학회. pp. 119-148. 2010.
  2. 한정훈, 손정은. 성인 실용음악 교육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예술교육연구. 12(1). 한국예술교육학회. pp. 105-119. 2014.
  3.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표준교육과정세부교육과정표. https://www.cb.or.kr/creditbank/stdPro/stdPro1_1_1.do. 2016.5.26
  4. 김도수. 한국의 현대 "실용음악"과 "보컬"의 개념상 문제점 및 고등교육에서 보컬의 학문적 수용 전망. 이화음악논집. 15(1).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pp. 55-93. 2011.
  5. 오한승. 실용보컬가이드북. 서울: SR MUSIC. 2008.
  6. Riggs, S., Carratello, J. and Miyake, R. J. Singing for the Stars - A Complete Program for Training Your Voice. California: Alfred Pub Co. 1992.
  7. 허균. ICT 활용교육에서 교수 학습자료 제작을 위한 시각화 전략 탐색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3(1). 한국교원교육학회. pp. 169-191. 2006.
  8. Heinich, R., Molenda, M. and Smaldino, S. E.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11th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pp. 56-62. 2002.
  9. 박재록. 뮤직테크놀로지의 이해. 파주: 음악세계. 2015.
  10. Welch, G. F., Howard, D. M. and Rush, C. Realtime Visual Feedback in the Development of Vocal Pitch Accuracy in Singing. SAGE journal. 17(2). Psychology of Music. pp. 146-157.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