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orphic development of the Jeogchung·Chogye Basin and inner alluvial fan, Hapcheon, South Korea

합천 적중·초계분지와 분지 내 선상지 지형발달

  • Hwang, Sangill (Dep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oon, Soon-Ock (Dept. of Geography and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Kyung Hee University)
  •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6.01.05
  • Accepted : 2016.02.25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e Jeogchung Chogye Basin shows perfect basin formation surrounded with divides, excluding outlet where Sannae River combining various small rivers escapes the basin. High mountains distribute at southwestern, southern and southeastern divides of the basin consisting of hornfels, while hilly mountains are found at northern divide consisting of sedimentary rock. Alluvial fans and flood plains occupy bottom of the basin. While extensive alluvial fans are found at the front of southern divide where rivers with large drainage areas rise, alluvial fans toward eastern and western divides become small due to low elevation of divides. Flood deposits by Hwang River are attributed to development for most of flood plains at northern part of the basin. The basin seems to be developed not by differential erosion or meteorite impact, but by bedrock weathering along lineament or fault lines by ground motion.

적중 초계분지는 분지 내에서 발원하는 소하천을 합류한 산내천이 북류하여 분지를 빠져나가는 출구를 제외하면 분수계로 둘러싸여 완전한 분지 형태를 취한다. 퇴적암이 혼펠스화된 남서, 남, 남동쪽 분수계의 산지는 높고 북쪽은 구릉지이다. 이들 사이의 분지저에는 선상지와 범람원이 형성되었다. 분수계 해발고도와 유역분지 규모에 비례하여 큰 하천들이 발원하는 남쪽 분수계 전면의 선상지는 규모가 크지만, 서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분지의 북쪽에 분포하는 범람원은 대부분 황강의 홍수퇴적물로 덮여있다. 적중 초계분지는 기반암의 차별침식이나 운석충돌보다 지반운동에 의한 지질구조선이나 단층선을 따라 기반암이 풍화되면서 분지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재, 1999, 지형학, 법문사, 서울.
  2. 장재훈, 2002, 한국의 화강암 침식지형,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3. 조화룡, 1987, 한국의 충적평야, 교학연구사, 서울.
  4. 小野五郞(배기동 역), 1992, 일본인의 기원, 학연문화사, 서울.
  5. 齊藤享治, 1988, 日本の扇狀地, 古今書院, 東京.
  6. 齊藤享治, 2006, 世界の扇狀地, 古今書院, 東京.
  7. 강필종, 1975, 삼가 지질도폭 설명서(1:50,000), 국립지질광물연구소, 서울.
  8. 고의장, 1982, 지리산 화엄사선상지에 관한 분석적 연구, 지리학총, 10,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18-29.
  9. 김기완, 1969, 창령 지질도폭 설명서(1:50,000), 국립지질조사소, 서울.
  10. 김종욱, 1983, 사천 와룡산 서쪽 산록면의 형상과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10, 359-369.
  11. 박노식, 1959, 한국선상지연구, 경희대학교논문집, 2, 1-28.
  12. 박병수.손명원, 1997, 안계분지의 지형발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1), 51-62.
  13. 손명원, 1996, 마성분지의 지형생성작용,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 39-49.
  14. 송언근, 1993,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감입곡류 지형발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윤순옥, 1980, 대구 월배선상지에 대한 지형학적 연구, 경북대 지리교육과 학사학위논문.
  16. 윤순옥, 1983, 덕곡.삼천포 일대의 선상지 지형발달, 지리학총, 11, 경희대 지리학과, 63-76
  17. 윤순옥.조화룡, 1996, 제4기 후기 영양분지의 자연환경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1(3), 447-468.
  18. 윤순옥.황상일, 2004, 경주 및 천북지역의 선상지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9(1), 56-69.
  19. 윤순옥.황상일, 2009, 한반도와 주변지역의 최종빙기 최성기 자연환경, 한국지형학회지, 16(3), 101-112.
  20. 윤순옥.사이토 쿄지.황상일.다나카 유키야.오구치 다카시, 2005, 한국선상지의 이론적 고찰과 분포특성, 대한지리학회지, 39(1), 56-69.
  21. 윤순옥.사이토 쿄지.황상일.오구치 다카시.다나카 유키야, 2010, 한반도 남부 선상지의 계량적 지형특성과 일본, 타이완, 필리핀 선상지와의 비교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5(4), 431-443.
  22. 이민희.장재훈, 1982, 한국의 산록에 발달하는 선상지와 페디멘트, 지리학총, 10,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11-17.
  23. 이민희.장재훈, 1984, 침식분지의 형성과 하천과의 관계, 지리학연구, 9, 605-620.
  24. 장기홍, 1968, 합천 지질도폭 설명서(1:50,000), 국립지질조사소, 서울.
  25. 장재훈, 1966, 산록완사면에 관한 연구, 지리학, 2, 35-42.
  26. 장재훈, 1974, 제천지역 산록완사면에 관한 연구, 성신여사대논문집 7, 259-275.
  27. 장재훈, 1976, 산록완사면의 형상적 특징과 성인 연구, 성신여사대논문집, 9, 287-306.
  28. 장재훈, 1984, 한국의 산록완사면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성신연구논문집, 19, 225-335.
  29. 장호, 1977, 강릉주변의 저위침식면 지형연구, 지리학연구, 3, 153-174.
  30. 최광선.이상원.이영애, 2001, 합천군 초계.적중 지역의 환상 지형과 분지: 운석 충돌 결과인가?, 2001년 한국지질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발표회 초록집, 35.
  31. 최승오, 1972, 남지 지질도폭 설명서(1:50,000), 국립지질조사소, 서울.
  32. 황상일, 1998, 경주 하동 주변의 선상지 지형발달과 구조운동, 한국지형학회지, 5(2), 189-200.
  33. 황상일, 2004, 경북 청도분지의 선상지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9(4), 514-527.
  34. 황상일.윤순옥, 2001, 한국 남동부 경주 및 울산시 불국사단층선 지역의 선상지 분포와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6(3), 217-232.
  35. 張昊.小野有五, 1986, 韓國東海岸江陵周邊の地形面と土壤, 日本地理學會予稿集, 29, 70-71.
  36. 吉川虎雄, 1950. 岩石扇狀地說に關する二三の疑問, 地理學評論 22, 404-413.
  37. 町田貞.井口正男.貝塚爽平.佐藤正.榧根勇.小野有五 外, 1981, 地理學辞典, 二宮書店, 東京.
  38. 赤木祥彦, 1965, 朝鮮半島のPediment, 地理學評論, 38, 682-697.
  39. Blackwelder, E., 1931, Desert plains, Journal of Geology, 39, 133-140. https://doi.org/10.1086/623802
  40. Chang, H, 1986, Geomorphic Development of Intermontane Basins in Korea, Dissertation of Tsukuba University, 116.
  41. Denny, C. S., 1967, Fans and pediments,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65, 81-105 https://doi.org/10.2475/ajs.265.2.81
  42. Lecce, S. A., 1990, The alluvial fan problem. In Alluvial fans: a field approach. ed. A.H. Rachocki and M. Church, 3-24. Chichester: John Wiley & Sons.
  43. Ono, Y., 1990, Alluvial fans in Japan and South Korea in Rakchocki A. H. and Church M (eds), Alluvial fans: a field approach.
  44. Saito, K., 1999, Development of mountains and alluvial fans in Japan, Taiwan, and the Philippines, Geographical Review of Japan 72B, 162-172.
  45. Saito, K. and Oguchi, T., 2005, Slope of alluvial fans in humid regions of Japan, Taiwan and the Philippines, Geomorphology, 70, 147-162. https://doi.org/10.1016/j.geomorph.2005.04.006
  46. Yoon, S. O. and Hwang, S. I., 2003, The natural Environment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Age around Korea and Adjacent A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7(2), 33-38.