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AT 모델을 이용한 외남천 유역의 토사 및 총인 유출량 분석

Assessment of sediment and total phosphorous loads using SWAT in Oenam watershed, Hwasun, Jeollanam-do

  • 이태수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Lee, Taesoo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1.18
  • 심사 : 2016.02.25
  • 발행 : 2016.02.29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의 지류이자 주암호로 유입되는 외남천 유역의 수량 및 수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 간 수량과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수질은 부유토사와 총인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기존 연구를 참조하여 수량 및 오염물질의 분석, 오염원과 토지이용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유출량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크기에 따라 비슷한 패턴으로 반응하였으나 기상데이터(광주광역시)와의 지리적 차이 때문에 일부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을 이용하여 유역을 모의하였다. 2012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고 2013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델 보정 결과 수량 및 총인의 실측값과 예측값의 결정계수($R^2$)는 각각 0.6644와 0.5176으로 나타났고 모델 검정 결과에서는 다소 높은 0.7529와 0.7057을 보였다. 소유역별 토사유출량과 총인유출량을 분석하여 유역 관리에 있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지역을 선정하였다. 토지이용별 총인 배출량은 전체 유역면적의 5%를 차지하는 밭이 총인배출량의 53.6%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주거지 및 축산지역이 23.5%를 차지하였다.

Monitoring for water quantity and qualit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for 2 years (2012~2013) in Oenam Stream which is a tributary of Seomjin River and upstream of Juam Lake. Suspended solid and total phosphorous(TP) were monitored and analyzed, then water quantity and quality as well as their relation with landus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Flow showed the similar pattern with precipitation but some discrepancies existe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weather station(Gwangju) and study area. Watershed was modeled based on observed data using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calibration was conducted using data obtained in 2012 and validation was conducted using data in 2013.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between observed and modeled showed 0.6644 and 0.5176 for flow and TP, respectively for model calibration period. For validation period, $R^2$ was 0.7529 for flow and 0.7057 for TP, which were higher than calibration period. Hot spots were determined for watershe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amount of sediment and TP outcome from each sub-watershed. TP loading by landuse determined that cropland, of which the area takes only 5% from entire watershed, generated 53.6% of TP and residential and cowshed was responsible for 23.5% of TP loading.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창열.진영훈.노경범.박성천, 2005, "강우시 섬진강 유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05년 10월.
  2. 이지민.류지철.강현우.강형식.금동혁.장춘화.최중대.임경재, 2012, SWAT모형을 이용한 유량 및 유사 예측 정확성 평가 및 최적관리 기법 효과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4(1), 99-108. https://doi.org/10.5389/KSAE.2012.54.1.099
  3. 최동호.정재운.이경숙.최유진.조소현.박하나.임병진.장남익, 2012, "유량-부하량관계식을 이용한 주암호 외남천 유역의 유황별 유달율 산정", 한국환경과학회지 21(1), 31-39.
  4. 최동호, 2012, "HSPF와 SWAT 모형의 자동보정 기능을 적용한 농촌유역 오염부하 추정",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정재운, 2005, "SWAT 모형에 의한 주암호 외남천 유역의 비점오염 부하 추정",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한국헌.윤광식.정재운.윤석군.김영주, 2005, "주암호 농촌 소유역 오염부하특성",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7(3), 77-86. https://doi.org/10.5389/KSAE.2005.47.3.077
  7. 한웅규.양성기, SWAT 모형에 의한 제주도 외도 유역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량 산정, 한국환경과학회지, 18(9), 1057-1063.
  8. 홍수정.전진영.우수인.유상배.강현우.금동혁.장춘화.임경재, 2012, "SWAT Auto-Calibration을 이용한 강우크기에 따른 유출 특성 분석", 강원농업생명환경연구 24(3), 16-24.
  9. 최재완.현근우.이재운.신동석.김기성.박윤식.김종건.임경재, 2009, "WEPP Watershed Version을 이용한 홍천군 자운리 농경지 토양유실 예측 및 경사도에 따른 토양유실량 평가", 수질보전 물환경학회지 25(3), 441-451
  10. Arnold, J. G., Srinivasan, R., Muttiah, R. S. and Williams, J. R.,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1: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73-89.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8.tb05961.x
  11. Novotny, V., and Olem, H. 1994. Water Quality: Prevention,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Diffuse Pollution, New York, NY: Van Nostrand Reinhold.
  12. Lee, T., Rister, M. E., Narasimhan, B., Srinivasan, R., Andrew, D. and Ernst, M. R., 2010, Evaluation and spatially distributed analyses of proposed cost-effective BMPs for reducing phosphorous level in Cedar Creek Reservoir, Texas, Transaction of ASABE, 53(5), 1619-1627 https://doi.org/10.13031/2013.34902
  13. Wang, X., M. White, P. Tuppad, T. Lee, R. Srinivasan, T. Zhai, D. Andrews, and B. Narasimhan, 2013, Simulating sediment loading into the major reservoirs in Trinity River Basin, Journal fo Soil and Water Conservation, 68(5), 372-383. https://doi.org/10.2489/jswc.68.5.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